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다양성관리가 구성원들의 관계갈등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오화선,민경률,박성민 한국행정학회 2015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5 No.-

        다양성관리와 조작성과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일관적이지 못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다양성을 바라보는 시각에 따라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성관리를 제도적 다양성관리, 문화형성 다 양성관리, 전략적 다양성관리로 세분화하고, 각각의 다양성관리가 조직 구성윈들의 창의성과 관계갈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았다. 공공부문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한 결과, 첫째, 다양성관리와 관계갈등 간의 관계에서, 문화형성 다양성관리만이 갈등을 감소시키는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양성관리와 창의성 간의 관계에서는 제도적 다양성관리와 전략적 다양성관리가 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양성관리에 있어서 목적과 유형에 따라 구성윈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남을 보여주는 결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조직 치원에서의 효과적인 다양성관리를 위해서는 일률적인 시행보다는 조직이 처한 상황과 배경을 고려하는 전략적인 접근이 보다 필요함을 확인한 수 있었다.

      • 공직봉사동기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개인-조직 적합성 및 개인-직무 적합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오화선,박성민 한국정책학회 2014 한국정책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4 No.-

        본 연구는 공직봉사동기(PSM)와 개인-직무 적합성(P-J Fit) 및 개인-조직 적합성(P-O Fit), 그리고 직무만족 간의 인과관계를 중앙공무원을 대상으로 실증분석 하였다. 공공부문 종사자에게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공직봉사동기가 전략적 인적자원관리(SHRM)의 실현으로서 개인-직무 적합성과 개인-조직 적합성을 매개로 하여 구성원들의 직무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변수 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을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합리적동기와 감정적 동기는 개인-직무 적합성과 개인-조직 적합성에 큰 영향을 주지 않지만 규범적 동기는 개인-직무 적합성과 개인-조직 적합성의 강화에 유의미한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개인-조직 적합성만이 직무 만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감정적 동기는 직무만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Sobel-Test를 통해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개인-조직 적합성이 규범적 동기와 직무만족 사이에서 매개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 외에도 직접효과 및 간접효과를 분석한 결과 개인-조직 적합성이 공직봉사동기와 직무만족 사이에서 직ㆍ간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 결과들을 바탕으로 공직봉사동기의 전략적 인적자원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공직봉사동기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오화선,박성민 한국국정관리학회 2014 현대사회와 행정 Vol.24 No.2

        본 연구는 공직봉사동기(PSM)와 개인-직무 적합성(P-J Fit) 및 개인-조직 적합성(P-O Fit), 그리고 직무만족 간의 인과관계를 중앙공무원을 대상으로 실증분석 하였다. 공공부문 종사자에게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공직봉사동기가 전략적 인적자원관리(SHRM)의 실현으로서 개인-직무 적합성과 개인-조직 적합성을 매개로 하여 구성원들의 직무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변수 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을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합리적동기와 감정적 동기는 개인-직무 적합성과 개인-조직 적합성에 큰 영향을 주지 않지만 규범적 동기는 개인-직무 적합성과 개인-조직 적합성의 강화에 유의미한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개인-조직 적합성만이 직무 만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감정적 동기는 직무만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Sobel-Test를 통해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개인-조직 적합성이 규범적 동기와 직무만족 사이에서 매개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 외에도 직접효과 및 간접효과를 분석한 결과 개인-조직 적합성이 공직봉사동기와 직무만족 사이에 서 직·간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 결과들을 바탕으로 공직봉사동기의 전략적 인적자원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새 것 찾기’와 로컬리티의 서사 - 염인수의 문학 세계

