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우즈베키스탄 진출 한국대학 내 한국어 강사의 해외근무 동기 요인 이 논문은 2019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19S1A5B5A0710360)

        오주연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2021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Vol.5 No.2

        본 연구는 우즈베키스탄에 진출한 한국대학 내의 한국어 강사들의 우즈베키스탄 근무 동기 요인을 조사하는 것이다. 인적자원 선발 과정에서 필요한 근무동기요인 뿐만 인적자원 유지 관점에서 필요한 한국어 강사 선발요인 및 장기간 근무할 수 있는 요인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어 강사들과 대학 조직 내 한국어 강사 선발 권한이 있는 경영층에 대한 반 구조화된 인터뷰를 하였다. 구체적으로, 한국어 강사들의 우즈베키스탄 근무동기요인은 1) 해외경험과 한국어 강사 경력을 위하여, 2) 배우자 직장 등으로 거주하다 우연한 기회에, 3) 우즈베키스탄 학업 목적으로 거주하다 우연한 기회에 일자리를 제안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 내 한국어 강사 선발 권한이 있는 관리자에게 성공적으로 한국어 강사를 선발하는 데 필요 요인을 인터뷰한 결과 1) 한국어 교육 경험 및 한국어 교육 전공, 2) 한국어 강사 자격증, 3) 시범 강의를 통한 강의평가, 4) 교육에 대한 열정과 흥미, 5) 우즈베키스탄 문화 이해, 6) 새로운 문화 수용 태도로 나타났다. 한국어 강사를 선발 후 오랫동안 근무하는 데 필요한 요인은 1) 대학 조직의 관리자들의 외국인으로 한국어강사들의 대한 이해, 2) 한국어 강사들의 다른 문화와 시스템에 이해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해외에서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국어를 가르칠 강사를 선발할 때, 선발요인으로 참조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라는 점에서 실무적 연구에 시사점이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motivation factors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to work in Uzbekistan. This study investigated not only the motivation factors required in the human resource selection process, but also the selection factors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needed from the viewpoint of maintaining human resources and working for a long time. To this end,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the managers who have the authority to select Korean language teachers in the university organization. Specifically, the motivations for Korean language instructors to work in Uzbekistan are as follows: 1) For overseas experience and career as a Korean language instructor, 2) For an accidental opportunity while living with a spouse, etc., and 3) For studying in Uzbekistan and being offered a job at an accidental opportunity. As a result of interviewing a manager, factors necessary to successfully select Korean language instructors are found as follows, 1) Korean language teaching experience and having the relevant degree for Korean language, 2) Korean language instructor certification, 3) lecture evaluation, 4) Passion and interest in teaching, 5) Understanding of Uzbekistan culture, and 6) Acceptance attitude about different cultures. The factors necessary to work for a long time are 1) University managers’ understanding of Korean language instructors, and 2) Korean language instructors understanding of different cultures and systems. This study has practical implications in that it will be important results that can be used as selection factors when selecting Korean language instructors to teach Korean language to foreigners in the future, an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suggested.

      • KCI등재후보

        쌍태아에서 미숙아망막병증의 발생율과 위험인자

        오주연,김성준,유영석,최중환 대한안과학회 2004 대한안과학회지 Vol.45 No.2

        목적 : 쌍태아에서 미숙아망막병증의 발생율과 위험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 2000년에서 2002년까지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한, 재태기간 37주 미만의 쌍태아 77쌍, 154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미숙아망막병증의 발생율을 알아보았고, 미숙아망막병증이 발생한 군과 그렇지 않은 군 간의 임상요소를 비교하였다. 쌍태아 중 한명은 미숙아망막병증에 이환되고 한명은 이환되지 않은 군 혹은 둘다 이환되었는데 병기가 2기 이상 차이나는 군에서 쌍태아 간의 임상요소를 비교하였다. 결과 : 43.5%에서 미숙아망막병증이 발생하였다. 출생체중, 기계적 환기용법의 기간, 산소치료기간, 고탄산혈증, 동맥관개존증, 기관지폐이형성증, 신생아호흡곤란증후군이 미숙아망막병증의 발생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졌다(p<0.05). 쌍태아간 미숙아망막병증의 발생과 병기에 차이가 있는 경우를 분석하였을 때 출생체중만이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결론 : 쌍태아에서 미숙아망막병증의 발생율과 위험인자는 단태아의 경우와 다르지 않으며 출생체중이 쌍태아간 미숙아망막병증의 발생과 중증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Purpose: To evaluate the incidence of retinopathy of prematurity (ROP) in premature twins, to determine clinical factors associated with ROP development and to analyze differences in severity of retinopathy of prematurity among siblings of multiple-gestation pregnancies. Methods: We reviewed the records of 154 neonates of premature twins screened for ROP at on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from January 1, 2000 through December 31, 2002. First, we assessed the frequency of ROP and then, we compared clinical factors between ROP and non-ROP groups. Third, we separated the infants into concordant and discordant ROP groups with discordant group defined as siblings with an intersibling difference of at least two stages of ROP between both siblings with ROP and siblings of one with ROP, another without ROP. Between siblings with discordant ROP, multiple clinical factors were compared. Results: ROP was present in 43.5% of premature twins. Clinical factors significantly related to ROP occurrence were birth weight, duration of mechanical ventilation and duration of oxygen exposure (p<0.05). ROP developed more in groups with hypercarbia, patent ductus arteriosus, bronchopulmonary dysplasia and neonatal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mong the premature twins, 22.1% had discordant ROP. For those infants with discordant disease, only birth weight was related to occurrence or severity of ROP (p<0.05). Conclusion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ncidence and risk factors of ROP between infants of single-gestation pregnancies and those of multiple-gestation pregnancies. Of clinical factors investigated, only birth weight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intersibling difference of incidence or severity of ROP in premature twins.

