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희대학교 ‘학술적 글쓰기’ 교육의 방향과 실제-‘글쓰기 2’ 『대학 글쓰기: 세계와 나』 교재와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오태호 우리어문학회 2014 우리어문연구 Vol.49 No.-

        경희대의 ‘학술적 글쓰기’는 A4 1장 정도의 5단락 글쓰기를 반복 훈련함으로써 비판적 사고와 논리적 표현을 강화하고, 세계를 해석하면서 새로운 관점으로 자신의 인문교양을 함양하는 데에 그 특징을 두고 있다. 특히 ‘글쓰기 2’ 교재의 핵심 특징은 2장의 ‘인간, 욕망, 공동체, 자본주의, 문명, 지구 등’의 테마에 대해 A4 1장 정도의 5단락 글쓰기로 원고를 작성하여 ‘읽고 생각하고 쓰기’를 반복 훈련하는 것에 있다. 즉 하나의 주제에 대해 인문학, 사회과학, 자연과학, 의학, 예체능 등 다양한 분야의 관점에서 각론적 주제를 도출할 수 있도록 배치한 것이다. 이 반복 훈련은 이후 ‘5단락 글쓰기의 확장형으로서의 소논문 작성’을 수행할 때 든든한 기초 체력으로 작동한다. 필자는 필자의 2013년 1학기 수업 중 ‘온라인 합평, 중간고사 대체 학위논문 요약 및 논평, 소논문 작성 발표 사례’ 등을 통해 경희대학교 ‘글쓰기 2’ 수업의 실제를 검토하였다. ‘글쓰기 2’ 교재의 내용을 충실히 수업하면서 오프라인 토론을 진행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온라인 합평’과 ‘중간고사 대체 학위논문 요약 및 논평’을 적극적으로 실시함으로써 학생들로부터 학습 효과에 대한 유의미한 평가를 받았다. 그것은 교수자가 제시한 수업 목표와 수행 과제를 학생들이 묵묵히 수행함으로써 얻어진 결과라고 판단된다.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의 학술적 글쓰기는 지속적인 각론으로서의 프로그램을 개발하며 변신 중이다. 그 저변에는 교수자와 학습자 사이에 교육 목표와 과정, 내용을 공유하는 피드백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러한 ‘온-오프라인에서의 피드백’을 통한 공감대 형성의 글쓰기 방법을 경희대 ‘글쓰기 2’ 수업의 구체적 사례를 통해 분석하였다. 오프라인 수업과 온라인 합평을 연계하고 결합한 수업 방식은 지속적으로 개발되어야 할 프로그램이라고 판단된다. Critical thinking and expression in academic writing is a means of leverage to enhance writing to emphasize liberal arts ever. Kyunghee university’s ‘writing 2’ focuses on a logical representation and critical thinking by the strengthening of ‘5 paragraph essay writing as an extension to complete’. that is the goal of this class. Kyunghee’s ‘academic writing’ sheets of A4 1 is repeated five paragraph writing train. While enhancing critical thinking and logical representations foster a liberal arts putting on its features. ‘Writing 2’ are key features of the teaching in 2 chapter ‘human desire, community, capitalism, civilization, earth, etc’. for the theme of the sheets of A4 1 to manuscript writing a ‘5 paragraph’ of the ‘reading, writing, and thinking’ repeat training thereof. That is one of the topics in the humanities, social sciences, natural sciences, medicine, arts, physicals, etc. The purpose of each in terms of a wide range of theoretical topics will be posted so that you can draw. After repeated training as an extension to ‘5 paragraph essay writing’ write to complete the work of the strong fundamentals. The first semester of the 2013 class’ ‘online happyeong(=joint review)’, ‘mid-term alternative thesis summary and commentary’, ‘small essay writing practice’, and the Kyunghee University’s Writing 2 examined the actual class. ‘Writing 2’ faithfully the content of textbooks and teaching was conducted off-line discussions. As well as ‘online happyeong’ and ‘mid-term alternative thesis summary and commentary’ by actively conducting evaluation was more than expected from the students. It is presented by Professor Objectives forced to self-perform the tasks in silence and accept the responsibility of students. Writing is academic writing of university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and transformation as being particulars. Between the teacher and the learner objectives and process of education, to share information, work must be preceded feedback. ‘On-off-line feedback’ through the landscape of writing Kyunghee consensus ‘Writing 2’ through teaching academic writing in progress. Because Humanitas is ‘writing people’.