        화선 어문연구학회 2018 어문연구 Vol.98 No.-

        This paper examines the literary world of Yeom In-soo, who was the chairman of the Daejeon branch of the Korean Writers Alliance in the Liberation Period by dividing into three stages, and investigates the identity of the literary world of Yeom In-soo, meanwhile, it aims to lay the foundations for restoring his position that has been excluded from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The first term of Yeom In-soo's literature was the time when he created a short novel in the Liberation Period. and it was the time when published works dealing with labor disputes based on his an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after he started his literary career by the recommendation of An Hoe-nam. Yeom In-soo shows a aesthetic attitude and sense that he captures the life force inside the workers without writing class conflicts in an abstract manner in the process of rewriting the world he experienced with his novels. The second term was the 80's, when Yeom In-soo hid himself for being a left-wing writer, when he published two books of short stories and one novel at the age of over seventy. The works in this period feature a narrative repetition that breaks the boundaries between reality and fiction appear. He mixes essay and novel genre grammar and creates his own heterotopia by repeatedly portraying the death experience of liberation space and his life sculpture. The third term was when he created an essay book after he was 80. He writes essays over and over again about everyday life, all his works and past life. His re-writing is based on his belief that 'expression of experience' is literature as a way of cheapness to say things beyond description. For him, literature is a journey in which he constantly 'find new things' in his environment. On the trail of exploration, which Yeom In-soo calls for 'finding new things,' is writing finally gets the physical quality that matches his life. Despite being forced to die and suffer symbolically due to literature, Yeom In-soo proves that 'he one who writes is a writer,' by himself. Thus, his writing creates a space of literary heterogeneity that overcomes the limits of ideology and obtains physicality, and practices the writing of locality that itself should not be judged by the standards of universal aesthetics. Therefore, literature directed by Yeom In-soo is located on the axis of space where life takes place, not on the axis of evolutionary time concept. Based on the legitimate literary evaluation of Yeom In-soo, he should restore his name, which has been excluded from the history of Daejeon literature as well as Korean literature. 본 논문은 해방공간 대전에서 문학가동맹 대전지부 위원장을 지낸 염인수의 문학세계를 세 단계로 나누어 살펴보고, 이를 통해 염인수의 문학세계가 지니는 정체를 규명하는 한편 그간 대전문학사, 나아가 한국문학사에서 배제되어 온 그의 자리를 복원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는 데 목적을 둔다. 염인수 문학의 제1기는 해방공간 대전에서 단편소설을 창작한 시기로, 소설가 안회남의 추천으로 문단에 등단한 뒤 그가 근무하는 농사시험장을 배경으로 노사갈등을 다룬 작품들을 발표한 때이다. 염인수는 자신이 체험한 세계를 소설쓰기로 재현하는 과정에서 관념적 태도로 계급갈등을 서사화하지 않고 노동자들 내면에 넘치는 생명력을 포착하는 미학적 태도와 감각을 보여준다. 제2기는 좌익작가라는 이유로 숨어 지내던 염인수가 일흔을 넘긴 나이에 2권의 소설집과 1편의 장편소설을 출간한 80년대로, 이 시기 작품에는 현실과 허구의 경계를 허무는 서사적 반복 행위가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염인수는 수필과 소설의 장르 문법을 뒤섞고, 해방공간의 죽음 체험과 자신의 인생 편린을 반복적으로 서사화하면서 그만의 헤테로토피아를 창조한다. 제3기는 여든 이후 지속적으로 수필집을 창작한 시기로. 그는 소소한 일상과 그가 썼던 모든 작품들, 그리고 지나온 인생역정을 반복해서 수필로 기록한다. 그의 다시-쓰기는 말할 수 없는 것을 말하는 염인수만의 방식으로서 ‘체험의 표현’이 곧 문학이라는 그의 신념에 근거한다. 그에게 문학은 자신이 처한 환경에서 끊임없이 ‘새것찾기’를 하는 여정이라 할 수 있다. 염인수가 ‘새것찾기’로 명명한 탐구의 길에서 그의 글은 비로소 삶과 일치된 육체성을 획득한다. 문학으로 인해 상징적 죽음을 당하고 고통을 겪을 수밖에 없었음에도 염인수는 ‘글을 쓰는 자가 결국 작가’라는 명제를 그의 삶 자체로 증명해 보인다. 그래서 그의 글은 관념의 한계를 극복하고 육체성을 획득하는 문학적 이종성의 공간을 만들어내며 그 자체가 보편적 미학의 잣대로 평가해서는 안 되는 로컬리티의 글쓰기를 실천한다. 따라서 염인수가 지향한 문학은 진화적 시간 개념의 축이 아니라 삶이 이루어지는 공간의 축 위에 위치한다. 염인수에 대한 정당한 문학적 평가를 바탕으로 그동안 대전문학사는 물론 한국문학사에서 배제되고 지워진 그의 이름을 복원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다비드 회화의 여성 이미지와 프랑스혁명기 평등의 이상

