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음식을 통한 트라우마 치유 –영화 「김씨표류기」에서 삶의 희망이 된 짜장면–

        우남희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0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both Mr. Kim and Miss Kim who are plunged into despair due to trauma formed in each growth period of them overcome their trauma, in 「Castaway On The Moon」(2009), a film directed by Lee Haejun. It initially examined why Mr. Kim was not able to pay back loan rate larger than the capital and fell into a credit delinquent and then cannot but select suicide and why Miss Kim cannot help choosing the hikicomori lifestyle separated from the exterior world by locking her room door.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reasons were their trauma formed in the growth period. Then, it investigated how food contributes to Mr. Kim’s recovery from his trauma. The food affecting Mr. Kim’s overcome of his trauma includes salvia, mushroom, fishes and birds, which can be acquired from the nature, and Jajangmyeon which he acquired by spontaneously engaging in farming. It could be found that he could recover his self-esteem and simultaneously overcome trauma, by directly cooking and eating Jajangmyeon. Different from Mr. Kim, Miss Kim did not try to overcome her trauma by seeking out food from the nature or directly cooking and eating Jajangmyeon through farming. Instead, she overcame her trauma by eating Jajangmyeon returned from him who rejected it, though she asked a delivery man to deliver it to him at Bamseom Island. This study found that such food contributes to the healing of emotional trauma formed in the growth period, beyond the fulfillment of human physiological needs in 「Castaway On the Moon」. It can thus verify that food may be a method for self-healing. 우남희, 2020, 음식을 통한 트라우마 치유, 어문연구, 187 : 243~269 본고는 이해준 감독의 영화 「김씨표류기」(2009)에서 성장기에 형성된 트라우마로 인해 절망에 빠진 두 김씨가 음식을 통해 자신의 트라우마를 어떻게 극복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먼저 남자 김씨가 자살을 선택할 수밖에 없는 이유와 여자 김씨가 히키코모리의 삶을 선택할 수밖에 없는 이유를 분석했다. 그 결과 그들의 성장기에 형성된 트라우마에 의한 것임을 밝혔다. 다음으로 두 김씨가 트라우마를 극복하는 데 음식이 어떻게 기여하는지를 살폈다. 남자 김씨에게 음식은 삶에 대한 의지와 개척의 힘을 키워주었다. 특히 짜장면은 트라우마를 극복하고 자아존중감을 회복하는 데 기여했다. 반면에 여자 김씨는 그녀가 밤섬(栗島)으로 배달시켰으나 남자 김씨의 거부로 되돌아온 짜장면을 먹고 트라우마가 치유되었다. 이는 음식이 먹는 사람에게 향수를 불러일으켜 과거 경험했던 희망찬 순간을 환기시키는 기능을 수행했기 때문이다. 연구를 통해 본고는 영화 「김씨표류기」에서 음식이 단순히 인간의 생리적 욕구를 충족하는 것에서 머무르지 않고 성장기에 형성된 정신적인 트라우마를 치유하는 데 기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본고는 음식이 자아치유의 한 방법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유아들의 약속에 대한 이해의 발달과 태도의 변화

        우남희,최윤영 한국유아교육학회 2001 유아교육연구 Vol.21 No.4

        유아들의 약속에 대한 개념 발달과 약속이행에 대한 태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3세부터 5세까지의 유아 134명을 대상으로 4가지의 에피소드를 그림과 함께 제시하면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 중 약속의 경험이 있는 유아는 77.6%였으나, 약속을 제대로 이해하는 유아는 6.7%에 불과했다. 약속의 대상은 부모(58.7%)가 가장 많았으며, 약속의 내용은 주로 부모나 교사가 일방적으로 유아에게 지킬 것을 요구하는 것이었다. 약속이해의 발달은 연령이나 교육 기관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약속 이행의 이유는 연령과 기관에 따라 차이가 났고, 연령이 많아질수록 유아들은 벌을 두려워하기보다는 자발적으로 약속을 지켰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preschool children's understanding of promise and their promise-keeping behaviors. One hundred thirty four children from two different types of child care center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3 different age groups:3, 4, and 5 years of age. They were interviewed individually and were asked about their understanding of promise and their experience of promise with other people. Four drawings were provided to help children's understanding of questions and to facilitate their responses. The results showed that 77.6% of the children have already experienced making a promise. However, only 6.7% of the children had a realistic concept of promise. The children had made promises chiefly with their parents (58.7%). Most of these promises concerned requirements for the children to perform as directed by parents or teachers.

