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서울시 공공부문 비정규직 고용개선 정책 인식유형 분석

        종환(Eun, Jonghwan),이재완(Lee, Jae-wan),정광호(Jung, Kwangbo),오영민(Oh, Youngmin) 서울행정학회 2014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2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 공공부문 비정규직 고용개선 정책에 관한 정책관련자들의 인식유형을 분석함에 있다. 서울시 공공부문 비정규직 고용개선 정책은 2012년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되어 비정규직 근로자의 처우를 개선하고, 간접고용을 직접고용으로 전환하는 것을 그 핵심내용으로 한다. 그러나 정책추진과정에서 정년제도, 비용상승, 정책의 사회적 확산을 둘러싸고 새로운 쟁점이 등장하였다. 본 연구는 이해관계자들의 인식유형 분석을 위하여 Q방법론을 활용하였다. Q진술문 작성을 위해 정책관련자 인터뷰, 선행연구와 신문보도 등 문헌조사를 활용하였으며, P샘플은 서울시 공무원, 산하기관 직원, 비정규직 근로자와 기관노조 간부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Q분석 결과, 인식유형은 ①정책지지형, ②정책불신형, ③사회불신형, ④시장지지형, ⑤근로자이익지지형으로 구분되며, 상관관계가 가장 높은 ①과 ③유형은 0.3714이며 분석의 설명력은 67%로 나타났다. 각 유형을 효율성과 형평성이라는 관점에서 평가할 때 ②,④유형은 효율성을, ③,⑤유형은 형평성을 보다 더 지지하는 유형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④,⑤유형은 극단적 입장으로, 이 입장을 지지하는 정책관련자들이 정책을 주도하면 정책과정에서 갈등이 촉발될 위험이 존재한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서울시 공공부문 비정규직 고용개선 정책에서 효율성과 형평성을 균형있게 추진할 필요가 있다는 점과 정책과정에서 이해관계자들 간에 동일한 정책에 관해서도 인식유형이 다를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정책지지와 순응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인식유형을 가진 정책관련자들의 참여를 보장하는 공론의 장을 통해 정책 디자인(policy design)을 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erceptions of the policy for improving the treatment of contingent workers in Seoul metropolitan city. A policy for contingent workers was introduced in the capital in 2012, and the core provisions relate to their welfare, along with mechanisms to upgrade their status from irregular (indirect-hired) to regular (direct-hired) workers. However, several issues have arisen in the process: implications for the retirement system, policy cost, and the spread of policy. This study uses Q-methodology in order to analyze stakeholder perceptions. The Q-sample was based on a review of related academic literature and newspapers, as well as interviews, while the P-sample consisted of public servants, public firm employees, contingent workers, and experts. Analysis of the results reveals five categories of perceptions towards the policy: (1) policy-supporting, (2) policy-distrust, (3) society-distrust, (4) market-supporting, (5) worker-supporting. Types 2 and 4 are primarily concerned with efficiency, while on the other hand, types 3 and 5 seek fairness. Types 4 and 5 can be understood as representing more extreme positions. The highest degree of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1) policy-supporting and (3) society-distrust types (0.3714),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analysis was 67 percent. The implications of the analysis are that the improvement policy for contingent workers in Seoul needs to achieve a balance between efficiency and fairness, the policy design needs to include mechanisms for the representation of various stakeholder perceptions, and that the introduction of a participation system will lead to a more successful policy result.

      • KCI등재

        소설 〈밀레니엄〉의 영화로의 재매개 현상 분석

        오원환(Won-Hwan Oh),오종환(Jonghwan Oh)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3 미디어, 젠더 & 문화 Vol.26 No.-

        이 글은 동일한 원작소설을 바탕으로 제작된 두 영화가 서로 다른 재매개의 전략적 수행을 통해서 원작의 문제인식과 성적 응시의 문제를 다양하게 개조할 수 있음을 밝히고자 했다. 이를 위해서 스웨덴 소설 〈밀레니엄〉과 이를 바탕으로 제작된 스웨덴 영화 〈밀레니엄: 여자를 증오한 남자들〉, 미국 영화 〈밀레니엄: 용문신을 한 소녀〉의 서사 구조를 비교분석했다. 그 결과 미국 판은 스웨덴 판에 비해서 하이퍼매개적 욕망을 보다 많이 추구했고, 그로 인해서 원작소설의 문제인식이 영화 세계 안에 가둬지는 ‘틀’과 ‘닫힌 형식’의 영화로 작동한다고 주장한다. 반면에 스웨덴 판은 소설의 문제인식이 영화적 공간을 벗어나 현실의 문제로 인식되도록 확장하는 비매개적 욕망이 보다 많이 추구된 ‘창’과 ‘열린 형식’의 영화로 작동한다고 주장한다. 특히 남녀주인공을 표상하는 영화적 맥락과 구조를 분석했을 때, 미국 판이 원작소설이나 스웨덴 영화와 다르게 남성 중심의 성적 응시를 통해 여성을 성적 대상으로 구성하고, 여주인공 리스베트를 독립적인 행위 주체가 아닌 남성의존적인 동시에 남성의 조력자로 재현함으로써, 사회적 약자로서의 이미지를 여주인공에게도 부여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그래서 미국판이 스웨덴 판에 비해서 원작소설을 보다 충실하게 옮긴 것처럼 보이지만, 원작의 정서적 무게감은 스웨덴 판에서 더 잘 전달된다고 지적한다. 결국 이 연구는 소설이 영화로 만들어질 때, 제작 주체의 미학적 선택에 따른 재매개의 전략적 수행의 양상이 원작의 문제인식, 성적 응시 그리고 영화적 정서에 차별적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two adapted films originated from a Swedish novel, 〈Millennium〉 in the concept of remediation. This study is concerned on (1) how the films used differently the double logic of remediation-immediacy and hypermediacy-to change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original, (2) how the gendered gaze was constructed in the films, and (3) how the film styles influenced audience’s perception on the issues in the novel. Results suggest that the Hollywood version represented faithfully the narrative elements of the original, but the film did not reverberate on levels of meaning and subject matter of the original. Even though the Swedish version scenarized the novel somewhat differently from the original, it represented affective sides and subject matters of the novel more closely to the original, compared to the Hollywood version. This paradox is related with the double logic of remediation, which influenced film styles. As a ‘window’ and ‘the open’ form, the film seeks to the desire of immediacy while as a ‘frame’ and ‘the closed’ form, the film seeks to the desire of hypermediacy. In a closed film like the Hollywood version, however, the world of the film exists for itself. In an open film like the Swedish version, the world of the film is a temporal visual around an ongoing reality. Meanwhile, the male gaze of the Hollywood version is even stronger than that of the original and the Swedish film. In the Hollywood version, Lisbeth is represented as the object of gaze through mise-en-scene and controled by Mikael who is a leading character solving the core motif, while Lisbeth in the Swedish version leads the relationship with Mikael and plays a role as a hero in the filmic adventure. These different remediations shown in the two films from the original impose the different structures of perception on audience.

