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Radical Radiotherapy with Lumpectomy (wide excisional biopsy) for Early Breast Cancer

        오원영(Won Young Oh),황인순(In Soon Whang)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88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6 No.2

        초기 유방암의 치료는 근치적 절제술이 오랫동안 주된 치료방법으로써 선택되어 왔으나, 근래에는 여성의 유방을 보존하고 미용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보조적 절제술 후 근치적 방사선치료법이 개발되어 지대한 관심과 상당한 논란이 거듭되어 왔다. 이러한 논란을 해결하기 위하여 그동안 세계적으로 많은 후향성 또는 전향성 분석을 시행하여 두 치료방법사이의 치료효과를 비교하여 본 결과, 국소치료율, 재발율, 그리고 생존율에 있어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와 같은 치료성적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최근에는 보조적 절제술 후 근치적 방사선치료법이 여성들의 유방을 보존하고 미용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국소치료율, 재발율, 생존율도 근치적 절제술의 성적과 대동소이하므로 초기 유방암의 치료에 활발히 이용되기에 이르렀다. 본원에서도 이러한 추세에 따라서 보조적 절제술 후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초기 유방암 1예를 보고하면서 아울러 많은 문헌고찰과 함께 향후 치료방침을 세우고자 한다. However, long-term results of retrospective studies suggest that, for the great majority of individuals, mastectomy or conservative surgery with radiation therapy were be equally effective. The results at 5 and 10 years from prospective randomized trials indicate that survival following primary radiation therapy for early breast cancer is equivalent to that fellowing mastectomy. When competently Performed, Primary radiation therapy gives highly satisfactory cosmetic results and acceptably low rates of local tumor recurrence. A number of controversial issues remain concerning patient evaluation and selection and the optimal techniques of treatment, both surgical and radiotherapeutic. In addition, further work is needed to clearity the best way to integrate primary radiotherapy with adjuvant systemic treatment. And further follow-up of these patients with primary radiation therapy for early beast cancer will be required for ultimate proof of the relative merits. A case which was conservative surgery and radical irradiation of early breast cancer with review of literatures will be done.

      • KCI등재

        인체비례론의 역사적 변천과 미술사적 의의에 관한 연구

        오원영 ( Won Young Oh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5

        어떤 대상의 아름다움, 또는 기이함은 대상 그 자체에 있다기보다는 대상을 이루고 있는 전체와 부분, 각 부분간의 비례적 조화에서 감각적으로 느껴지는 것이다. 게다가 많은 경우에 ‘인체비례’는 미술가들이 작품을 제작하는데 있어서 척도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유용성 차원에서 ‘인체비례론’의 역사적 변천과 갈래를 검토하고 ‘인체비례’의 미술사적 의미와 의의를 규명할 필요가 있다. 인체비례론은 전 미술사에 걸쳐 다양하게 전개되어 왔으며, 인간과 사회가 변하는 한 미술과 인체비례론 또한 변화, 발전한다. 고대 이후 많은 미술가들, 파노프스키, 리드 등의 연구자의 비례연구는 미술사에서 어떤 특정한 비례체계(황금비례 등)가 배타적 중요성을 지니기보다는 여러 비례체계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발전해왔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 구체적인 검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에 있어서 시대별 인체비례론사의 고찰을 통하여 인체비례 특성들을 관찰하면 고대 이집트, 중세의 우주적 비례론과 고대 그리스, 르네상스의 경험적이고 실증적 비례론으로 나눌 수 있다. 둘째, 개념 수준에서 다양한 비례론을 검토하면 수학적, 기하학적 질서의 비례체계와 역동적 조화의 비례체계의 두 가지 입장으로 분류가능하다. 그렇다면 현대의 인체비례론은 1) 기하학과 유기적 인체의 조화 가능성에 대한 탐구, 2) 미술가들이 기존의 규범을 해체하고 다양한 인체작품의 실현 가능성을 확보하는 양상에 대한 검토를 통해 모색할 수 있다. 현대의 인체비례론은 기술적 비례와 객관적 비례, 기하학적 비례와 역동적 비례, 이상적 비례와 경험적 비례가 해체되고 통합함으로서 새로운 현대적 인체비례론의 의미를 갖게 된다. 결론적으로 미술적 유용성 측면에서 ‘인체비례’는 이상적 비례와 현실적 비례의 조화를 통하여 새로운 규준체계가 재정립되어 활용됨으로서 미술사적 의의를 갖는다. When we feel someone beautiful or strange, it is from the sense of proportional balance of parts and the whole as well as the balance of each part that constitute the feature. In many cases, ‘Human proportion’ works as the measure in making artwork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elucidation of meaning and significance of ‘Human proportion’ in art history, and examine historical transition and section of ‘Human proportion theory’ in the aspect of aesthetic utility. According to the suggestion of many artist and art historians, the theory of human proportion has been developed in various ways in history of art. As long as human being and society change, the art and human proportion evolve and develop as well. In that context, it is necessary to reinterpret human proportion based on a study of various proportional structures in art rather than bestowing exclusive concernment on particular proportional structure (i.e, golden ratio). The result is as in the following. First, the observation on characteristics of human proportion in the history of art shows division of cosmic proportional theory from ancient Egypt to the Middle Age, and the empirical proportional theory from ancient Greece to Renaissance. Second, it is possible to categorize various proportional theories into mathematical and geometrical order, and proportional structure that has dynamic harmony. Therefore, contemporary theory of human proportion can suggest 1) research on the possible harmony between geometry and organic human body, 2) examination on the aspect that artists try to deconstruct the norms and secure various possible realization of figurative art. This enables us to understand that new meaning of contemporary theory of human proportion disband and merge technical/objective, geometrical/dynamic, and ideal/empirical proportion. To conclude, ‘Human proportion’ in the aspect of aesthetic utility has significance in art history through reestablishment and application of new standard structure that harmonizes ideal and realistic proportion.

