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하유상 시나리오 연구

        오영미 ( Oh Young-mi ) 한국드라마학회 2017 드라마연구 Vol.0 No.51

        이 논문은 한국 시나리오 작가연구의 일환으로, 하유상의 시나리오 연구로는 최초의 시도이다. 1950-60년대에 주로 활동한 하유상은 시나리오 작가로서는 많지 않은 작품을 창작했지만 시나리오 입문서와 작법서를 최초로 출간하고 교육에 이바지한 공로가 있다. 그의 창작세계는 멜로드라마적 관습을 수용한 작품, 희극모드의 작품, 실존의식과 사회적 이슈를 다룬 작품으로 대별해 볼 수 있다. 멜로드라마적 관습을 수용한 작품들은 타입화된 캐릭터와 플롯을 드러내고 있으며, 그 외의 범주에 있는 작품들도 멜로드라마의 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영화시나리오로 볼 때 작품성을 인정받을 만한 대표작은 희곡을 원작으로 한 각색물에서 찾을 수 있으며, 그것은 시나리오 창작환경 이전에 작가의식이 십분 살아있을 수 있는 원작 희곡이 바탕이 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하유상 시대의 시나리오 창작환경은 대부분 선 기획 후 대본의 제작 시스템으로 돌아가고 있어서, 작가는 대본조달자의 역할에 머무를 수밖에 없었으며, 개성보다는 관행에 발 빠른 작가가 인기작가일 수밖에 없었다. 한국 시나리오 작가를 사적으로 평가고찰해 볼 때, 하유상의 위치는 한국영화의 중흥기에 시나리오 창작환경에 순응하여 멜로드라마 양식을 창작원리로 삼았던 작가로, 시나리오 창작으로는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지만 시나리오 작법서와 그 교육에 이바지한 공로가 큰 작가로 자리매김할 수 있겠다. This study is part of research of Korean scenario writers, and the first major approach to research scenarios written by HA Yoosang. HA Yoosang, generally acting in the 1950s and 1960s, did not write many scenarios, but is more known for his contribution to education with his publication of books on how to write scenarios. His works can be categorized as: acts adopting melodramatic customs; comedy; and acts of social issues or existential consciousness. Acts adopting melodramatic customs has typical stereotype characters and plots, and other acts also do not vary far from the frame of melodramas. Movie scenarios whose cinematic quality is recognized are the comedy scenarios dramatized, which already had an established original scenario representing the original author`s philosophy. The majority of the scenarios from his time are pre-arranged work where the authors are only story tellers, who were unable to express their individual characters due to the production circumstances at that time. A historical review of Korean scenario writers conclude that HA Yoosang was a writer who followed the given production circumstances at his time adopting forms of melodramas throughout the revival period of Korean movies. He did not have a successful career as a scenario writer, but he definitely earned a place in history for his contribution in education with his publication of books on how to write scenarios