      • KCI등재

        니체와 불교의 치유적 사유로 본 김일엽의 시

        우남희 한국문학치료학회 2020 문학치료연구 Vol.54 No.-

        This study analyzed Kim Il-yeop’s (1896-1971) poetry using the perspective of the healing thoughts of Nietzsche and Buddhism. It is an attempt to examine the process in which the poet overcomes her inner pained heals her self by investigating the healing mechanism in the thought of Nietzsche and Buddhism, as expressed in her poetry. Kim Il-yeop is a reputed early modern female writer in Korean literary history, as well as a religionist, she insisted on the reform of women’s consciousness, advocating for a modern women’s movement by starting the publication of women’s magazine New Woman in February 1920. Subsequently, she became a Buddhist monk and died as a Zen monk. Her life is often compared to a lotus, blooming in hardship and pain, from her childhood when she experienced her mother’s death and her brothers’ successive deaths in her youth filled with love and partings to repeated marriages and divorces in the prime of her life. Thus, the thoughts guiding Kim Il-yeop’s life, such as subjectivity, positive worldview, love of fate (Amor Fati), self- salvation, and the absence of worldly desires, are present in the same context as the healing thoughts of Nietzsche and Buddhism, and are analyzed in this study. Although Kim Il-yeop witnessed the deaths of her mother, brothers, father and stepsister during her childhood and experienced hardships later in life, she accepted the moments of pains as they were and expressed them through poetry, a language of her own. This is connected to Nietzsche’s healing thought, that is, search for oneself through the love of fate. Kim Il-yeop who obtained the identity of the independent self, got over hardship by writing poetry using healing language based on the fact that nature and the universe operate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creation. Through her experience of hardship, the poet achieves the absence of the worldly desires through the unity of the body and the mind and overcomes her self through the purification of the mind to achieve the introspection of freedom from all thoughts and ideas, turning to Buddhism and continuing asceticism. 본고는 김일엽(1896~1971)의 시를 니체와 불교의 치유적 사유로 분석하였다. 이는 김일엽의 시에 발현된 니체와 불교의 치유적 사유의 기제를 고찰함으로써 작가가 내면의 아픔을 극복하고 치유로 발전해 나가는 과정을 천착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김일엽은 한국 문학사에서 근대 초기 여류문학가이자 종교가로 정평이 난 인물로 1920년 2월에 『신여자』라는 여성잡지를 창간하여 근대여성 운동을 제창해 여성의 의식을 개혁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후 김일엽은 출가하여 선승으로 생을 마감한다. 이러한 김일엽의 삶은 모친과 동생들의 잇따른 죽음을 체험한 유년기부터 청년기 사랑과 이별 그리고 결혼과 이혼이 반복되는 중년에 이르기까지 고난과 아픔으로 점철된 가운데 피어난 연꽃에 비유된다. 이에 본고는 김일엽의 삶을 관통하고 있는 주체성, 긍정적 세계관, 운명애와 자기 구원, 무심 등의 사유가 니체와 불교의 치유적 사유와 맥락이 닿아 있어 이를 근거로 김일엽의 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김일엽은 유년기와 성장기에 겪은 어머니와 동생들 그리고 아버지와 이복 여동생의 죽음을 목격하고 자신의 삶에 고난을 겪게 된다. 그러나 김일엽은 그 고통의 순간들을 그대로 수용하고 그것을 자신만의 언어인 시로 표현하였다. 이는 니체의 치유적 사유인 운명애를 통한 자기 찾기와 연결된다. 주체적인 자아의 정체성을 획득한 김일엽은 자연과 우주가 하나의 생성원리에 의해 유동한다는 것을 바탕으로 치유적 언어 문법을 통한 시쓰기로 자신의 고난을 극복하였다. 청년기와 장년기에 겪은 고난의 시간은 불교에 귀의하여 수행을 거듭하면서 몸과 마음의 합일을 통한 무심과 마음의 정화와 자기 극복을 이룩해 무상무념의 자기 성찰을 이루고 있다.