      • KCI등재
      • KCI등재

        1950년대(1953∼59) 『조선문학』에 게재된 전후(戰後) 북한 대표 단편소설 연구 - 인물 형상화의 서사적 개연성을 중심으로 -

        오태호 국제어문학회 2022 국제어문 Vol.- No.94

        This study examined the flow of North Korean literature around the 1950s, including four works: Byun Hee-geun’s “Shining Prospect,” Kim Man-sun’s “Taebong Ryeonggam,” Lee Geun-young’s “They Did Not Give in,” and Hwang Geon’s “Do-Rae-Goop-Yi,” which has not been mentioned in literary history since the 1950s. These works correspond to texts in which three-dimensional evaluation of works is conducted in the contemporary period of the 1950s. However, since these have either been rewritten or excluded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negativity has been reduced or deleted, and only positive aspects are highlighted, and are referred to as the epitome of contemporary literature. By reviewing the meaning of such literary history selection and exclusion, the schematic trend of North Korean literature in the 1950s can be critically analyzed. Byun Hee-geun’s “Shining Prospect” is a representative short story of North Korean literature around the 1950s, and the characters of wife Hye-sook and husband Yun-ho are judged to secure the typicality of the times and the three-dimensional character. In Lee Geun-young’s “They Did Not Give in,” in the conversation between Man-sul and his wife, the narrative aesthetics of the work are captured in the form of realistic dialogue statements. In Kim Man-sun’s “Taebong Ryeonggam,” the negative nature of Taebong’s behavior of not hiding his private desires is part of the character’s liveliness. In Hwang Gun’s “Do-Rae-Goop-Yi,” the epic reality stands out in the part where Jung-ok agonizes over his feelings for ‘boyfriend’ Myung-hoon, who lost his sight in the war while psychologically conflicting in “Between Friendship and Love.”After the Korean War, North Korea’s representative short stories in the 1950s are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they deviate from the single-oriented dogma implied by socialist realism and party literature as three-dimensional evaluations by various commentators progressed. In particular, it is considered meaningful in that the characters are not only immersed in the sense of purpose for the socialist construction task in the post-war restoration construction period, but are embodied as beings who own three-dimensional landscapes surrounding themselves and the world. 본고는 한국전쟁 이후 1950년대 북한의 대표 단편소설 중 변희근의 「빛나는 전망」, 김만선의 「태봉령감」, 이근영의 「그들은 굴하지 않았다」, 황건의 「도래굽 이」 등 네 작품을 선정하여 인물 형상화의 서사적 개연성을 중심으로 북한문학 의 리얼리티를 해명하고자 기획되었다. 이 작품들은 1950년대 동시대에는 작품 에 대한 입체적 평가가 진행되는 텍스트들에 해당한다. 그러나 앞의 세 작품은 문학사에 기입되면서부터 부정성은 축소되고 긍정적인 측면만이 부각되면서 당 대적 문예의 전형으로 호명된다. 반면에 황건의 작품은 문학사에서 배제되면서 언급 자체가 사라진다. 이러한 문학사적 선택과 배제의 의미를 검토함으로써 1950년대 북한문학의 도식주의적 경향을 비판적으로 독해할 수 있었다. 변희근의 「빛나는 전망」은 부부인 혜숙과 윤호의 캐릭터가 시대적 전형성과 인물의 입체성을 확보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리근영의 「그들은 굴하지 않았다」 는 만술과 아내의 대화 등에서 드러나듯 실감 나는 대화적 진술의 형상화에서 작품의 서사적 미학이 포착된다. 김만선의 「태봉 령감」은 부정적 인물인 태봉 영감이 자신의 사적 욕망을 숨기지 않으려는 행태를 적극적으로 표출함으로써 인물의 생동감을 보여준다. 황건의 「도래굽이」는 정옥이가 ‘우정과 사랑 사이’에 서 심리적으로 갈등하면서 전쟁통에 실명(失明)한 명훈이에 대한 연애 감정을 고뇌하는 대목에서 서사적 리얼리티가 돋보인다. 한국전쟁 이후 1950년대 북한의 대표 단편소설들은 다양한 논자들의 입체적 평가가 진행되면서 사회주의 사실주의를 기반으로 당문학이 표방하는 단일적 지 향의 도그마로부터 벗어나 있다. 특히 등장인물들이 전후 복구 건설 시기에 당 면한 사회주의 건설 과업에 대한 목적의식에만 몰두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과 세 계를 둘러싼 현실을 마주하며 입체적인 내면 풍경을 소유한 존재들로 형상화되 고 있다는 점에서 유의미한 캐릭터라고 판단된다.

