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세계 식품 향료시장의 환경과 법적규제

        오재순(Jae Soon Oh) 한국식품과학회 2017 식품과학과 산업 Vol.50 No.4

        The external factors of global flavor market include the world economy, population growth, urbanization, consumer spending, raw material availability, pricing, and regulatory issues. And the internal factors as product pricing and technology development may lie the flavor house’s competitiveness and cost considerations. In developing countries, rising preference for packaged food and beverages and increasing personal expenditures will drive demand for flavor market. Increasing consumer demand for natural products, driven in part by health concerns and a desire for transparency in labeling will impact the demand. The increasing demand for salt and sugar reduction will boost demand for flavors to maintain the overall taste. The use of quality and innovative flavors in the beverages and the multifunctional flavors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global market. The global flavor industry has the presence of several drivers and positive trends, with its future expected to be promising.

      • The emergence and molecular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of foodborne superbacteria resistant to next-generation antimicrobials

        김선희(Sun-Hee Kim),유종현(Jong-Hyun Yoo),오재순(Jae-Soon Oh),권하택(Ha-Taek Kwon),지영민(Young-Min Chi),차민혁(Min-Hyeok Cha) 고려대학교 생명자원연구소 2022 생명자원연구 Vol.30 No.-

        슈퍼박테리아는 항생제 내성균으로 이들의 출현과 확산은 인류에게 큰 위협이다. 항생제 내성에 대응하기 위해 차세대 항생제가 개발되었지만 무분별한 사용으로 곧바로 내성균이 나타나 확산되었다. 특히 식품에서 분리된 슈퍼박테리아는 전반적인 인간의 생활 환경과 밀접한 관계가 있어 그 심각성이 크다. 이 논문에서는 차세대 항생제에 내성을 보이는 식품 유래 슈퍼박테리아 중에 서 콜리스틴 내성 살모넬라와 리네졸리드 내성 장알균의 분포와 내성도, 그리고 분자역학적 전파 경로에 대한 최신 연구 논문을 조사하여 그 동향을 분석하였다. 사람, 가축, 환경에서 분리된 식품 유래 슈퍼박테리아들의 상호간 내성 인자 교류가 차세대 항생제의 내성에 대해서도 여실히 확인되었다. 따라서 국가, 세계 단위의 원헬스적 관점을 채택한 정기적 내성 모니터링 사업의 전개가 갈수록 중요하다. Superbacteria are antimicrobial resistant bacteria, and their emergence and widespread became great threats to humanity. Next-generation antimicrobials were developed to deal with existing antimicrobial resistance, but resistant bacteria emerged and spread immediately due to indiscriminate use of antimicrobials. In particular, the foodborne superbacteria are highly serious problem because they are closely related to the overall human life. In this article, we explored the distribution and resistance level of foodborne colistin-resistant Salmonella and linezolid-resistant Enterococcus among through the latest research papers about their resistance and molecular epidemiological transmission route. The transmission of resistance factors between food-derived superbacteria and other environment was also confirmed for the case of next-generation antimicrobials. Therefore, it is increasingly important to develop national and global resistance monitoring projects with One-health scheme.

      • KCI등재

        전자코와 GC/MS에 의한 가시파래 향기 성분 분석

        백승연(Seung Yeon Baek),윤성유(Sung Yoo Youn),오재순(Jae Soon Oh),오성욱(Sung Wok Oh),김다희(Da Hee Kim),김수진(Su Jin Kim),김미리(Mee Ree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9 No.4