      • KCI등재

        논문(論文) : 『三國遺事(삼국유사)』를 통해 본 一然(일연)의 慈藏觀(자장관) 형성배경 - 자장 관련 원전사료 활용맥락을 중심으로 -

        오영미 ( Young Mi Oh ) 대구사학회 2015 대구사학 Vol.119 No.-

        『삼국유사』에는 자장과 관련한 여러 원전사료가 인용되었다. 국외 사료는 『속고승전』이 대표적이며 국내 사료는 오대산계통과 황룡사계통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일연은 이러한 사료를 가지고 자장의 특정한 면을 부각시키고자 하였으니 신라 오대산신앙의 개창자이자 대국통으로서의 활약에 관심을 보였다. 자장과 오대산신앙과의 관련성은 오대산과 관련한 조항뿐만 아니라 황룡사관련 조항에서조차 오대산 계통의 자료를 전거자료로 삼아 강조한 점에서 알 수 있다. 한편, 『속고승전』이 율사의 모습과 민을 대상으로 한 불교 홍포활동을 함께 비중을 둔 반면 일연은 민을 대상으로 한 수계활동은 생략하고 대국통으로서 승단조직을 장악한 활동은 상세히 인용하였다. 일연이 이러한 자장관을 갖게 된 배경은 젊은 시절 문수보살을 친견한 경험과 당시 원에서 성행한 오대산산앙이 고려에 영향을 주었기 때문이다. 일연은 고려 오대산신앙의 연원을 신라대까지 소급시키고 이를 통해 고려 불교의 자주성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한편 국통에 대한 관심은 당시 원과의 관계에 의해 국사가 아닌 국존을 사용하게 된 것이 원인이었다. 일연은 그 연원이 신라대까지 올라가는 국통에 관심을 두었고 실제로 일연 이후 고려 불교계에서 국통직이 부활하게 된다. Various historical sources regarding Jajang(慈藏) are cited in『Samgukyusa(三國遺事)』. 『Sokgoseongjeon(續高僧傳)』is a typical historical material overseas; and sources in Korea can be classified into the Odaesan system and the Hwangnyongsa system. Ilyeon(一然) tried to lay stress on specific aspects of Jajang based on these historical materials, showing interest in activities of Jajang as the founder of the Odaesan Faith of Silla as well as Daeguktong(大國統). The relevance between Jajang and the Odaesan Faith(五臺山信仰) was emphasized with reference to the materials of the Odaesan system in not only the items related to Odaesan(五臺山) but also those related to Hwangnyongsa(皇龍寺). 『Sokgoseongjeon(續高僧傳)』 focused on the aspects of rules along with the propagation activities of Buddhism for the people, whereas Ilyeon omitted the parts about giving commandments of Buddhism to the people while citing the activities of Jajang seizing control of the monastic order of monks as Daeguktong(大國統) in detail. Ilyeon obtained such view of Jajang(慈藏) because he had the experience of witnessing Manjusri in the younger years and the Odaesan Faith, which had been very popular in the Yuan Dynasty at the time, had an influence on Goryeo. Ilyeon traced the origin of the Odaesan Faith of Goryeo back to the Silla period, through which he intended to emphasize the autonomy of Goryeo Buddhism. His interest in Guktong(國統) originated from the use of Gukjon(國尊) instead of Guksa(國師) due to the relationship with the Yuan Dynasty. Ilyeon had interest in Guktong, the origin of which dated back to the Silla period; in fact, the post of Guktong is reinstated in the Goryeo Buddhist society after Ilye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dudaldh@hanmail.net)

      • 스마트TV 디자인 가이드라인 연구

        오영미(Oh, Youngmi),노승관(No, Seongkwan)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3 디자인지식저널 Vol.27 No.-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앱(APP)이 설치되어 다양한 서비스제공이 가능한 스마트TV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다양한 사용성을 충족시킬 수 있는 컨버전스 기기로서 진화하고 있다. 사용자는 TV 시청을 하는 동안 다른 서비스를 요구할 수도 있지만 스마트TV는 다양한 기능을 하나의 화면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다양한 기능을 하나의 화면에서 사용할 수 있는 동시화면 구성방식을 연구하였다 연구는 네 가지 동시사용 화면을 설계하여 사용성이 높은 스마트 기능 별로 선호하는 방식을 도출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사용자는 TV 시청 시 16:9 화면을 선호했고 매거진형은 모든 기능에서 선호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웹과 소셜 앱의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절반을 가득 채우되 TV 화면은 16:9 비율을 유지하는 와이드·매거진 혼합형이 가장 선호되었다. 쇼핑과 게임 앱은 동일한 크기의 16:9 비율로 구성되는 와이드 동일형이 가장 선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동시화면 선택방식과 동시사용이 선택되었을 경우 사용자의 선호에 따른 동시화면 선택 순서를 제시하였다. 스마트TV의 화면 크기, 스마트TV에 부여된 다양한 기능을 고려하면 동시사용 화면 구성에 대한 요구는 높아질 것이다. 이에 후속연구에서는 사용성을 보다 정밀하게 측정하고 더욱 다양한 화면 구성을 제시하여 사용자가 요구에 부합하는 화면 구성 인터페이스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As a convergence device which offers variable function, Smart TV offers various services, therefore it can meet various demands by users. Smart TV is a platform as well as image media and provides various functions and services at the same time. However Smart TVs in the market now do not offer multi-function system on one screen except selecting Smart Function or using SNS. On this, the study researches the multi view display system that offers various functions on one screen. The study used a method to draw a preference of each smart function of high usability, by designing the four types of multi-function screen. As a result, users preferred 16:9 screen when they watch TV and ‘Magazine type’ showed the lowest preference in every function. In case of web and social app, ‘Wide·Magazine Mix type’ was the most preferred. In case of shopping and game app, ‘Dual-Wide type’ was the most preferred. On this, the study proposed a selecting order of multi-screen according to user’s preference when multi-screen selecting method and multi-use were chosen. Considering the screen size of Smart TV and various functions in Smart TV, demands for multi-use screen will be significantly higher. Therefore, a follow-up study needs to provide a screen composition interface that meets user’s demand by measuring the usability more accurately and proposing a broader range of screen types.

