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주 목축문화 자원을 활용한 문화관광상품 개발연구

        오창윤(Chang Yoon Oh),조윤설(Yoon Seol Jo)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1 No.1

        제주는 천해의 자연환경과 독특한 문화 자원을 중심으로 지난해 입도(入道) 관광객 1200만명 시대를 열며, 세계적인 관광제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런 환경속에서 관광의 패턴 변화, 라이프스타일의 변화는 제주의 관광 변화 욕구로 이어지며, 새로운 물적 환경을 요구하고 있다. 제주의 대표산업인 관광산업과 말(馬)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관광객의 변화욕구 충족과제 환경을 배경으로 새로운 물적 환경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하며, 독특한 제주문화를 느낄 수 있는 다양한문화관광상품 개발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제주에 문화 중 목축문화라는 범위를 설정하고, 말(馬)을 중심으로 문화관광상품 개발연구를 함으로서 조랑말박물관의 활성화와 말(馬)산업, 제주 관광산업 발전에 기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과정 및 결론은 첫째, 문헌조사를 통해 목축문화의 개념을 정의하고, 문화관광상품의 개념 및 역할, 제주목축문화 자원을 조사·정리하였다. 둘째, 현재제주조랑말박물관에서 판매되고 있는 문화관광상품의 현황을 조사·분석하였다. 분석은 설문지를 작성하여 총 15일간 설문을 진행한 후 상품구매자의 구매성향을 파악하고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제주 문화관광상품은 관광지가 갖는 고유 컨텐츠 활용부제, 저가상품위주의 상품개발로 인한 질적 저하, 세련되지 못한 디자인, 독특한 문화자원을 문화관광상품에 담아내지 못하고 있는 점 등 다양한 문제점이 나타났다. 셋째, 분석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바탕으로 재료의 혼합, 캐릭터개발과 자연형상 중심, 편집디자인 중심으로 구분하여 상품개발 방향을 설정하고, 지역적 특징과 목축문화의 특성이 담긴 문화관광상품을 개발·제시하였다. With its attractive natural environment and unique cultural resources, Jeju have had about 12 million visitors visiting the island, transforming as a world class tourist attractions. Under this circumstance, the changes in tourism patterns and lifestyles led to the change of tourisms in Jeju, requiring a new physical environment. It must be devised afresh according to the changing needs of tourists based on the existing environment and development of various cultural tourist products to hold the unique culture of Jeju are essential in order to advance the horse industry which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industries of Jeju. In this sense, this research sets the nomadic culture as a study scope among many other cultures of Jeju in an attempt to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the Jeju Horse Museum and the development of the tourism industry of Jeju by researching to produce proper cultural tourist products concentrated on a horse. The processes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a concept of nomadic culture was defined, and a concept and a roles of a cultural tourist product and nomadic cultural resources of Jeju were researched and summarized through literature studies. Second, the current status of cultural tourist products being sold at the Jeju Horse Museum were researched and analyzed. For this, the surveys were conducted for total 15 days and the purchasing dispositions of the products consumers were identifi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cultural tourist products of Jeju demonstrated numerous problems including the absence of unequalled contents application, poor qualities due to the development focused on the aspect of low price, and unsophisticated design, failing to contain an exclusive cultural resources. Third, based on the problems identified in the course of analysis, the product development direction was set as categorizing according to the collaboration of materials, development of characters and natural shapes, and editorial design, and the cultural tourism product was developed/suggested with localities and features of the nomadic culture.