      • SCOPUSKCI등재

        잡종견에서 발생한 다발성 낭종성 신증

        오태호,윤화영,한홍율 한국임상수의학회 2001 한국임상수의학회지 Vol.18 No.1

        Five-month-old a female mongrel puppy weighing 3.5 kg showed no systemic disorder and particular discomfort except abdominal distension at the first visit. On physical examination an irregular abdominal mass was palpated. One month later she was clumsy and uncoordinated. In addition, lethargy and anorexia were appeared. Then she became comatose and died in spite of initial therapy. In radiographic examination enlargement of both sides of kidney was observed. The hematological examination the dog had WBC of 16,250/$\mu$l, RBC of $7.2{\times}10^6$ $\mu$l, PCV of 32%, total protein of 8.0 g/dl, and fibrinogen of 900 mg/dl. In serum chemistry BUN was 87.4 mg/dl and creatinine was 5.1 mg/dl. Urinalysis revealed pH of 5.6, SG of 1.009 and protein of 500 mg/dl. In urine sediment test many RBCs, leukocytes, inflammatory cells and a few epithelial cells were observed. On histopathologic examination the size of right and left kidney were 15 cm, 16 cm in length, 6 cm, 6 cm in widths, respectively. Both sides of kidney were filled with brown-orange fluid and had irregular capsular surface. The cysts of various sizes were located throughout the cortex and medulla. No abnormality was found in any other organs. Histologically, cyst was lined by cuboidal to slightly flattened tubular epithelium and surrounded by mature fibrous connective tissue. Glomeruli, tubule and renal pelvis remained normal between cysts and exfoliated epithelial cells.

      • SCOPUSKCI등재

        상용샴푸가 정상견의 피부 pH에 미치는 영향

        오태호,박성준 한국임상수의학회 2001 한국임상수의학회지 Vol.18 No.4

        개의 피부질환은 발생이 매우 높은 질환으로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나 대부분 장기간의 치료가 요구되거나 완치가 되지 않고 평생 치료를 받아야 하는 경우가 많다. 샴푸는 원발성 원인 치료에 보조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처방샴푸 치료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피부표면 pH에 대한 다양한 샴퓨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샴퓨를 정상견의 피부에 적용한 후 피부 pH 측정기를 통해 pH를 측정하였으며 적용된 샴푸는 Humilac, Sebocalm, Sebolytics, Etiderm, PEroxyderm, HyLy-T, Zn-7를 이용하였다. 해부학적 위치에 대한 피부 pH는 우측 흉부가 7.66$\pm$0.10으로 가장 높았고 좌측 이개는 6.20$\pm$0.23으로 가장 낮았으나 모두 정상 범위 (6.2-7.8)이었다. 샴푸 적용후 7분에 Humilac (p<0.01), Sebocalm(p<0.01), Etiderm(p<0.01), Peroxyderm(p<0.01), 과 Sebolytics (p<0.05)가 detergent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며 Humilac과 Sebocalm은 정상범위 보다 낮게 나타났다. HyLy-T와 Zn-7 Derm은 적용후 17분에는 샴푸를 적용한 모든 피부의 pH는 증가하였으며 77분에 다소 증가하였다. 본 실험을 통해 처방 샴푸는 피부의 pH를 낮추었고 그 효과는 즉시 나타났으며 피부 pH 측정기는 피부의 pH측정에 실제적이며 간단한 방법으로 생각된다. Shampoos are used routinely by a large number of veterinarians to treat skin diseases. Skin pH is affected by shampoos, however, known to occur.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 of shampoos on skin surface pH, we performed the measurement of skin pH using skin pH meter PH900 in five healthy mixed breed dogs. The seven commercial shampoos: Humilac, Sebocalm, Sebolytics, Etiderm, PEroxyderm, HyLyt and Zn-7 Derm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anatomical sites, right thorax was the highest pH (7.66$\pm$0.10), and the lowest pH (6.20$\pm$0.23) was left pinna. A statis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skin pH was found 7 minutes after application of Humilac, Sebocalm, Etiderm, Peroxyderm (p<0.01) and Sebolytics (p<0.05). After 17 minutes of application skin surface pH was inclined to increase in every shampoos but the degree of increase was slight at 77 minutes. No statis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HyLy-T and Zn-7 Derm, but skin pH was normal range (6.2-7.8) after application. Throughout the experiment skin surface pH was maintained above pH 7.0 in detergent. The commercial shampoos, Humilac, Sebocalm, Etiderm, had the decreasing effect on skin surface pH in dogs. The other four shampoos maintain the skin pH normal range. The skin pH meter PH 900 was found simple and useful for skin pH measurement.