      • KCI등재

        포스트미니멀 조각에서의 시간 체험과 신체 개입

        오원영 ( Oh Won You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3

        포스트미니멀 조각의 이해는 전통적인 모더니즘 조각의 이해와는 다른 성격을 갖는다. 포스트미니멀 조각은 작품 자체의 형식보다는 작품의 외적인 체험적 시간과 신체의 개입을 주요 특징으로 하기 때문이다. 체험적 시간성은 과거와 미래의 이중 지평을 가진 현전의 장으로서 열린 체험을 가능하게 하며, 관람객은 신체성을 통해 작품과 상호교감하는 가운데 형식과 의미의 차이화를 발생시킨다는 점에서 포스트미니멀 조각의 이해에 필수적이다. 본 논문은 현대미술 담론에서 몰입과 연극성으로 발현되는 포스트미니멀 조각의 특성인 체험적 시간성과 현상학적 신체성을 분석하고 해석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첫째, 마이클 프리드의 몰입과 연극성 개념을 메를로 퐁티의 시간성을 경유하여 고찰했다. 현대미술의 담론에서 프리드가 예술작품에서 배제해야 할 것으로 보았던 신체성은 미니멀리즘 작품에서는 작품의 의미를 발생시키는 관람객의 신체성, 즉 새로운 연극성 개념으로 재해석 될 수 있다. 둘째, 크라우스의 논의를 통해 관람자의 신체가 작품을 경험하는 실제적 시간성이 지각적 체험인 ‘연극성’으로 전환됨을 확인했다. 제임스 터렐의 작품은 체험된 시간성과 신체성을 기반으로 하지만 매체적인 특성으로 인해 지극히 몰입적인 작업이 된다. 반면 애니쉬 카푸어의 작품은 매체적 특성이 아니라 신체적 지각에 중점을 두며, 실제적 시간 속에서 작품에 몰입한다기보다는 신체성이 살아있는 관람자와의 연극적인 교감을 강조한다. 결론적으로 포스트미니멀 조각에서는 공간과 시간 속에서 변화무쌍하게 지각하는 신체적 체험이 주요한 요소로써 작품을 완성한다. 이것은 신체 지각과 작품이 상호교감하는 가운데 발생하는 체험적 시간성과 신체성의 공존을 의미한다. An understanding of postminimal sculpture is usually different from that of modernist sculpture. That’s why postminimal sculpture is primarily marked by its work’s experiential time and physical involvement, not the work’s own form itself. Empirical temporality is a fundamental element in an understanding of postminimal sculpture in that it enables the viewer to have an open experience as a forum for presence with double layers of the past and future and the viewer generates differences in form and meaning while mutually interacting with a work of art through their corporeality. This thesis aims to analyze and interpret empirical temporality and phenomenological corporeality, crucial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 sculpture, the hallmarks of postminimal sculpture that are manifested by absorption and theatricality in discourse on contemporary art. First, this study considers Michael Fried’s concepts of absorption and theatricality through that of Maurice Merleau-Ponty’s temporality. Fried considered corporeality to be excluded from a work of art that can be reinterpreted as the viewer’s corporeality that brings about the meaning of an artwork, namely the concept of a new theatricality. Second, this study is intended to confirm that an actual temporality the viewer experiences of an artwork is changed into theatricality which is a perceptual experience through discussions by Rosalind E. Krauss. Any work by James Turrell has become extremely obsessive with its medium feature while it is based on empirical temporality and corporeality. In contrast, any work by Anish Kapoor stresses a theatrical communion with the viewer whose corporeality is alive rather than any obsession in which the viewer falls completely into a work of art in real time, focusing primarily on physical perception, not medium characteristics. In conclusion, any work of postminimal sculpture is usually completed by physical experience to perceive something. It means the coexistence of empirical temporality and corporeality that arises in a mutual communion between physical perception and artwork.