      • KCI등재후보

        최금동 시나리오 연구

        오영미 ( Young Mi Oh ) 한국드라마학회 2011 드라마연구 Vol.- No.35

        This research is the third one as part of a series of researches on Korean scenario writers after Han Woon-sa amd Kim Ji-heon. Choi Geum-dong, who is the first Korean scenario writer, started his literary career with a movie novel in 1936 and left more than 100 works until the 1980s. In the world of his works, in which his favorite materials were historical events or actual great men and Buddhist materials, he left exemplary legacy in both aspects of consciousness and original writings with the charging spirit and thorough historical consciousness throughout his lifetime. There have been minimal researches on scenarios in our country and the approach to the summation of this scenario writer has not yet been made. It is because his works have been excluded from the category of genuine literature on the ground that they are popular and in movies, approaches to directors and actors have been the mainstream. Based on such a critical mind, this research plans to continue to study the writer basically in the historical aspect an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encompassing the overall works of an individual writer from both aspects of themes (materials) and dramaturgy and to clarify the meanings from the viewpoint of history of scenarios. The materials of Choi Geum-dong`s scenarios can be categorized into historical events and great men highlighting national consciousness, society charging materials through actual persons, human success stories of problematic main characters, and they are, on the whole, characterized by masculine and fluent tones of lines and texts. As writing technique, the works were based on classical narrative methods, and character-oriented play writing methods were highlighted by the description of circumstances and the use of narration, and he frequently used the methods in which plot was formed by presenting actually existent main characters and assistants, and as the result of applying Greimas` actant model, not only the composition of the desires of main characters and assistants but also the composition of senders and recipients were grasped as relatively clearly being contrasted. When the personality of main characters is more heroic, this makes clearer composition and it can be seen that the benefits of recipients flow into the impersonal category. As the result of this analysis, Choi Geum-dong`s scenarios form a main stream of historical works in the flow of Korean scenarios and are characterized by showing scenarios of masculine sentiments without flowing into melodramatic works or popular tastes in connection with unique material tastes of macroscopic discourse. Particularly in the 1950s-1960s when original works were shown most actively and when the dramas mainly featured literary works, literature adaptations, anti-Communist plays, domestic tragedies, he wrote original scenarios based on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became the writer who were sufficiently recognized as the possessor of writer`s consciousness determining supply and demand of original writings autonomously. 본 연구는 한국 시나리오 작가 연구의 일환으로 한운사, 김지헌에 이어 세번째 작가연구 가 된다. 최금동은 최초의 한국 시나리오 작가로 1936년 영화소설로 등단해 1980년대까지 100여 편이 넘는 작품을 남기고 있다. 역사적 사건이나 실존했던 위인들과 불교적인 소재를 즐겨 사용했던 그의 작품세계는 고발정신과 투철한 역사의식으로 일생을 걸쳐 의식과 창작의 양면에서 귀감이 될 만한 족적을 남기고 있다. 우리의 시나리오에 대한 연구도 부족하지만 그 작가에 대하여 총체적으로 접근해 보는 일은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문학에서는 대중적이라는 이유로 본격문학의 법주에서 도외시했고, 영화에서는 감독이나 배우 위주의 접근 방식이 주류를 이루어 온 탓이다. 본고는 이런 문제의식에 착안해 기본적으로 통사적인 측면에서 작가 연구를 이어갈 계획이며, 주제(소재)와 드라마트루기의 양 측면에서 개별 작가의 작품 전반을 아우르는 특질을 고찰하고 시나리오사적 의의를 규명해 보고자 한다. 최금동의 시나리오는 소재상으로는 민족의식이 돋보이는 역사적 사건과 위인, 불교소재, 실존인물을 통한 사회고발성 소재, 문제적 주인공의 인간승리 소재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전반적으로 남성적이고 유려한 대사톤과 지문을 특징으로 한다. 작법상으로는 고전적인 내러티브 방식에 기초하였고, 인물 위주의 극작법으로 선 상황의 묘사나 나레이션의 사용이 두드러지며, 실존하는 주인공과 가상의 조력자를 등장시켜 플롯을 형성하는 방식을 즐겨 사용하였으며, 그레마스의 행위소 모델을 적용한 결과 주인공의 욕망과 조력자, 반대자의 구도는 물론, 발신자와 수신자의 구도도 비교적 명확히 대립을 이루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것은 주인공의 성격이 영웅적일수록 더 분명한 구도를 이루고 수신자의 혜택이 보다 인물 외적인 범주로 흘러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 최금동의 시나리오는 한국시나리오의 흐름에서 특히 역사물의 큰 줄기를 형성한다는 것과 거시적인 담론이라는 특유의 소재취향과 연관하여 멜로물적이거나 대중취향으로 흐르지 않고 남성적인 정서의 시나리오를 보여준다는 특징이 있다. 특히 1950-60년대에 가장 왕성하게 창작물을 보여주던 시기, 문예물이나 문학 각색물, 반공극, 가정비련극 등이 주류를 이루던 시절에도 역사의식에 기초한 오리지널 시나리오를 창작하며 자신의 주관대로 시나리오 창작의 수요와 공급을 결정하는 작가의식의 소유자로 그 가치를 인정받아 충분한 작가로 자리매김 될 수 있겠다.