      • KCI등재

        철도 비승차 이용객을 고려한 역사 시설물별 적정규모 산정방안

        오태호,이선하,강희업,Maria Sharlene L. Insigne,이상재 한국ITS학회 2017 한국ITS학회논문지 Vol.16 No.4

        국내 철도역사는 규모설계 시 4단계 교통수요모델을 기반으로 산출된 1일간의 철도 승·하차 이용객을 기준으로 한다. 하지만 역사기능의 다양화로 비승차객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를 반영하여 철도역사 설계 시 비승차객 할증율을 역사 유형에 따라 적용하고 있지만, 적용기준에 대한 구체적인 근거가 미비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형별 철도역사를 대상으로 역사 이용객의 실측자료를 바탕으로 비승차객 할증율을 재산정하고자 한다. 이후 콘코스, 편의시설, 화장실 등이 포함된 철도역사를 대상으로 보행자 시뮬레이션을 통해 설계면적의 적정성평가를 시행하였다. 실측조사에 따른 비승차객 비율을 고려한 역사 설계 시 현황 기준을 적용한 역사 대비 전체 면적이 감소(약 45%)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시설물 별 적정 서비스수준을 만족하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The Area of a domestic railway station is designed based on the 4-step traffic demand forecasting model with the average daily passenger count as one of its parameter. However, nowadays, due to increasing rate of railway station's function, the non-passengers are increasing. In order to consider those non-passengers who aren't using trains, assumed volume are added to the average daily passenger count of station to estimate the area, but the criteria being applied has no concrete basi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recalculate the increasing non-passenger rate based on actual survey data of station users in any type of railway station to obtain the optimum area. Subsequently, the the design area was performed through pedestrian simula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imulation, it was found that the total space of the exciting railway stations can be reduced up to 45% and will still satisfy the level of service(LOS) requirement.