      • KCI등재

        5-Fluorouracil 및 Mitomycin C 투여후 생쥐 콩팥소체의 미세구조 변화

        고정식,오원영,김진국,박경호,안의태,Ko, Jeong-Sik,Oh, Won-Young,Kim, Jin-Gook,Park, Kyung-Ho,Ahn, E-Tay 한국현미경학회 1999 Applied microscopy Vol.29 No.1

        종양의 치료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항암제 가운데 대사길항제인 5-fluorouracil과 항암항생제인 mitomycin C가 콩팥토리에 미치는 영향을 미세구조적으로 비교 관찰하고자 이 실험을 시행하였다. Mitomycin C는 $LD_{50}$의 1/20 이하인 $400{\mu}g/kg$를, 5-fluorouracil는 $LD_{50}$의 1/4 정도인 60mg/kg를 격일 간격으로 계속 투여하였다. 각 항암제투여군은 처음 주사후 4일 (2회 투여)과 7일 (3회 투여) 째에 희생시킨 후 콩괄겉질부위의 조직을 메어 JEM 100CX-II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1. 5-fluorouracil 및 mitomycin C 투여후 4일군에서는 다같이 혈관사이막이 증가하여 모세혈관과 주머니공간이 매우 좁아 보이는 부분이 많았는데, 그 현상은 mitomycin C 투여군에서 더 심했다. 2. 5-fluorouracil 투여 7일군은 토리의 미세구조가 거의 정상군의 모습과 비슷하게 회복되어 보였으나 mitomycin C 투여 7일군은 토리의 미세구조가 정상군의 모습과 비슷하게 회복된 모습을 거의 관찰할 수 없었다. 3. Mitomycin C 투여 4일군과 7일군에서는 내피세포의 종창현상(swelling) 이 심해서 내강으로 돌출되었을 뿐만 아니라 혈관사이세포가 모세혈관내강으로 돌출되어 내강을 거의 막고 있는 경우가 자주 관찰되었다. 4. Mitomycin C 투여 4일군에서는 토리모세혈관바닥막의 속투명판과 바깥투명판의 전자밀도가 높아서 치밀판과의 경계가 뚜렷하지 못한 부분이 많았는데, 부위에 따라서는 속투명판이 넓어진 부분이 관찰되기도 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mitomycin C를 투여하였을 경우에는 마우스의 콩팥토리는 모세혈관의 내강이 좁아지고 혈관사이막이 증가하며 내피세포는 종창현상을 보이는 등의 미세구조적 변화를 보였다. 그러나 5-fluorouracil을 투여하였을 경우, 초기 (4일)에는 발세포와 혈관사이막의 경우 mitomycin C 투여군에서와 비슷한 미세구조적 변화를 보였으나, 7일군에서는 거의 정상군의 소견과 비슷한 모습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콩팥토리를 비롯한 콩팥조직에 미치는 세포독성은 mitomycin C가 5-fluorouracil에 비하여 훨씬 더 강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to study the morphological responses of the renal glomeruli of the mice after administration of 5-fluorouracil or mitomycin C. 5-fluorouracil (60 mg/kg) or mitomycin-C $(400{\mu}g/kg)$ were injected subcutaneously to the animals every other day, and animals were sacrificed at 4 days or 7 days following the first injections. Pieces of tissues were observed with a JEM 100CX-II electron microscope. The observed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fourth day following the first injection of 5-fluorouracil or mitomycin C, components of the renal glomeruli of the mice are looked compact since they were filled with the widened the mesangium, and showed narrowing lumen of glomerular capillaries and of urinary spaces. The changes were more significant in the mitomycin C treated mice. 2. In the 5-fluorouracil treated mice, morphological changes of glomeruli were generally recovered in the seventh day, whereas the glomeruli of the mitomycin C treated mice have not shown general recovery. 3. In the fourth and seventh days following the first injection of mitomycin C, in the renal glomeruli of the mice, swollen endothelial cells, and protruded mesangeal cells into the capillary lumen are frequently observed. 4. In the fourth day following the first injection of mitomycin C, in the glomerular basal lamina of the mice, the electron densities of the lamina rara interna and the lamina rara externa were similar to the density of the lamina densa and the expanded lamina rara interna were often seen. From the abov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the cytotoxic effects of the mitomycin C on renal glomeruli are more severe as compared with those of 5-fluorouracil.

