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교사의 그림을 통해 살펴본 만 5세 교육 공간에 대한 이미지 분석

        오아름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2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그림 그리기에 나타난 만 5세 유아의 교육 공간 이미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19명의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만 5세 유아의 교육 공간에 대한 그림 그리기와 집단 면담 자료를 수집하였고, 자료에 대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유아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만 5세 유아의 교육 공간에 대한 이미지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방적인 물리적 공간으로 나타났다. 둘째, 온화하고 사랑이 넘치는 정서적 공간으로 나타났다. 셋째, 민주적인 분위기의 사회적 공간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교육현장에서 만 5세를 담당해 본 유아교사의 만 5세 유아의 교육 공간 이미지를 분석함으로써 만 5세 유아에게 교육기관의 공간이 갖는 중요성을 고찰해 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image of the educational space of a 5-year-old children in the painting of an early childhood teacher. To this extend, 19 early childhood teachers collected drawing and group interview data on the educational space of 5-year-old children, and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dat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image of the educational space for 5-year-old children hel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is as follows. Firstly, it appeared as an open physical space. Secondly, it conveyed as a gentle and loving emotional space. Thirdly, it suggested as a social space with a democratic atmosphe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s the importance of educational space for 5-year-old children in institutions by analyzing the image of educational spa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educational field.

      • KCI등재

        궐련형 전자담배의 효과적인 금연캠페인 방안 연구 : 보건학 및 홍보학 분야 전문가 대상 조사를 토대로

        오아름,한규훈 한국광고PR실학회 2023 광고PR실학연구 Vol.16 No.4

        궐련형 전자담배의 보급과 소비가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는 시점에서 담배규제정책과 금연캠페인의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지금까지 금연홍보와 관련된 연구는 국내외에서 꾸준히 수행되었으나, 궐련형 전자담배와 같은 신종담배의 등장에 따른 금연캠페인의 개선 방향을 모색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급격히 변화한 국내 담배시장 및 흡연행태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금연캠페인의 방향성을 심층적으로 고찰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보건학 및 홍보학 분야의 전문가 9명을 대상으로 소그룹 인터뷰 (FGI)를 실시하고 그들의 전문적 의견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궐련형 전자담배의 확산에 대응하기 위한 금연캠페인의 주요 타깃 및 소구메시지, 그리고 적합한 매체전략과 캠페인 효과 평가 방안 등 성공적인 캠페인 전략 수립을 위한 다양한 함의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금연홍보를 위한 실무적 시사점의 제공 외에도, 향후 궐련형 전자담배를 비롯한 신종담배의 확산에 대응하기 위한 보건학계 및 홍보학계의 관심과 후속연구를 촉진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를 갖는다 At a time when the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of heated tobacco products are showing steady growth, changes in tobacco control policies and anti-smoking campaigns are required. So far, research on anti-smoking campaigns has been steadily conducted at home and abroad, but it is difficult to find a study that sought the direction of anti-smoking campaigns that should change with the emergence of new cigarettes such as heated tobacco products. Hence,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in-depth the direction of anti-smoking campaigns that can properly respond to the recent rapid change in the domestic tobacco market and smoking behavior. To this end, small group interviews (FGI) were conducted on nine experts in the fields of health science and public relations, and their professional opinions were analyzed. As a result, various implications were drawn for establishing effective anti-smoking campaign strategies, such as the main target and appeal message of anti-smoking promotion to cope with the spread of heated tobacco products, and appropriate media strategies and promotional effects evaluation methods. In addition to providing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promotion of quitting smoking, this study is of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t can encourage interest and follow-up research in the health and public relations circles to deal with widespread uses of new types of cigarettes, including heated tobacco products.