      • KCI등재

        제주공예(濟州工藝) 경쟁력 강화를 위한 공예자원 조사

        오창윤(Oh, Chang Yo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4 No.3

        본 연구는 제주 공예자원에 대한 개념설정과 분류를 하고, 공예자원 및 공예인 현황조사를 통해 제주공예의 경쟁력 강화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현재의 제주 공예자원에 대한 올바른 이해는 새로운 공예문화 창출의 출발일 수 있다. 이런 맥락에서 제주 공예자원 조사는 현재, 제주의 공예, 공예공방, 공예인 등 구체적인 공예자원이 어떤 것들이 있는지를 파악해보는 의미 있고 기본적인 과정이다. 그동안 이와 같은 조사 및 연구과정이 없었고, 공예자원들이 소규모 형태로 제주 전 지역에 분포하고 있어 쉽지 않는 과정이었다. 연구 내용 및 결과는 첫째, 문헌연구를 통해 공예자원의 개념과 특성, 공예분류의 유형과 요소들을 탐색하였다. 둘째,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검색주제 설정과 검색과정을 거쳐 제주 공예자원의 개념설정과 분류를 한 후 공예자원을 조사하였다. 분류는 공예상품이 판매되는 곳, 공예 관련 전시 공간, 공예공방, 공예 관련 축제, 공예를 이용한 공공미술 프로젝트, 스토리텔링을 통해 운영되고 있는 체험길, 새로운 형태의 공예 공간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조사결과를 유형별로 나누어 정리하고 위치 맵(Map)으로 제작하여 제시하였다. 제주의 공예자원은 제주 전체에 걸쳐 전통개념의 공예자원 외에 새로운 형태의 자원들이 최근 생겨나고 있었고, 다양한 자원을 보유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자원조사에서 나온 결과와 제주의 특수성, 산업구조의 이해 등을 바탕으로 공예자원의 클러스터(Cluster) 구축, 코스관광 상품 개발, 3차 산업과 6차 산업과의 융합된 방향성 모색, 최근 트렌드(Trend)를 반영한 마케팅 전략, 지속 가능한 공예축제(Jeju Craft Week)의 개최라는 제주공예 경쟁력강화방안을 제언하여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nd classify conceptions of resources for craft of Jeju and suggest ways to improve competitiveness of craft of Jeju by conducting a survey on a current state of craft resources and craft artists in the region.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state of the resources of craft of Jeju can be a starting point to create a new culture of craft. In this sense, a survey on the resources is a significant and basic proces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e of craft art of Jeju and recognize specifically what resources for craft, such as craft studios and craft artists, the region has. To date, such survey or study has not been carried out, and craft resources were spread throughout the entire Jeju in small scales, making the survey difficult. First, conceptions, characteristics, types and factors of classification of crafts were examined through literature study. Next, based on the study of literature, conceptions of craft of Jeju are established and classified by setting research topics and processes, and a survey on resources for craft was conducted. The craft of Jeju was classified into places where they are sold, places where they are exhibited, studios, craft festivals, public art projects involving craft, trails with storytelling, and a new type of craft space. Also the survey result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ypes and created as a map. Along with traditional craft art resources throughout Jeju, new types of the resources have recently been emerging, and the region turns out to hold a variety of resources. Lastly, this study suggests various ways to enhance competitiveness of craft of Jeju based on the survey results and understating of uniqueness of and industrial structures of Jeju, including establishment of a cluster for craft art resources, development of tourism products, seeking for convergence of the tertiary sector and the senary industry, marketing strategies reflecting the recent trend, and sustainable craft festivals (Jeju Craft Week).

      • KCI등재

        제주 버네큘러 디자인(Vernacular Design)의 Ceramic Design적 재해석 제주옹기와 화산석의 활용을 중심으로

        오창윤 ( Chang Yoon Oh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2 탐라문화 Vol.0 No.40