        화선(Park Hwaseon)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09 美術史學 Vol.23 No.-

        본 연구는 프랑스혁명을 전후한 시기에 제작된 다비드(Jacques-Louis David, 1748-1825) 회화의 여성 이미지를 혁명가들이 추구한 평등의 이상이라는 관점에서 고찰하는 것이다. 다비드가 평등의 이상을 구체적이고 본격적인 주제로 다룬 것은 아니다. 하지만 잘 알려져 있듯이 다비드의 작품세계는 당시의 정치현실과 맥을 함께 하고 있으며 ‘평등’은 프랑스혁명의 주요 모토였기 때문에 다비드의 회화 이미지 형성에 평등의 이상이 어떤 식으로든 작용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당시에 여성들도 남성들과 마찬가지로 공적 이슈들에 대하여 알고 있었으며, 1789년에 남성들처럼 혁명의 열광에 능동적으로 동참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남성과 여성에게 평등은 각기 다른 것을 의미했다. 혁명을 전후한 시기에 여성들의 공적 활동이 적극적으로 전개되고 여성 알레고리 형상들이 공적 영역에서 많이 등장했을 뿐만 아니라 혁명가들은 모든 시민의 평등한 권리를 주창하였지만, 이론적 담론을 통해서는 18세기 프랑스 사회가 그 어느 때보다 남성화된 사회였으며 여성에 대한 차별적 인식이 분명하였음이 확인된다. 혁명가들이 평등권을 회복하기 위해 타파하고자 했던 것은 구체제의 가부장적 권력에서 기인한 불평등이었으며, 따라서 혁명가들이 주창한 평등의 이상은 엄밀히 말해 남성들만의 것이었다. 여성들은 근본적으로 남성들의 공적 영역 밖에 억류되어 있었다. 다비드는 혁명 이전에 제작한 <호라티우스의 맹세>와 <브루투스>의 화면을 성별에 따라 두 영역으로 나누었으며, 공적 의무와 사적 감정 간의 갈등을 강조하기 위해 장면을 공공장소인 광장보다는 집안으로 선택했다. 성별로 양분된 이 그림들의 여성 이미지는 평등의 이상과는 거리가 멀다. 여성들의 정치적 활동이 법으로 금지된 공포정 시기에 제작된 <마라의 죽음>에서는 여성 이미지가 은폐되었다. 테르미도르 반동 이후 작품인 <사비니 여인들의 중재>는 여성의 가장 큰 덕성이 가정에 충실하는 것이며 ‘자연적인’ 여성은 ‘어머니’라는 것을 시사하고있다. 하지만 다비드는 화면을 차지하는 비중 면에서 성별로 차이를 두지 않았으며, 여성들을 중앙에 주인공으로 등장시키기도 하고, 여성의 모습이 드러나는 것을 꺼리며 은폐했을 때에도 직접적으로 드러내놓고 비난의 표적으로 삼지도 않았다. 어떤 경우든 혁명기에 그가 그려낸 여성 이미지에는 프랑스혁명의 평등의 이상보다는 혁명정치가들의 보다 현실적인 평등 원리가 전제되어 있었다. 다비드 회화의 여성 이미지에 투영된 평등의 이상과 현실은 그 간극을 좁힐 수 없는 채로 하나의 화면에 혼재해 있는데, 이는 다비드가 정치적 선전을 위한 하나의 이념 전달에 집중하기보다는 당시 프랑스 사회가 당면해 있던 현실적인 문제들을 사유의 테마로서 심사숙고했기 때문이라 하겠다. This paper is an attempt to interpret the images of women in the paintings of Jacques-Louis David(1748-1825) in relation to the ideal of equality. Equality wasn't dealt with as the main theme in David's paintings produced in revolutionary times. David's works, however, are situated within the political and social context. Like men, women were aware of public issues, and were swept up by revolutionary enthusiasm in 1789. By the summer of 1791, women were participating avidly in clubs and popular societies, joining fraternal societies for both sexes, attending as spectators the galleries of section assemblies, the national legislature, and radical clubs professing republican ideas. Nevertheless, equality meant different thing to men and women. The revolutionaries tried to recover the right of equality, but strictly speaking, the equality belonged to men. Fundamentally, women excluded from the public sphere, and the ‘proper’ place of women in society was domestic sphere. The terms ‘nature’ and ‘virtue’ had an ambivalent quality in republican discourse. They functioned to preserve difference and hence guarantee sexual inequality. The revolutionary generation regarded sexual inequality, not just difference, as a natural and a rational arrangement. A view of womanhood expressed on David's canvases was basically identical to the viewpoint of the leading revolutionaries. In〈The Oath of the Horatii〉and〈Brutus〉, David separated the realm according to the sex. Moreover, to emphasize the conflict between domestic sentiment and civic virtue, David has chosen to set his scene at home rather than in the forum. David's canvases display the gender polarization, and the results are far from equality. In〈The Death of Marat〉produced during the most radical period of the Revolution, female figure was suppressed. At this period, all women's clubs and associations were illegal.〈The intervention of the Sabine women〉suggests that woman's highest duty is fidelity to the family and the ‘natural’ woman is the mother. Equality dealt with on David's paintings is not the ideal one, but a reflection of a complex thinking shaped between the ideal and the real.