      • 민속지학적 접근을 통해 본 불법체류 외국인 근로자의 소비생활

        오아름,유현정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09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민속지학적(ethnographic) 면접기법을 이용하여 불법체류중인 태국인 근로자의 소비활동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불법체류자의 제한된 소비활동 형성과정이라는 주제를 발견하였다. 본 연구에서 발견된 불법체류자의 제한된 소비활동형성과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들이 한국에 오는 목적은 오로지 일자리를 얻기 위해서이다. 이들은 본국에서의 궁핍한 경제생활에서 벗어나 좀 더 나은 생활을 하기 위해 3개월 여행용 비자를 통해 한국에 일자리를 찾아 들어온다.둘째, 대부분의 외국인 노동자들은 비자만기 이후에도 본국으로 돌아가지 않고 불법체류자가 되어 주로 1차 산업 직종에서 일을 한다. 본 연구에서 만난 노동자들은 불법체류자 신분이 된 상태에서 화훼, 오이, 돼지, 토마토 농장 등 1차 산업에서 일을 하고 있었다.셋째, 불법체류자신분과 장시간의 근로시간이 소비활동에 가장 큰 제약이 된다. 불법체류자 신분 때문에 가급적 외부와의 접촉을 피해야 하고, 긴 근로시간은 소비활동을 위한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때문에 불법체류자의 전체적인 활동범위는 매우 제한적이며 소비에 대한 표준을 극도로 낮춰줌으로써 한정된 소비생활 속에서도 만족을 이끌어내려 노력한다. 넷째, 외국인 노동자들은 본국으로 돌아가서 누리게 될 여유로운 삶을 꿈꾸며 한국에서의 최하위층의 힘든 삶을 참아내고 있다. 이들에게는 귀국에 대한 희망이 현재의 어려운 생활을 견딜 수 있는 유일한 원동력이며, 때문에 제한된 소비생활 역시도 불만스럽지 않다. This study adopted an ethnographic interview technique, collected and analyzed the data on consuming activities of Thai workers under illegal stay, and discovered the topic such as a formative process of limited consuming life of illegally staying workers. The formative process of limited consuming life of illegally staying workers found in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purpose of their coming to Korea is to get a job only. To get out of a poor economic life in their motherland and live a better life, they come to Korea to find a job through 3 months’ travelling visa.Secondly, most of foreign workers do not go back to their motherland after the expiry of visa, become illegally staying workers, and mainly work in the primary industry. Workers met in this study worked in the primary industry such as flowering plant, cucumber, pig, and tomato farm, etc. under the status of illegally staying workers.Thirdly, the status of illegally staying workers and the long hours’ working become the most significant restriction for their consuming activities. Due to the status of illegally staying workers, they had to avoid contacting outside area, if possible and the long working hours restrict a moving for consuming activities. Subsequently, the entire scope of activities by illegally staying workers is very limited. By excessively lowering the standard on consumption, they try to gain a satisfaction in such limited consuming life. Fourth, foreign workers endure a hard life in the lowest level of the Korean society by dreaming a better life that they can enjoy in their motherland. A hope to return to their motherland is the only driving force for them to endure a difficult life in the present. Thus, a limited consuming life is not that unsatisfactory.

      • KCI등재

        메시지 프레이밍과 콘텐츠 유형에 따른 청소년 자살 예방 캠페인 효과에 관한 연구

        오아름,이현진,김활빈 한국광고홍보학회 2019 광고연구 Vol.0 No.122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iveness of suicide prevention campaign for adolescentsaccording to message framing and content types. By using an online 2 × 2between-group experimental design (gain/loss × webtoon/video), a total of 316adolescents were surveyed. We developed four types of experimental stimuli:webtoons and videos including a gain or loss framed message. Findings showed themain effect of message framing on attitudes toward the campaign message andintention to spread the message. In particular, loss framed message indicated greatereffects than gain framed message. Results revealed the interaction effects of messageframing and content types on behavioral intention to prevent suicide. More specifically,greater behavioral intention was found in a webtoon including a loss framed message. Greater behavioral intention was shown in a video including a gain framed message,but its effec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Our findings can provide usefulimplications for PR or health practitioners. 본 연구는 예방의 측면에서 다른 연령층보다 자살 예방 효과가 큰 청소년을 대상으로 메시지 프레이밍과 콘텐츠 유형에 따른 자살 예방 캠페인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연구는 2(손실/이익) × 2(웹툰/동영상)의 집단 간 실험 설계에 의한 온라인 실험으로,316명의 청소년 온라인 조사 패널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실험 자극물은 손실과 이익프레이밍으로 제시된 메시지를 웹툰과 동영상에 적용하여 총 네 가지 유형으로 제작되었다. 자살 예방 캠페인의 메시지 프레이밍과 콘텐츠 유형의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본결과, 메시지 태도와 메시지 전파 의도에서 메시지 프레이밍의 주효과를 확인하였으며,자살 예방 행동 의도에서 메시지 프레이밍과 콘텐츠 유형 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특히 메시지 태도와 메시지 전파 의도에서는 손실 메시지 프레이밍이 이익 메시지프레이밍보다 높은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호작용 효과와 관련해서 구체적으로 웹툰의 경우 자살 예방 행동 의도가 손실 메시지 프레이밍에 크게 영향을 받는 반면,동영상은 이익 메시지 프레이밍이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실제 청소년을 대상으로 자살 예방 캠페인을 진행할 경우 메시지를 제작할 때 이익프레이밍보다는 손실 프레이밍에 기초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것이라는 실무적 함의를제공한다.