        국내산 가시파래는 비타민, 무기질, 생리활성물질들이 풍부하여 다양한 식품에 첨가되어 연구가 되고 있지만 산업화 및 상품화에 어려움이 있어 향 성분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국내산 가시파래의 향 성분을 분석하기 위해 GC/MS와 전자코를 이용하였다. GC/MS에 의해 검출된 향 성분은 총 47가지로 함황 화합물 2가지, 알데하이드류 14가지, 알코올류4가지, 케톤류 9가지, 기타 18가지 화합물이 검출되었다. 그중 가장 넓은 peak 면적을 차지한 것은 methyl sulfide로 95.88%를 차지했으며 dimethyl sulfoxide도 검출되었고 두 화합물 모두 methionine에서 유래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heptanal, hexanal, hexenal, pentenal, octanal, heptadienal이 검출되었는데, 이는 가시파래에 함유된 다가불포화지방산이 lipoxygenase에 의해 반응하여 생성된 휘발성 화합물일 것으로 생각되며 lipoxygenase에 의해 생성되는 저급 알데하이드류는 풋내뿐만 아니라 비린내의 원인이 되므로 가시파래의 lipoxygenase를 불활성화시킨다면 알데하이드류에 의한 비린내는 감소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1-penten-3-ol, 1-octen-3-ol, 2,6-dimethylcyclohexanol, 1,2-cyclohexanediol도 검출되었는데, 과산화물의 분해물인 알데하이드류의 환원반응에 의해서 생성된 것으로 생각된다. 지방의 산화에 의해 생성된 화합물들에 대해서는 전자코 분석에서도 hexenal, heptenal, heptadienal, pentenol, octanol 등이 검출되어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가시파래의 향기 성분을 극대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증류수를 처리하여 향 성분을 비교하였고 증류수를 처리 시에 대부분의 향 성분의 peak 면적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증류수 첨가 시에는 (E)-2-heptenal, (E)-2-octenal, 2-methylbutanal이 검출되었는데, 이는 증류수 처리에 의해 수분 함량 및 수분 활성도가 증가하여 lipoxygenase의 활성이 증가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또한 증류수 처리 시에는 fenchol이 검출되었으며, 2-methylfuran, 2-ethylfuran, methional, pent-1-en-3-ol, pyridine의 면적이 증가하였는데 해당 성분들이 가시파래 고유의 풍미를 증진시킬 것으로 생각된다. 관능평가 결과 전자코 결과와 유사한 radar plot을 나타내었고 증류수 처리 시 가시파래 향과 비린향의 강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전반적인 수용도에서 가시파래 분말은 3.9, 증류수 처리 시에 5.0으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GC/MS, 증류수를 처리한 가시파래의 전자코 분석과 관능평가 결과를 참고하여 가장 많이 나타난 향의 특성을 분류해 가시파래 향기 성분을 전자코로 분석했으며, dimethyl sulfide가 peak area의 75.0%를 차지하여 가장 많이 검출된 화합물로 나타나 GC/MS와 유사한 결과로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가시파래의 향 성분은 주로 methionine에 의해 생성되는 dimethyl sulfide, methyl sulfide일 것으로 사료되며, 이외에 성분은 아미노산의 분해, 지방의 산화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가시파래에 증류수를 처리했을 경우 향 성분이 더 많아지나 지방 산화에 의한 가시파래의 비린내를 제거 혹은 감소시키기 위한 처리 방법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Enteromorpha prolifera (EP) from Korea is rich in phytochemicals such as vitamins, minerals, phycocyanin, and chlorophyll, however, it has a fishy od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romatic compounds of EP using gas-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 (GC/MS) and electronic nose (E-nose). Forty-seven aromatic compounds were detected with GC/MS, and methyl sulfide, with the largest peak area, accounted for 95.88%. In addition, aldehydes and alcohols produced by lipoxygenase were detected in the GC/MS analysis. To further analyze aromatic compounds of EP using E-nose, it was treated with distilled water. After the treatment, the peak areas of all the aromatic compounds were increased. Especially, 2-methylfuran, 2-ethylfuran, methional, pent-1-en-3-ol, and pyridine were increased and (E)-2-heptenal, (E)-2-octenal, 2-methylbutanal, and fenchol were detected only with the distilled water treatment. The results of the sensory property tests showed that all the aromatic characteristics were intense, and the score of overall acceptability was 5.0 for distilled water treated EP,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EP powder. Based on the above results, of aromatic compounds and characteristics, aromatic compounds of EP were classified using E-nose. In the E-nose analysis, dimethyl sulfide accounted for 75.0% of the peak areas, and was the largest peak. Therefore, the main aromatic compound of EP is considered to be methionine-derived dimethyl sulfide and methyl sulfide, and it is thought to be affected by degradation of amino acid or oxidation of fats.

      • 주방용 유해가스 공기정화기용 IoT 센서시스템 개발

        박준영(Jun-Yeong Park),변기수(Ki-Su Byun),김남홍(Nam-Hong Kim),오재순(Jae-Soon Oh),이승엽(Seung-Yeop Lee) 대한기계학회 2021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21 No.11

        In order to develop a small-sized air purifier for various kitchen environments, multi-sensing systems including IoT-based comprehensive air quality analysis, warning functions to alam falling and overheating conditions were established. Five different sensors (PM, TVOC, CO, tilt sensor, thermal switch) were selected by comparative experiments using various types of sensors. IoT sensing functions were properly performed through a mobile-phone Android application. The mobile air purifier for kitchen environments would be launched as commerical products on the market in near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