        버네큘러 디자인(Vernacular Design)의 의미는 지방적, 원시적, 토속적, 작가미상의 자연발생적으로서 비주류, 주변의 성격을 내포하고 있다. 즉 공식적인 계획이나 의식적인 사고가 결핍되어 있는 디자인을 말하는 것이다. 의미만을 생각하면 뒤떨어진 느낌이 들지만 오늘날의 디자인에서 발견할 수 없는 완벽성과 명료성이 내재되어 있다. 이는 디자인 생성이 단순히 진행된 것이 아닌 문화, 기후, 풍토 등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면서 그 환경에 적합한 형태로 진화 발전하였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제주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자연환경과 생활관습을 포함한 문화원형은 다양한 버네큘러적 요소를 지니고 있으며 디자인의 다양성을 이끌어낼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런 생각에서 출발하여 토속디자인의 개념인 버네큘러 디자인의 의미와 특성을 알아보고 버네큘러 디자인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또한 버네큘러 디자인의 요소를 다분히 포함하고 있는 제주옹기와 화산석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제주문화의 전통성을 활용한 Ceramic Design적 재해석을 통해 제주 도자디자인의 나아가야 할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였다. The meaning of Vernacular design includes non-mainstream cha-racteristics of local and native aspects whose authorship is unknown, which have occurred spontaneously. That is to say, design which has no official and purposeful plan. The meaning seems to be behind the times, but it has a little clarity which is never found in current design. That`s because design is influenced by nature such as culture and climate, and developed into a new form in nature. Jeju culture is a part of Korean culture but it has its own distinct culture and customs influenced by the Jeju natural environment and historical background. Jeju local culture is inherited by the offspring from one generation to the next in the Jeju natural environment. We can deduce various vernacular designs from the Jeju natural environment and lifestyle. This thesis aims to find out the meaning of vernacular design and its protocols by examining Jeju Onggi and volcanic rock. This thesis shows a new method and way by which Jeju ceramic design can be understood by analyzing vernacular design. By using basalt and its unique tactile nature, manufactured goods were produced with new and important characteristics. This means that while Onggi has been just for saving something, the products I researched will allow for a new interpretation of our experiences as well as creating new experiences in the future. As a result of analyzing manufactured products (the object of my research), we can find out from Jeju Onggi, the original vernacular and other vernacular (basalt) engraft, when the second vernacular design is formed. This goal of my thesis is to rediscover Jeju culture and to reevaluate its significant and distinctive nature. This will allow an important aspect of Korean culture to pass from one generation to the next and thus be preserved. This research can facilitate the continued advancement of Jeju ceramic design. Vernacular design is a dynamic phenomenon which has been developed in the context of a cultural background and will be connected to the future endlessly. In this way, the past culture is not just past culture, but will provide the basis for an ongoing cultural evolution that may one day form a new and distinct culture. I hope this approach will inspire a variety of new studies into how traditional culture influences ceramic design.

      • KCI등재

        간섭채널에서 에너지 효율적인 전송률 스케줄링을 위한 게임이론적 접근

        오창윤(Chang-Yoon Oh)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4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9 No.8

        게임이론을 적용하여 에너지 효율적인 전송률 스케줄링 방안을 제안한다. 먼저, 개별 단말의 효용함수를 정의하고, 효용함수를 최적화하도록 에너지를 결정하는 비협력적 전송률 게임을 모델링한다. 여기서, 효용함수는 개별 단말이 데이터 전송시 소모하는 전송 에너지이다. 특히, 개별 단말의 효용함수가 Convex 함수임을 이용하여 에너지 효율적인 전송률 스케줄링 문제가 나쉬 평형이 존재함을 증명하고, 이를 기반으로 비협력적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또한, 에너지 효율의 개선을 위해서 개별 단말의 효용함수의 합을 최적화하는 협력적 스케줄링 알고리즘도 제안한다. 성능 분석을 위하여 비협력적 알고리즘과 협력적 알고리즘의 수렴도 결과와 에너지 효율성 결과를 제시한다. A game theoretic approach is applied for studying the energy efficient rate scheduling. The individual utility function is defined first. Then, a non cooperative rate game is modeled in which each user decides the transmission rate to maximize its own utility. The utility function considered here is the consumed energy for the individual user's data transmissions. In particular, using the fact that the utility function is convex, we prove the existence of Nash Equilibrium in the energy efficient rate scheduling problem at hand. Accordingly, a non cooperative scheduling algorithm is provided. For better energy efficiency, the sum of the individual user's utility function is optimized Finally, the convergence analysis and numerical results to show the energy efficiency of the proposed algorithms are provided.