      • 뇌발달과 아동의 인지발달

        우남희 동덕여자대학교 2004 생활과학연구 Vol.9 No.-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rain development and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early development of neurons and synapses, glucose consumption in the brain, development of myelination, changes of EEG in the developing brain and the development of localization of brain functions had been analyzed in relation to cognitive development. The results showed that various aspects of brain had relations with cognitive development. First, if the brain cell arrived at an unexpected place and grow there, normal cognitive development cannot be expected. Second, over blooming and pruning of synapses had relationship with cognitive development. Over blooming show the plasticity of cognitive development and pruning showed that the experience and the environment of the children affect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Third, more use of glucose in children`s brain than in adults` brain suggested that the high plateau of glucose consumption indicated the sensitive period of cognitive development in the children. Fourth, if the brain is more myelinated, the more efficient the brain functions are. Fifth, the EEG changes showed the similar patterns of cognitive developmental stages. Sixth, higher functions are hard to localize to some specific areas of the brain. Seventh, if we explain language as more integrated system, language cannot be controlled only by left hemisphere.

      • KCI등재

        조기 사교육이 유아의 인지적, 정서적, 사회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유치원 원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우남희,백혜정,김현신 한국유아교육학회 2005 유아교육연구 Vol.25 No.1

        본 연구는 유치원 원장들 311명의 설문지 응답을 통하여 조기 사교육이 유아들의 인지적, 정서적,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유치원 원장들의 인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각 문항에 대한 빈도 분석 결과, 원장들은 조기 사교육이 유치원 유아들의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뿐 만 아니라 부정적인 영향도 미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긍정적인 영향으로는 사교육을 조기에 많이 받은 유아일수록 학습요령을 잘 터득하고 있으며 대인관계에서도 자신감을 갖고 있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반면, 부정적인 영향으로는 과도한 스트레스, 주의산만 및 끈기 부족, 이기적 성향, 주변 사람들에 대한 지나친 의시, 자율성 부족 등을 지적하였다. 특히 유치원 원장들은 어려서부터 빨리 많은 것을 가르치려는 부모들의 기대와는 달리 유아들이 조기 사교육을 받는다 하더라도 그 분야의 지식이 그다지 크게 증가하지 않고 또래보다 뛰어난 특기나 재능을 보인다고도 생각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조기 사교육을 받은 유아들이 가지고 있는 특성에 대한 원인파악 및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의 과제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private education through examining reports by 311 experienced kindergarten principals. According to the frequency analysis of each item, the headmasters believe that early childhood private education has both positive and negative influences on preschoolers in terms of cognitive, emotional, and social aspects. On the positive side of early childhood private education, children acquire study skills and gain high self-confidence. On the other hand, extensive early childhood private education reveals a number of problems, such as symptoms of attention deficit, lack of patience, selfish behaviors, and being overly-conscious of others in their environment. In addition, they sometimes seem very stressed and lacking in independence. Finally, the overall effects of private education fail to meet parents' expectations. Based on these results, we attempt to determine the causes for the reported characteristics of privately educated preschoolers. The study's limitations are discussed and suggestions made for further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