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중년기 여성의 지속적 운동습관 형성을 위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UX 가이드라인
오지수,하광수 한국콘텐츠학회 202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5 No.6
중년기 여성은 갱년기로 인한 신체적 변화와 직장, 가사 등으로 인해 규칙적인 운동 시간을 확보하기 어려운 상황에 놓여 있다. 현재 디지털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운동 지원이 확대되고 있으나, 중년기 여성의 특성을 고려한 지속적인 운동습관 형성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이 연구는 중년기 여성의 지속적 운동습관 형성을 지원하는 UX가이드라인을 제안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으로 훅 모델 프레임 워크(Hook model)와 아토믹 디자인(Atomic Design)을 결합한 인터페이스 분석 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여 디지털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 3종(Seven, Smart Gym, Plan Fit)의 인터페이스 요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용자의 운동습관 형성 단계별로 요구되는 주요 UX 요소들이 도출되었다. 이를 시각적 표현방식, 사용자 상호작용, 개인화 수준 등의 카테고리로 체계화하여 우선순위에 따른 통합적 UX 가이드라인을 수립하였다. 이 연구는 중년기 여성의 신체·정서적 특성을 고려한 체계적인 UX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프로토타입 제작 및 사용성 평가를 통한 실효성 검증이 필요하다. Middle-aged women often struggle to secure regular exercise time due to physical changes associated with menopause as well as work and household responsibilities. Although digital healthcare applications have expanded exercise support,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fostering long-term exercise habits tailored to the specific needs of middle-aged women.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UX guideline that supports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exercise habits in this demographic. To achieve this, an interface analysis tool was developed by combining the Hook Model framework with Atomic Design, and the interface elements of three digital healthcare applications (Seven, Smart Gym, Plan Fit) were analyzed using this tool. The analysis identified key UX elements necessary at each stage of exercise habit formation. These elements were then organized into categories such as visual presentation, user interaction, and levels of personalization,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UX guideline prioritized based on their importanc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ts presentation of a systematic UX guideline that takes into account the physical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middle-aged women. Future research should include prototype development and usability testing to valid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guideline.
오지수,심승배,정봉주 대한산업공학회 2010 대한산업공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6
본 연구는 기업의 변동을 발생시키는 위험에 대해 위험 프레임워크를 구성하고 위험 간 관계와 영향력을 평가하는 위험 네트워크를 개발한다. 개발된 위험 프레임워크를 통해 발생가능한 모든 위험을 포함하고, 위험 네트워크로 영향력과 방향성을 평가한다. 본 연구에서 기업의 변동을 유발하는 것을 위험이라 정의하고, 발생 가능한 위험을 고려한다. 이를 통제여부, 관리수준, 위험 발생 지점을 중심으로 분류하여 위험 프레임워크를 개발해 속성을 부여한다. 이러한 속성을 이용하여 위험을 정량화하고, 각 위험간 영향력과 방향을 측정한 위험흐름을 관리하는 위험 네트워크 모델을 개발한다. 개발된 네트워크는 위험발생노드와 기업의 구성요소노드, 그리고 위험의 이동에 따른 아크로 구성되고 이를 통해 위험탐지 및 노출수준을 결정 가능하다.
오지수,정봉주,심승배,김송이 대한산업공학회 2012 대한산업공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12 No.5
최근 제품의 수요 패턴과 요구사항이 빠르게 변화하고 환경적인 쟁점이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기 위해 본 연구는 재생산 공급사슬에서 부품/제품의 변화하는 수요량과 회수량을 고려하여 각 요인 별 최적 주문 주기를 결정하는 재고관리 모델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의 재고관리 모델은 수요량, 회수량의 증가/감소/일정하는 패턴으로 가정하고, 각 패턴 별로 구성된 것을 기초로 소매자의 최적 주문 주기와 횟수를 결정한다. 주문 주기와 횟수는 수요량과 회수량의 각 패턴 별 총 9개의 조합으로 구성되고 비용, 예측 시간, 수요와 회수의 패턴 예측 값의 변화에 따른 민감도 분석을 실시한다. 민감도 분석은 각 조합 별 패턴 변화 시 소매자의 주문 주기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힌다.
Characterization of anti-factor VIII antibody in a patient with acquired hemophilia A
오지수,임영민,장문주,허지영,Midori Shima,오도연 대한혈액학회 2013 Blood Research Vol.48 No.1
Acquired hemophilia A (AHA) is a bleeding disorder caused by the development of an autoantibody against endogenous factor VIII (FVIII). In this study, the epitope of the autoantibody was identified in a 67-year-old female patient with AHA. A prolonged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77.4 s) that failed to correct in an incubation mixing test (68.2 s), a decreased FVIII activity, and a high FVIII inhibitor (14.6 Bethesda units/mL) were observed.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demonstrated that the antibody belonged to the immunoglobulin G4 subclass. An immunoblotting assay revealed the light chain (A3/C1/C2 domain) of FVIII as the binding region of the antibody. The bleeding experienced by our patient resulted from the interference of FVIII binding to both FIX by anti-A3 antibodies and phospholipids and von Willebrand factor by anti-C2 antibodies.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study in Korea characterizing an autoantibody in the context of AHA.
대기 중 미세먼지 농도와 응급실을 방문하는 만성 폐쇄성 폐 질환 환자와의 상관관계
오지수,박상현,곽명관,표창해,박근홍,김한범,신승열,최한조 대한응급의학회 2017 대한응급의학회지 Vol.28 No.1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association between increased level of ambient particulate matter and emergency room visits for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exacerbations.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We enrolled patients who lived in Seoul, Korea and were diagnosed with COPD in the emergency room between January 2012 and December 2014. Meteorological factors [daily highest temperature, lowest temperature, mean temperature, diurnal temperature, rainfall, relative humidity, amount of sunshine and particulate matter less than 10 μm (PM 10)] between December 2011 and December 2014 in Seoul were acquired from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We used a multiple Poisson regression model with daily patient’s number of COPD as a response variable and meteorological factors as explanatory variable. Variable selection was done via an Elastic net. Results: There was a total of 1,179 emergency visits for acute exacerbations of COPD patients. PM10 (before 4, 10, 11, 15, 16, 17, 22, 24, 27, 28 day), rainfall (before 1, 6, 8, 16, 18 day), relative humidity (before 2, 8), and daily temperature difference (5, 10, 15 day) had a relationship and a lag effect with COPD exacerbations.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an increased concentration of PM10 was associated with COPD exacerbations. A future study that reinforces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necessary to get a helpful index for an adequate response of medical institution and efficient placement of medical personn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