      • KCI등재

        전쟁과 평화의 변곡점, 1등주의의 지향과 경쟁 담론의 형상화-2018년 『조선문학』을 통해 본 북한문학의 변화 양상

        오태호 상허학회 2020 상허학보 Vol.58 No.-

        이 글은 2018년 『조선문학』에 게재된 대표작 6편을 토대로 북한문학의 변화 양상을 추적하였다. 주지하다시피 2018년은 2월 평창올림픽 개최를 기반으로 한반도의 평화체제 구축 분위기가 이어지고 있는 해이다. 특히 4․27 남북 정상회담과 6․12 북미 정상회담이 개최되었으며, 2019년 12월 현재에 이르기까지 남북미 간의 협상 진행 과정에서 미묘한 부침이 지속되고 있긴 하지만, 아직 큰 틀에서는 한반도 비핵화 궤도에서 벗어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시기에 2018년 『조선문학』을 일별하면서 북한 문학의 변모 양상을 점검하는 것은 2018년 이후 현재에 이르는 북한 사회의 변화된 지향성을 가늠하면서 한반도 평화 체제 구축 분위기의 현재성을 파악함과 동시에 근미래적 평화 체제의 가능성을 문학적으로 모색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의미있는 작업에 해당한다. 이 글에서는 전쟁과 평화의 변곡점이자 1등주의적 지향과 경쟁 담론이 형상화된 시기로 2018년 『조선문학』을 검토하면서 북한문학의 변화 양상을 주목하였다. 그리하여 첫째로 ‘전쟁 분위기’를 피력한 작품으로 리동구의 「성전의 나팔소리」와 리성철의 「나의 입대탄원서」를 분석하였다. 둘째로 ‘한반도의 평화’를 기대하는 작품으로 렴형미의 「평화」와 방명혁의 「그이의 발걸음」를 분석하였다. 셋째로 ‘1등주의의 지향과 경쟁 담론의 형상화’를 보여주는 작품으로 리명선의 단막희곡 「보답」과 김성옥의 시 「너와 경쟁한다」를 분석하였다. 2019년 12월 현재 읽어낸 2018년의 『조선문학』은 2017년까지의 북한문학과 닮아 있으면서도 조금은 다른 표정을 보여준다. 즉 2017년까지 전쟁 위기를 설파하던 분위기가 2018년 1호에서는 두드러지게 드러난다. 하지만 2018년 2호 이후에는 평화에 대한 지향을 보여주면서 사회주의 현실 주제에서는 1등주의를 지향하는 경쟁 담론이 다양하게 제기되고 있음이 주목된다. 2016년 이래로 ‘자강력 제일주의’를 표방하는 가운데 2018년 이후의 북한은 북미 관계의 부침 속에서도 ‘자력갱생’과 ‘경쟁 담론’ 속에 생존과 활로를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The main textbook tracks the changing pattern of North Korean literature through the 2018 book, "Chosun Literature." Since the PyeongChang Olympics were held in February 2018, the mood for establishing a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has continued. In particular, the 4.27 inter-Korean summit and the 6.12 North American summit were held. The mood for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continues until December 2019. The pattern of changes in North Korean literature in 2018 allows us to gauge changes in North Korean society. It will allow us to seek literary possibilities for the future system of the Korean Peninsula. The year 2018 is a turning point for war and peace and a time when rival discourse has emerged. Firstly, it was the work that expressed the ‘war mood’ and analyzed Li Dong-gu’s [The trumpet of a holy war] and Ri Sung-chul’s [My application for enlistment]. Second, the works expected to be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were analyzed by the analysis of Ryeom Hyung-mi’s [Peace] and Bang Myung-hyuk’s [His steps]. Thirdly, it is a work that shows ‘The Rise of Competition Talk’, which analyzes Ri Myong-sun’s short-act play [Repayment] and Kim Seong-ok’s poem [Compete with you]. The 2018 {Chosun Literature} has a different look even though it resembles North Korean literature until 2017. In other words, the atmosphere of preaching the mood of war until 2017 on the Korean Peninsula’s denuclearization journey is conspicuous in the first edition of 2018. However, after its second edition in 2018, it shows its orientation toward peace. In addition, the topic of socialist reality is drawing attention to a variety of competitive discourse aimed at first-classism. Since 2018, North Korea, which advocates "self-reliance," is seeking to change. Even amid the ups and downs of U.S.-North Korea relations, the two sides are believed to be seeking survival and a way out amid "self-rehabilitation" and "competition discourse."

      • KCI등재

        김정은 시대 북한문학에 나타난 과학기술자 형상화 고찰: 최근 『조선문학』(2020~2022)에 게재된 시와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오태호 북한연구학회 2023 北韓硏究學會報 Vol.27 No.1