      • KCI등재

        시각장애인 음악교육의 연구동향 분석

        오주연,박경빈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8 시각장애연구 Vol.34 No.2

        본 연구는 국내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음악교육 연구동향을 알아보기 위해 1972년부터 2017년까지 96편의 연구 자료들을 선정하여, 분류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에 대한 연구는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음악교육에 대한 연구가 많으며, 장애유형은 단순 시각장애를 가진 대상을 중심으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둘째, 연구주제에 따른 교육 동기는 취미생활을 목적으로 하는 연구가 많았으며, 교육 활동의 효과로는 정서적으로 안정을 느끼며 재활적인 기능 향상을 가져왔다. 셋째, 연구도구에 따른 연구는 현경실의 음악적성검사를 활용한 연구가 많았으며, 면접 조사지를 통해 대상의 심층적인 의견을 토대로 하는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This study selected, categorized, and analyzed 96 studies from 1972 to 2017 in order to survey research trends in music education for the visually impaired. The studies were found by searching in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RISS),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National Assembly Library’s electronic database with the key words “visually impaired music,” and “visually impaired music education.”Hence, 62 dissertations for masters and doctorate degrees and 34 academic journals were selected. First, for research on research subjects, there were many studies on music education that featured adults as the research subjects and that in the category of disabilities, studies that centered on just the visually handicapped were actively being done. Second, for the research topic, there were many studies on music education for hobbies, and it was revealed that the benefits of the education was giving subjects a feeling of emotional stability and enhance rehabilitative functions. Third, for research tools there were many studies that used the music aptitude test, and it was revealed that research was conducted on the basis of the subjects’in-depth opinions which were gained through questionnaires.

      • 인간의 욕망과 자아의 표현에 관한 연구 -라캉의 욕망이론을 중심으로-

        오주연 한국귀금속보석학회 2013 한국귀금속보석학회지 Vol.7 No.1

        자본주의 시대의 물질적 풍요로움 안에서 물질은 이미 인간을 대리하는 기호로서 존재한다. 타인의 기대나 여러 외부대상의 영향으로 보여짐에 익숙해진 인간의 허상적 존재에 의문을 갖고 현실과의 관계 속에서 생기는 인간의 소외감과 감정을 상실할 수밖에 없는 근원에 대해 연구하였다. 라캉의 “욕망이론”을 바탕으로 연구되었으며 인간은 ‘타자의식’과 ‘결핍’ 으로부터 욕망을 갈망하게 되고 결핍의 존재를 되찾고자 하는 환유적 운동에 의해 대상을 찾는 실존적인 고행의 문제로 보고 있음을 결론으로 도출할 수 있었다. 따라서 매스미디어의 발달과 범람으로 현대사회가 현대인들로 하여금 욕망을 부추기는 사회적 배경이 현대인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정체성을 잃고 물밀 듯이 휩쓸리고 있는 현대인들의 이미지를 거울이 갖는 특수성을 이용하여 매개체로서 자아의 왜곡된 본질을 작품으로 표현하였으며 이를 바라 봄으로서 욕망의 굴레에서 벗어나 허상에 집착하는 자신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가능성을 엿보게 되었다.

      • KCI등재

        중소 E-Business 기업 근로자의 역할 특성과 직무소진의 관계에서 LMX의 조절효과

        오주연,김영균 국제e-비즈니스학회 2011 e-비즈니스 연구 Vol.12 No.4

        This study provides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ir relationship by demonstrating that LMX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ree dimensions of job burnout and job characteristics including role overload, role ambiguity, and role conflict. Role overload (β =. 000, ρ <.01), role conflict (β =. 001, ρ <.01), LMX (β =. 022, ρ <.05)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motional exhaustion. Particularly, there were significant influence of age and gender were analyzed and had a quite substantial influence on emotional exhaustion. Role ambiguity, role conflict also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emotional exhaustion when employees had a good quality of leader-member exchange. Role overload (β =. 000, ρ <.01), role ambiguity (β =. 000, ρ <.01)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personalization. LMX(β=.000, ρ<.05) was analyzed to have a influence on personal accomplishment significantly. Role ambiguity was found to have a effect on the personal accomplishment with relation to LMX. Based on the analyzed results, we discussed theoret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본 연구에서는 직무소진을 정서적 소진, 비인격화, 개인적 성취감 감소라는 세 가지 하위요인으로 구분하고 역할과부하, 역할모호성, 역할갈등이라는 역할특성이 조직구성원의 직무소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LMX가 직무소진과 역할특성 관계에 대하여 조절효과를 보이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역할과부하(β=.000, ρ<.01), 역할갈등(β=.001, ρ<.01), LMX(β=.022, ρ<.05)이 정서적 소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인구통계 변수 중 성별과 연령이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이고 있는데 남성일수록, 연령이 높을수록 좀 더 정서적 소진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β=.025, ρ<.05, .081, ρ<.10). 역할모호성과 역할 갈등이 LMX에 따라 정서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065, ρ<.10, .092, ρ<.10). 조직구성원이 LMX를 높게 인식하면 역할 모호성과 역할 갈등이 높을수록 정서적 소진도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역할과부하(β=.000, ρ<.01), 역할모호성(β=.000, ρ<.01)이 비인격화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역할갈등과 LMX는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력을 보이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LMX(β=.000, ρ<.05)이 개인적 성취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조절효과에 있어서는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고 있는데 역할모호성이 LMX에 따라 개인성취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000, ρ<.05). 다시 말해, 조직구성원이 LMX를 높게 인식하면 역할 모호성 높을수록 개인성취감도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