      • KCI등재

        들뢰즈를 통해 본 <겨울왕국2>의 유아생태교육적 함의

        오아름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3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5 No.2

        This study examined the narrative of "Frozen 2" produced in 2019 by the Walt Disney Animation Studio in the United States based on Deleuze's philosophy and analyzed the in-depth meaning to be conveyed in the film.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is movie implies three things as follows. First, the past, present, and future are connected through "water," and the world of nature and people continues through differences and repetitions. Second, there is no superiority in the world of nature and people, and we must recognize and understand each person's unique intrinsic nature and move forward together into the future. Third, nothing is fixed in the world of nature and people, and everything constantly changes in the process of living and is created as new through the process.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lored the possibility of Frozen 2」 as an early childhood ecological education content. 본 연구는 미국 윌트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에서 2019년 제작한 「겨울왕국2」의 서사를 들뢰즈철학을 바탕으로 살펴보고 이를 통해 영화에서 전달하고자 하는 심층적인 의미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영화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를 암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첫째, ‘물’을 통해 과거와 현재, 미래가 이어져있으며 자연과 사람의 세계도 차이와 반복을 겪으며 끊임없이 이어진다. 둘째, 자연과 사람의 세계에는우위가 없으며 각자가 가지고 있는 고유한 내재성을 인정하고 이해하며 함께 미래로 나아가야 한다. 셋째, 자연과 사람의 세계에서 고정된 것은 없으며 모든 것은 살아가는 과정 속에서 끊임없이 변화하고 그 과정을통해 새로운 것으로 생성되어 간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아생태교육적 컨텐츠로서 「겨울왕국2」의 가능성을탐색해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유아 환경교육에 대한 교사학습공동체의 경험과 의미: 연구회 ‘에코’ 사례를 중심으로

        오아름,김지성 한국유아교육학회 2023 유아교육연구 Vol.4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 teacher learning community's experience in early childhood environmental education. The ‘Eco’ research group was voluntarily form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used narrative inquiry to find out what they experience through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and what this experience means to them.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four teachers working in the research society of early childhood environmental education.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group interviews, personal interviews, photos of the association's activities, research plans and reports, and online cafe data search of the associ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into two main categories. First, the experience of teachers of the 'ECO' research group was found to be ‘revival from an early childhood teacher community to an early childhood teacher environmental learning community’. Second,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of teachers of the 'ECO' research group was found to be 'becoming a leading early childhood environmental education instructor’. Through this study, implications for expanding opportunities to improve teacher expertise on the premise of the necessity and spontaneity of teacher education related to early childhood environmental education, starting with the life of teachers, were derived.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이 자발적으로 결성한 유아 환경교육에 대한 교사학습공동체의 경험을내러티브 방법으로 탐구함으로써 그들이 교사학습공동체를 통해 무엇을 경험하며, 이 경험이그들에게 주는 의미는 무엇인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유아 환경교육 연구회 활동을 하고 있는 교사 4인이었으며 자료수집은 집단면담과 개인면담, 연구회 활동사진, 연구계획서 및 보고서, 연구회 온라인 카페 자료 탐색 등을 통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결과는 크게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었다. 첫째, ‘에코’ 연구회 교사들의 경험은 ‘유아교사 공동체에서 유아교사 환경 학습공동체로 거듭나기’로 나타났다. 둘째, ‘에코’ 연구회 교사들의 경험이 그들에게 주는 의미는 ‘주도적인 유아 환경교육 교수자 되어가기’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교사의 삶에서부터 시작하는 유아 환경교육 관련 교사교육의 필요성, 자발성을 전제로 한교사 전문성 향상의 기회 확대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디지털 놀이에 대한 메타포 분석

        오아름,김인애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2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4 No.4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디지털 놀이에 대한 메타포를 분석하여 부모가 인식하고 있는 디지털 놀이에 대한 의미를 알아보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22년 10월 1주부터 11월 4주까지 약 두 달에 거쳐 D시와 C도에 거주하고 있는 유아기 자녀를 둔 98명의 부모를 대상으로 디지털 놀이에 대한 메타포 분석을 실시하였다.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디지털 놀이에 대한 메타포를 분석한 결과, 가치적 측면, 사회적 측면, 정서적 측면의 총 3개 측면으로 유형화될 수 있었다. 가치적 측면은 활용 방법에 따라 달라지는 양면성, 기능적 측면은 이 시대를 살아가는 데 생활에 필수적인 매체로 나타났으며 정서적 측면은 매력적이고 즐거우며 자유로운 놀이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taphor of digital play of parents with early childhood children to find out the meaning of digital play recognized by parents. To this end, a metaphor analysis of digital play was conducted on 96 parents with early childhood children residing in D city and C province for about two months from October 1st to November 4th, 2022.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taphor for digital play of parents with early childhood children, it was categorized into a total of three aspects: valuable, social, and emotional. The ambivalent and functional aspects, which vary depending on the method of use, were found to be essential media for living in this era, and the semantic aspects were found to be attractive, enjoyable, and free play.