      • KCI등재

        CT and scintigraphic evaluation of osseointegration following immediate versus delayed implantation in dogs

        김중현,이재영,이원국,오원영,김소섭,강성수,최석화,Kim, Juoog-Hyun,Lee, Jae Yeong,Lee, Won-Guk,Oh, Won Young,Kim, So-Seob,Kang, Seong Soo,Choi, Seok Hwa The Korean Society of Veterinary Science 2004 大韓獸醫學會誌 Vol.44 No.1

        Osseointegration involves anchoring dental implants to stable bone rather than to soft-tissue. Clinical osseointegration is currently defined as the process whereby alloplastic material is asymptomatically and rigidly fixed and maintained in bone during functional loading. Full osseointegration is necessary for the success of long-term dental implants. Recent developments in computer assisted measurement of bone formation have improved maxillofacial examination and osseointegration. Computer assisted examination has also proved effective in dental implantology. This investigation was aimed to determine osseointegration in immediate and delayed implantation in the dog mandible using dental computed tomography (CT) and bone scintigraphy. Five adult (mean age of 2 years) mongrel dogs with a mean weight of 9.1 kg were used in this investigation. Titanium alloy implant systems with 4 mm in diameter and 10 mm in length were chosen for insertion. The second and third left mandibular premolars in each dog were extracted for the delayed implant insertion. Twelve weeks later, the second and third right mandibular premolars were extracted for the immediate implant insertion. Before the delayed and immediate implantation procedures and 0, 4, 8, and 12 weeks after the insertions, dental CT and scintigraphy were conducted. The CT and scintigraphic images indicate that reconstruction of bone surrounding of the immediate implant can be as successful as reconstruction of bone surrounding of the delayed implant.

      • SCOPUSKCI등재

        Local Control and Survival in Radiation Treatment of Locally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송미희(Mi Hee Song),양진영(Jin Yeung Yang),오원영(Won Young Oh),유남수(Nam Soo Yoo),황인순(In Soon Whang)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3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1 No.3

        본 국립의료원 치료 방사선과 에서는 1986년 1월부터 1990년 12월까지 5년간 방사선 치료를 받은 III병기 비소세포성 폐암 37예를 대상으로 후향성 조사를 통하여 임상적 특징과 생존율을 분석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이중 29예가 사망시 또는 1991년 8월까지 추적 관찰이 가능하였으며 치료후 추적 조사기간은 최소10개월, 최고60개월 이었고, 추적율은 78.4%이었다. Kaplan-Meier법에 따른 전체 환자 37예의 2, 5년 생존율은 각각 20.6%, 6.9%이었으며 중앙생존 기간은 10개월 이었다. Performance status에 의하면 KPS가 80% 이상인 I군의 2,5년 생존율과 중앙생존기간은 각각 29.2%, 9.7%, 13개월 이었고, KPS가 80% 이하인 II군의 2년 생존율과 중앙 생존기간은 13.7%와 7개월 로서, 통계학적으로 유의 한 차이를 보였다(p<0.05). AJCC 병기에 따른 생존율 및 중앙 생존기 간을 보면 III_a 병기의 2, 5년 생존율 및 중앙 생존기간이 29.2%,9.7%및 12개월 이었고 III_b 병기의 2년 생존율과 중앙 생존기간은 8.6%와 10개월로 생존율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1). 그외 조직 병리학적 유형별, 방사선 선량별, 방사선 반응군별, 항암화학요법 유무에 따른 생존율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overall 5년 생존율 및 중앙 생존기간은 6.7%와 10개월 이었고 performance status 만이 통계적으로유의한 예후인자였으며, 병리조직학적 유형, 병기, 방사선 치료선량, 방사선 반응유무와 항암화학요법 등의 예후인자들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The retrospective analysis was performed on 37 patients with stage III non small cell lung cancer who received the radiotherapy from Feb. 1986 to Dec. 1990 at the Dept. of Radiation Oncology, National Medical Center. This analysis, with 29 patients (78.4%) having been followed from 10 to 60 months, was done to know the survival rate and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 The actuarial 2,5-year survival rates were 20.6% ,6.9% in our all patients and median survival time was 10 months. Of patients with KPS (Karnofsky prformance status) greater than 80%, the 2, 5 year survival rate and median survival time were 29.2%, 9.7% and 13 months, respectively. The 2-year survival rate and median survival time of patients with KPS less than 80% were 13.7% and 7 months, respectively. The survival difference according to performance status was statisticaly significant (29.2% vs 13.7%)(p<0.05). In stage IIIa, the 2,5-year survival rate and median survival rate and median survival time were 29.2%, 9.7% and 12 months, respectively. The 2-year survival rate and metian survival time of stage IIIb were 8.6% and 10 months, respectively. The survival difference between stage IIIa and IIIb did not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p<0.1). Of the prognostic factors, the difference of survival rate by initial performance statu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But the difference of survival rates by pathologic cell type, stage, total radiation dose, radiotherapy response, and combination with chemotherap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 연령에 따른 흰쥐 망막 속얼기층의 미세구조 변화