      • KCI등재

        『滿鮮日報』에 수록된 일제말 아동문학 연구

        화선(Kim Hwa-Seon) 한국비평문학회 2004 批評文學 Vol.- No.19

        In this dissertation I have intended to examine children's literature and discourse about children in 『Manseon daily newspaper 』.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literature in the period of Japanese domination by force and to explore children's was recorded in『Manseon daily newspaper 』『Manseon daily newspaper』was a daily newspaper which was published in Manchuria during 1936-1945.<br/> Since there was no thesis about children's literature on 『Manseon daily newspaper』, this study has explored the juvenile literature and the discourse of children written in 『Manseon daily newspaper』 .<br/> The discourse about children in children's page of 『Manseon daily newspaper』 emphasized the sanitary and the health of children. Many articles related to war showed that 『Manseon daily newspaper』 spoke for Japanese imperialism. Japanese imperialism regarded children of Choseon in Manchuria as nationals.<br/> Many pages for children of 『Manseon daily newspaper』 were recorded many fairy tales, children's verse, children's song, children's drama and so forth. This dissertation has classified into three items. The first type of the works was reflected in schooldays and poverty, for example 「 A Blue Bird」, 「A Skin bag」, 「Search for my father」. The second type of the works was expressed the pain of emigration and disperse, for instance 「The Sea」, 「The Ground」,「The Spring of Dooman river」, 「A Boat」,「A Spring」, 「A Magpie」,「First Fall」,「We are farmers」, 「A Letter」. The third type of the works of children's literature propagandized Japanese imperialism along the line of national policy. For example 「A Vacation」, 「Cheoli and Sports」, 「A Boy who plays the trumpet」, 「A Spring rain」.<br/> Therefore in this paper, I can conclude that the children in Manchuria were under the Japanese imperialism and had possibility to escape from colonial time. But I can't find the foundation of resistance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in the field of children's literature at Manchuria.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