      • KCI등재

        SNS를 통한 현실인식 가능성에 대한 고찰

        홍석경(Seok-Kyeong Hong),오종환(JongHwan Oh) 한국언론학회 2015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1 No.1

        본 연구는 트위터라는 사회관계망 서비스(SNS)가 정합성 있는 현실의 모습을 제공함으로써 대안적인 현실구성 매체로 기능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사람들은 트위터와 같은 SNS를 통해 개별적인 정보를 생성하고 각각의 트윗은 상이한 현실 이해를 담고 있지만, 궁극적인 트윗의 경험은 의미 있는 내러티브 구조로 파악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데이터 세트의 구성을 위해 태풍 하이옌 해시태그(#Haiyan)가 포함된 트윗을 수집하였으며, 하이옌이 상륙하기 4일 전부터 9일 후까지 14일간 생성된 트윗을 대상으로 두 차례에 걸쳐 데이터가 수집되었다. 해당하는 트윗에 포함된 사진의 내용에 따라 사진을 7개의 범주로 나누고, 시간이 흐름에 따라 어떤 사진들이 더 많이 공유되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해당 기간 동안 재난을 예고하고 공포감을 불러일으키는 사진을 시작으로, 참혹한 재난의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 주를 이루다가, 피해자에 대한 구호 독려를 담은 사진, 현장이 복원되고 있다는 희망의 메시지를 담은 이미지로 대체되는 양상을 보였다. 사후 분석 상황에서 이러한 트윗의 흐름은 재난 현실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내러티브 구조를 따르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런데 트위터 사용자의 실시간 하이옌 사진 경험은 시간의 추이를 벗어나서 무작위적인 것이고, 위와 같은 방식으로 사후에 표집하여 내러티브가 발견된 데이터 세트도 트위터 알고리듬과 트위터 사용자들의 반응에 따라 변동하는 불안전한 것이다. 이러한 새로운 데이터 세트의 위상과 트위터라는 SNS가 소통시키는 정보의 현실구성 가능성은, 기존 미디어담론의 현실구성 연구의 전제를 변경시킬 필요를 제기한다. 본 논문은 SNS시대의 새로운 현실구성 과정에 대한 이와 같은 문제제기를 포스트모던 내러티브 이론과 항시적 저널리즘, 집단지성의 입장에서 성찰했다. 더 나아가 이러한 입장이 기존의 빅데이터 연구의 전수조사 방식 및 패턴 읽기와 어떤 차별성을 갖는지, 라투르(Latour)의 모나드론을 통해 사회이론적 시선에서 새롭게 고찰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a Social Network Service (SNS), i. e. Twitter, has a potential to function as a medium that represents the reality in a consistent way. On Twitter, each user generates information individually and each tweet contains different comprehension on the reality. Yet, the analysis informs that through the use of Twitter the reality can be perceived as a combined whole, which is constructed by the narrative of the thread, not as a sum of individual piece. We collected tweets uploaded for a certain period that include a hashtag #Haiyan-the Typhoon Haiyan hit the Philippines in early November 2013-and a photograph. Initially, all collected tweets were classified into 7 categories according to the visual theme in the photograph of each tweet. Reading the fluctuation of the photographed discourses, we analysed how discourses on the typhoon are organised to finally construct a coherent story, a conventional disaster narrative. As a real time experience, Twitter users should have seen Haiyan images in a random way, the data set extracted for this study being an unstable entity mediated by the Twitter algorithm and the Twitter users’ continuous reactions. The possibility of the reality construction by the time depending data set of Twitter acclaims changes in the theories of reality construction of the media. The discussion continued under the perspectives of postmodern narrative theory, ambient journalism, and collective intelligence. Finally, we attempt to provide explanation on the phenomenon under the light of Latour’s monadology, which inspires the sociological meaning of the collected data set through SNS, compared to previous SNS studies that extract patterns from the “big data.”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