      • KCI등재

        해외건축가 작품에서 표현된 제주 지역성 연구

        조윤설(Jo, Yoon Seol),오창윤(Oh, Chang Yo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2

        다양한 장소들의 탄생과 이동성의 증가로 장소들은 밀접한 관계들을 맺고 있다. 여러 도시의 호텔, 공항, 쇼핑몰 등 생활 어디에나 존재하는 장소가 많아지며, 이에 세계는 급속히 동질화되어 가고 있다. 이는 장소성의 결핍으로 이어지고 있다. 장소성의 결핍은 환경과의 관계를 맺고 있는 건축에서 중요한 문제이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장소성에 대한 연구의 중요도는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장소성의 결핍 해결방안을 지역성에서 찾고자 한다. 장소성과 지역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장소성과 지역성에 대한 개념과 장소성의 구성요소 3가지(물리적, 행태적, 의미적 요소)로 나누고 있으며, 물리적 요소에서 포함 된 지역성을 더 세분화하여 제주도 지역성을 자연환경, 인문사회 환경, 건축환경으로 나누어, 이를 바탕으로 제주도에 지어진 여러 건축물 중 해외 건축가 작품 중 안도 다다오와 이타미준 작품에서 나타난 지역성에 대해 연구 하였다. 안도 다다오와 이타미 준 작가의 제주도에 있는 건축물 총 6개의 사례 분석을 실시하였다. ‘풍토에 적합한 조형물은 억지를 부려서는 안 된다.’라는 말은 이타미 준작가의 말이지만 작가 두 명의 건축물들의 구성요소 중 대지환경에서 제주도의 경관을 거스르지 않고 대지로 스며들고 있다. 이 6개의 건축은 제주도의 지역성을 충분히 인지함과 동시에 건축가 개인이 제주도에서 느낀 장소성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작품들이다. 많은 관광객들과 전문가들은 제주도와 어울리는 건축물을 생각 할 때, 대표적으로 안도 다다오와 이타미 준 작가의 건축물을 떠올리며, 방문한다. 작가는 지역성과 토착성을 바탕으로 건축물로 표현하고 있다. Places now have closer relations thanks to the births of various places and the increase of mobility. There are a variety of places in cities, such as hotels, airports, shopping malls, etc., which ubiquitously exist in everyday life. Therefore, the world is rapidly becoming homogeneous. However, this rather causes a lack of place features. A lack of place features is an important issue in the architecture field, as it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environment. In such reality, the importance of researches on place features has grown. This research also intends to identify solutions for the deficiency of place features from localities. Based on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place features and localities, the concepts of place features and localities are categorized into three components (physical, behavioral, and semantic elements). In addition, the physical element of the localities of Jeju Island are further sub-divided into the natural environment, humanities & social environment, and architectural environment. Based on those, this research has been carried on the architectural works done by Ando Tadado and Itami Jun among the numerous buildings built by foreign architects on Jeju Island. This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over the six buildings built by Ando Tadao and Itami Jun on Jeju Island. As Itami Jun once said that “Sculptures, which are well suited to the natural characteristics, should not persist stubbornly,” those buildings built by those two architects are naturally permeated into the Mother Earth without going against the landscape of Jeju Island. Those six buildings were constructed over the architects’ full recognition of the localities and the place features, as they felt on Jeju Island. Indeed, many tourists and experts come to visit Jeju Island, thinking of the buildings built by Ando Tadao and Itami Jun. Localities and indigenousness are well expressed through those buildings by the architects.

      • KCI등재

        도예작업에서 직접 전사 방식과 제주 토양자원을 이용한 경험기록의 활용성 연구

        이혜지(Lee, Hye Ji),오창윤(Oh, Chang Yo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6 No.3