        오원영,고정식,양남길,안의태,박경호 순천향의학연구소 1995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1 No.2

        이 실험은 연령에 따른 흰쥐 망막 속얼기층의 미세구조적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실험동물로는 생후 3개월(어린 흰쥐), 12개월(젊은 흰쥐) 및 30개월(늙은 흰쥐)된 Fisher계통 344흰쥐를 사용하였다. 각 동물은 4% chloral hydrate로 마취한 후 2.5% glutaradehyde-1.5% paraformaldehyde로 관류 고정한 다음, 안구를 적출하여 톱니둘레를 다라 절단한 후 시신경원반외측의 일정부위에서 망막조직을 떼어내었다. 떼어낸 조직은 2.5% glutaradehyde- 1.5% paraformaldehyde 고정액에 다시 고정한 후, 1% osmium tetroxide액에 또 다시 고정하였다. 고정된 조직은 ethyl alcohol과 acetone으로 탈수한 후 araldite혼합액에 포매하였다. 포매된 조직은 LKB-V ultratome으로 얇은 절편을 작성하여 uranyl acetate와 lead citrate로 염색한 후 JEM 100CX-Ⅱ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무축삭신경원의 세포질돌기는 세포질의 전자밀도, 연접소포의 종류 및 양에 따라 4종류 구분되었다. 2. 속얼기층에서 관찰되는 신경연접의 형태는 연접리본복합체외에 4종류의 일반신경연접을 관찰할 수 있었으나, 연령증가에 따른 연접형태의 미세구조적 변화는 관찰할 수 없었다. 3.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부챗살아교세포의 상대적 영역이 넓어졌다. 4.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무착삭신경원과 신경절세포의 가지돌기안에 수초구조, 용해소체, 잔여소체가 자주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흰쥐의 망막속얼기층은 연령이 증가하면 무축삭신경원과 신경절세포는 기능이 점점 약해지므로 부챗살아교세포의 영역이 상대적으로 더 넓어진다고 생각된다. Morphological differences among the inner plexiform layers at different age groups have been studied in young(three months old), adult(twelve months old) and old(thirty months old) Fisher stain 344 rats. Under anethesia, 2.5% glutaraldehyde- 1.5% paraformaldehyde solution was perfused through the heart. Pieces of the tissue taken from the posterior region of the retina were fixed in 2.5% glutaraldehyde- 1.5% paraformaldehyde, and in 1% osmium tetroxide followed by fixation embedded in aralditse mixture. Ultrathin seciton were statined with uranyl acetate and lead citrate solution and were observed with JEM 100CX-II electron microscop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Four types of amacrine cells were found according to their electron densities, and kind and amount of the synaptic vesicles, were found, i.e., dark amacrine cell with clear vesicles(Al cell), light amacrine cell with clear vesicles(A2 cell), dark amacrine cell with clear and granular vesicles(A3 cell) and light amacrine cell with clear and granular vesicles(A4 cell) 2. In the inner plexiform layer, there appear two types of synapses : 1) synaptic ribbon complex and 2) conventional synapses. Conventional ones exhibited four different types, showing, i.e., prominent presynaptic density(type 1), prominent postsnaptic density(type 2), prominent pre-and postsynaptic densities(type 3), and lesser prominent pre-and postsynaptic densites. 3. Territories of the Muller cells were expanded during aging. 4. Myelin figures, lysosomes, lipofuscin granules and lipid droplets were frequently observed in the amacrine and ganglion cells of the adult and old rats.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functions of the bipolar, amacrine and ganglion cells were diminished gradually, whereas territories of the Muller cells were expanded during ag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