      • KCI등재후보

        가로경관 색채특성분석을 통한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홍대 걷고 싶은 거리의 색채를 중심으로

        오아름,김신원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2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2 No.3

        가로경관을 형성하는 요소는 무형적인 것으로는 자연적·인문적인 것이 있고, 유형적 요소로는 1차적으로 건축물의 구조에 관한 것과 2차적으로 가로 시설물에 관한 것이 있다. 가로 시설물 중 옥외광고물은 최근 상업사회의 도래와 함께 건축물의 이미지를 대표하고 상업공간의 정보를 알리는 요소로서 그 중요성이 크다. 옥외광고물이 상시로 보이는 영역은 가로경관이며, 가로경관은 가로와 건축물로 구성된다. 건축물의 수직면은 건축물의 외벽이자 가로의 내벽이라는 이중성을 지니고 있어 시각적으로 가로 경관의 질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된다. 본 연구를 위하여 지역적 특색이 뚜렷한 홍대 앞 걷고 싶은 거리를 대상으로 선정하여 거리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색채특성분석의 기준으로서 가로에 주요영향을 주는 건축물과 옥외광고물을 하나의 유닛으로 설정하여 주조색, 보조색, 강조색을 추출하였다. 설문조사에서 대상지 가로 환경색채의 정비가 필요하다고 62%가 응답하였으며, 가로경관에서 지향해야 할 이미지 형용사로 '경쾌한'이 32%, '다이나믹한'이 28%로 집계되었다. 여기서 추출한 형용사 이미지와 I.R.I컬러시스템을 활용하여 색채팔레트를 만들고, 이를 적용하여 시뮬레이션을 통해 색채계획안을 제시하였다. 위의 연구를 바탕으로 연구의 내용과 결과를 종합 정리하여 가로경관의 색채디자인의 근거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더욱 정확성과 신뢰성이 있는 가로의 색채계획방안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으로 지향하는 가로 이미지를 제안하는데 의의를 둔다. The elements that form a streetscape are abstract and concrete factors. Abstract factors include nature and humans. Concrete factors are structures of buildings and street facilities. Outdoor billboards are particularly important in a commercial space, because they represent the image of the building and give a store's information to people. Billboards on buildings can be easily seen in any streetscape, and a streetscape is composed of streets and constructions. The vertical surface of a building is the outer wall of a building and the inner wall of the streetscape. It is the most critical element which determines the quality of the streetscape image. The target area of study is Hongik University's Favorite Street, chosen from many other streets in the area because it shows unique local distinct characteristics. Next, the selected zone's problems of buildings and outdoor advertising were set into one unit. Main color, sub color, accent color were identified in units on the basis of color characteristic analysis. According to our survey, some 62% of the people surveyed say that the target area's streetscape environmental color is in need of repair, and 32% said 'rhythmical' and 28% chose 'dynamic' as adjectives to improve the streetscape. Then color pallets were made using extracted adjectives of images from the data and I.R.I. color system. Utilizing the color pallets, a color proposal was proposed through a simulation. Based on this study, organized contents and results of the research can be applied to streetscape color designs. This research focuses on establishing a database for streetscape which should rely on accuracy and credibility.

      • KCI등재후보

        Polymorphisms in RAS Guanyl-releasing Protein 3 are Associated with Chronic Liver Disease and Hepatocellular Carcinoma in a Korean Population

        오아름,이승구,김민호,정재연,조성원,양갑석,곽규범 한국유전체학회 2008 Genomics & informatics Vol.6 No.4

        RAS guanyl-releasing protein 3 (RasGRP3), a member of the Ras subfamily of GTPases, functions as a guanosine triphosphate (GTP)/guanosine diphosphate (GDP)-regulated switch that cycles between inactive GDP- and active GTP-bound states during signal transduction. Various growth factors enhance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proliferation via activation of the Ras/Raf-1/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 pathway, which depends on RasGRP3 activation.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olymorphisms in RasGRP3 and progression of hepatitis B virus (HBV)-infected HCC in a Korean population. Nineteen RasGRP3 SNPs were genotyped in 206 patients with chronic liver disease (CLD) and 86 patients with HCC. Our results revealed that the T allele of the rs7597095 SNP and the C allele of the rs7592762 SNP increased susceptibility to HCC (OR=1.55, p=0.04 and OR=1.81∼2.61, p=0.01∼0.03, respectively). Moreover, patients who possessed the haplotype (ht) 1 (A-T-C-G) or diplotype (dt) 1 (ht1/ht1) variations had increased susceptibility to HCC (OR=1.79 ∼2.78, p=0.01∼0.03). In addition, we identified an association between haplotype1 (ht1) and the age of HCC onset; the age of HCC onset are earlier in ht1 +/+ than ht1 +/- or ht1 -/- (HR=0.42∼0.66, p=0.006∼0.015). Thus, our data suggest that RasGRP3 SNPs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developing HC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