        본 연구는 경험과 기록의 개념을 이해하고 경험기록을 정의한 후, 실크스크린 기법에 직접 전사 방식과 제주 토양자원의 안료화를 통한 활용성을 모색함으로써 도예작업에서의 문양 표현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과 경험기록의 표현 방법을 모색하여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최근, 사람들에 행동의 형태 변화는 미래학자 토머스 프레이(Thomas Frey)가 예측한 것처럼 경험에 의해서 움직이는 시대를 살아가고 있으며, 다양하고 새로운 경험을 하기를 원하고 있다. 경험은 기억을 통해 구체화되며, 시간의 흐름과 자아 내적인 변화, 외부의 자극 등 다양한 원인들에 의해 변형된다. 이런 경험 기억에 대한 변형과 변색을 방지하려는 행위가 기록이다. 기록은 일상 속에서 습득한 경험을 온전히 기억하게 만든다. 도예작업에서 경험을 기록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기물에 직접 그려 표현하는 방법, 전사를 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한다. 직접 그려 표현하는 방법은 표현의 다양성을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결과가 획일적이지 않아 표현하는 데 어려움이 많다. 또한 전사를 활용하는 방법은 실크스크린 기법의 간접 전사 방식으로 제작된 전사지를 이용하는데, 이와 같은 방식은 대량생산에는 이상적인 방법이긴 하지만 결과가 획일적이어서 작업의 다양성 측면에서 단점으로 작용한다. 이 두 가지 표현 방법에 장점적인 요소를 활용하려는 본 연구의 시도는 표현 방법의 다양화에 있어 필요한 부분이며, 새로움의 출발이 될 것이라 판단되었다. 본 연구가 주목한 지점이 이 지점이며, 제주 토양자원과 실크스크린 기법(직접 전사 방식)의 활용을 통해 경험기록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시각적 표현 방법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과정 및 결론은 첫째, 고찰 과정을 거쳐 경험과 기록을 이해하고 경험기록을 정의한다. 경험기록은 경험과 기록, 두 단어의 의미를 합성한 것으로 경험이라는 의식의 비가시적인 요소를 기록을 통하여 가시적으로 만들어 주체의 고유한 감성의 시각적 표현을 가능케 하는 행위라고 개념 정의하였다. 둘째, 실크스크린 기법의 이해와 도예작업에서 실크스크린 기법의 활용 사례에 대한 분석을 통해 본 연구와의 차별성을 제시하였다. 셋째, 드로잉(Drawing)을 통한 경험기록(經驗記錄)을 이미지화하고 실크스크린으로 제작하여 도예작업에서 직접 전사 방식의 활용성 연구를 통해 그 활용가치를 도출하여 증명하였다. 넷째,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도예용 안료가 아닌 제주 토양자원을 안료화하여 적용함으로써 시각적 표현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마지막으로 적용 결과 분석을 통해 직접 전사 방식과 제주 토양자원의 안료화를 통한 경험기록의 다양한 시각적 표현 방법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eek for and suggest the usability of expressive methods of experiential record and the new possibility of visual pattern expression in ceramic work by seeking for the new expressive methods through the direct transfer method of silk screen technique and the pigmentization of Jeju soil resources after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experience and record, and then defining the experiential record. Just as Thomas Frey’s prediction of morphological changes in people’s act, the current era is moved by experiences, and people like to have new and various experiences. An experience is materialized through memory, which is transformed by various causes such as time flow, changes in inner self, and external stimuli. The act to prevent such transformation and discoloration of experiential memory is the record. This record makes it possible to fully remember the experiences acquired in daily life. In order to record experiences in ceramic work, two methods are usually used such as a method of directly drawing on objects and a method of transferring. In case of the method of directly drawing, the results are not uniform, so that the diversity of expression could be expected. However, there are lots of difficulties to express. Also, the method of transferring uses the transfer paper produced in the indirect transfer method of silk screen technique. Even though this method is ideal for mass-production, the results are uniform, which could work as a weakness in the aspect of diversity. The attempt of this study aiming to utilize the strengths of those two expressive methods is necessary for the diversification of expressive methods, which could be the beginning of newness.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is point, and then suggested the visual expressive methods in a new form of experiential record through the utilization of Jeju soil resources and silk screen technique(direct transfer method). In the processes and conclusions of this study, first, after understanding the experience and record through the process of consideration, this study defined the concept of ‘experiential record’ as an act that would make invisible elements of experience visible through the act of recording, and also make it possible to show visual expressions containing the unique sentiment of subjects without transformation or distortion. Second, this study suggested the differentiation of this study by understanding the silk screen technique and analyzing the cases of utilizing the silk screen technique for ceramic work. Third, this study drew and verified the possibility of expression in the direct transfer method through a study on the usability of direct transfer method in ceramic work by expressing the experiential record into image through drawing and then producing it through silk screen technique. Fourth, this study sought for the new possibility of visual expression in ceramic work by pigmentizing and applying Jeju soil resources instead of ceramic pigments generally used. Lastly, this study drew and suggested the new possibility of various visual expressive methods of experiential record through the direct transfer method and pigmentization of Jeju soil resources in ceramic work by analyzing the results of appl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