      • KCI등재
      • KCI등재

        문학,문화 : 문화 환경과 드라마트루기의 적용 양상 연구 -김지헌의 시나리오를 중심으로

        오영미 ( Young Mi Oh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1 비교문화연구 Vol.22 No.-

        This paper extracted formal characteristics appearing repetitively in Kim Ji Heon`s scenario works making a study of them and examined the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spects of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author` external environments and the world of his creation. This viewpoint comprehensively implies the two aspects of the acceptance of public needs and the creativity his scenarios have in universal characteristics of the film and scenario community where he made his debut as a scenario writer and played activities most actively. In addition, we investigated how literary features are expressed concretely in the world of his works who has been evaluated as a writer with excellent ``literary value.`` His scenario world whose base is humanity and existential questions also performs a function as the reading scenario by realizing one literary perfection in itself and poetic description rather than referential function as a film script, which indicates the aspects of values his scenarios have in the existing creation practice focused on story telling, and especially, in the case of 「Manchoo-Late fall」it was found that it expanded the areas of literary value through the beauty of modern form. Through this analysis it is seen that the need was exposed to reconsider problematic recognitions that he was not able to be positioned properly as a writer despite the excellent literary values of Kim Ji Heon`s scenarios. This study has a meaning as a start in our research climate where the research on Korean scenario writers is not made in an earnest way but it is necessary to keep making more thorough studies including other scenarios which are not organized into the collection of works, and it is also necessary to make a comparative study with cinematized film texts in our view.

      • KCI등재

        신경섬유종증이 동반된 산모에서 발생한 척추동맥 동맥류와 자간전증 1 예

        오영미(Young Mi Oh),고민석(Min Suk Koh),여정(Jung Eun Yeu),박창서(Chang Sue Park),조성진(Sung Jin Cho) 대한산부인과학회 200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3 No.6

        Neurofibromatosis is a complex hereditary disease involving many organs and systems. The incidence in pregnancy is less frequent and has been reported as 1/5000 to 1/18500 deliveries. Therefore, little is known about the interactions between neurofibromatosis and pregnancy. A survey of relevant literature suggests that patients with NF have an increased risk of perinatal complications (pregnancy induced hypertension, IUGR, preterm labor, abortion, stillbirth, high cesarean section rate) and maternal disease aggravation (rupture of an aneurysm, sarcomatous degeneration of neurofibroma, activation of pheochromocytoma). Refined ultrasound, flow studies and fetal monitoring allow us to provide improved pregnancy care for neurofibromatosis. However, It should be remembered that even now, neurofibromatosis places pregnant women and their fetuses in a high risk group with the potential to develop life threatening complications. We report a case of vertebral artery aneurysm and preeclampsia complicating a pregnancy with neurofibromatosi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