        This paper is written to examine the pattern of the shaping of scientists and engineers in North Korean literature during the Kim Jong-un era, focusing on the text published in 『Chosun Literature』 between 2020 and 2022, during the COVID-19 period. Since the 7th Party Congress in 2016, North Korea has continued to express expectations for a science and technology powerhouse beyond “imperialist blockade” and “frustration of the North Korea-U.S. summit” until recently before and after the 8th Party Congress in 2021. In the short story, Cho Hoon-il’s 「White-Eye Maiden」 analyzed the meaning of the shape of a female scientist lying in bed due to “hair loss and gas poisoning” while devoted to metal research. In Lee Chul’s science fantasy novel, 「Higher Faster」, the character of a three-dimensional figure was analyzed through the contents of a young chemist who was in internal conflict due to a conflict of opinions on Earth. Second, Kim Hye-young’s 「Luck」 focused on the devoted efforts of the scientist’s head of households on business trips throughout the country like the “modern Hong Gildong” and the sacrifice of his wife behind it. Song Hye-kyung’s 「Talent」 noted the concreteity of the meaning of the leader Kim Jong-un, who selects “pioneering talents in future science” as “Today’s National Scientist.” The poems paid attention to Lee Myung-ok’s 「Doctor of Women’s Engineering I Know」 and 「The House of Scientists」 by Ryum Hyung-mi. In the works of the two poets, the devoted exploration of minerals by the “Female Engineering Doctor” and the story of married scientists who succeeded in launching satellites are captured as poetic seeds, embodying the unique delicacy and maternal dedication of female scientists. In the end, the “image of a scientific engineer” revealed in literary works presupposes the love of the people of the leader, but it is seen as a struggle to build a socialist powerhouse through self-reliance beyond imperialist blockade. 본고는 코로나 시기인 2020~2022년 사이에 『조선문학』에 발표된 텍스트를 중심으로 김정은 시대 북한문학에 나타난 과학기술자 형상화 양상에 대해 고찰하기 위해 작성된다. 2020년대 초반 북한은 2016년 제7차 당대회 이래로 2021년 제8차 당대회를 전후한 최근까지 ‘제국주의 봉쇄’와 ‘북미 정상회담의 좌절’을 넘어 지속적으로 과학기술 강국에 대한 기대를 표명하고 있다. 그리하여 『조선문학』에서도 지속적으로 ‘과학기술 지향’을 드러내는 문학 작품들이 게재되고 있기 때문에 이 연구는 북한문학의 동시대적 현장을 독해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적 접근에 해당한다. 단편소설에서는 먼저 ‘청년 과학자의 두 양상’으로 조훈일의 「흰눈처녀」에서는 금속 연구를 위해 헌신하다 ‘탈모와 가스 중독’으로 병상에 누워 있는 여성 과학자 형상의 의미를 분석하였고, 과학환상소설인 리철의 「더 높이 더 빨리」에서는 지구에서 의견 충돌로 내적 갈등을 벌이던 두 청년 화학자가 우주 비행에서 의기투합을 벌이는 내용을 통해 입체적 인물의 성격을 분석하였다. 두 번째로 ‘수령형상문학에서의 과학 인재 형상’으로 김혜영의 「행운」에서는 ‘김정일의 지도’로 ‘현대판 홍길동’처럼 전국 곳곳으로 출장길에 오르는 과학자 가장의 헌신적인 노력과 그 이면에 깔린 아내의 희생을 주목하였고, 송혜경의 「인재」에서는 ‘미래 과학의 선구적 인재’를 ‘오늘의 국가과학자’로 선정하는 김정은 수령형상이 내포하는 의미의 구체성을 분석하였다. 시에서는 리명옥의 「내가 아는 녀성공학박사」와 렴형미의 「과학자의 집」을 주목하였다. 두 시인의 작품에서는 ‘여성공학박사’의 광물에 대한 헌신적 탐구, 인공위성 발사를 성공시킨 부부 과학자 내외의 이야기 등이 시적 종자로 포착되면서 여성 과학자 특유의 섬세함과 모성적 희생의 노력이 형상화된다. 결국 문학작품 속에서 드러난 ‘과학기술자의 형상’은 지도자(김정일 또는 김정은)의 인민 사랑이 전제되긴 하지만, ‘개별 과학자의 헌신과 희생, 신념에 찬 노력’을 기반으로 제국주의 봉쇄를 넘어 자력갱생을 통해 사회주의 강국을 건설하기 위한 분투로 포착되고 있음이 드러난다. ‘과학기술자 형상화’는 김일성과 김정일 이래로 김정은 시대에 이르기까지 북한식 ‘과학기술 강국’에 대한 강조 속에 대내외적 고립을 넘어 자력갱생의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한 북한식 특유의 자구책에 해당한다. 여전히 ‘과학자와 기술자’가 농업, 어업, 임업 등 각종 산업 분야에서 ‘새로운 인재’로 생산력의 비약적 발전을 위해 헌신하고 있는 것으로 그려지기 때문이다. 물론 그 중심에는 ‘전민과학기술인재화’의 모토 속에 ‘인민대중제일주의’를 실현하려는 ‘김정은의 영도’가 ‘인민사랑’의 위민 정신 속에 핵심으로 자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