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근해와 염전에서 분리한 색소 생성 호염성 세균의 다양성

        용해영,박진숙,Yong Hae-Young,Park Jin-Sook 한국미생물학회 2004 미생물학회지 Vol.40 No.4

        A total of forty strains of pigment-producing halophilic bacteria were isolated from the solar saltern and coastal seawater in Korea. The diversity of those bacteria were determined on the basis of PCR-RFLP and 16S rDNA sequences. The isolated strains were clssified into nine genera: Pseudoalteromonas, Photobacterium, Vibrio, Halobacillus, Bacillus, Paracoccus, Salinicoccus, Tenacilbaculum, and Flavobacterium. While more than $80\%$ of the pigment-producing halophilic bacteria isolated from the coastal seawater were classified as gram-negative Pseudolateromonas, most of the strains isolated from the solar saltern were classified into gram-positive Halo­bacillus. The other strain was KK7, which may be identified as novel species belonging to the genus, Salini­coccus. 한국 근해와 염전으로부터 40 균주의 색소 생성 호염세균을 분리하여, 16S rDNA PCR-RELP와 16S rD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다양성을 파악하였다. 분리된 호염성 색소 생성 세균들은 Pseudoalteromonas, Photobacterium, Vibrio, Halobavillus, Bacillus, Paracoccus, Salinicoccus, Tenacibaculum, Flavobacterium의 다양한 속의 세균 종이었다. 해양에서 분리한 색소생성 호염 세균의 $80\%$ 이상이 그람음성인 Pseudoalteromonas 속이었으며, 염전에서 분리한 세균의 대부분은 그람양성의 Halobavillus속 세균이었다. 또한 Salinicoccus 속에 속하는 신종 가능성이 있는 균주 KK7을 분리하였다.

      • 세포 침윤성에서의 칼슘결합 단백질 S100의 역할

        송재인,용해영,문애리 덕성여자대학교 약학연구소 2006 藥學論文誌 Vol.17 No.-

        S100 단백질은 세포의 성장, 증식 및 이동과 침윤성에 관여하는 칼슘결합 단백질이다. S100 단백질은 다양한 조직에 분포하고 있으며. 췌장암, 폐암, 구강암, 전립선암, 유방암 등에서 그 유전자가 과발현된다. 본 종설에서는 그간의 국내외 연구보고를 바탕으로 S100 단백질의 발견 및 특징, 기능과 세포의 침윤성에 미치는 영향을 요약, 정리하였다. 여러 암세포에서 S100단백질은 암이 치료되기 힘든 원인 중 하나인 암세포의 전이에 관여한다. 그 증거로 S100 단백질은 세포의 이동성과 침윤성을 유도하며, 암의 전이활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MMP(matrix metalloproteinase)의 활성을 증가시킴이 보고되었다. S100 단백질에 관한 연구 결과의 정리는 암의 전이에 있어 S100 단백질의 중요성에 대한 이해를 돕는데 기여하리라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