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현대교육사의 시기 구분에 관한 시론

        오성철(Oh, Seongcheol) 교육사학회 2015 교육사학연구 Vol.25 No.2

        이 글은 해방 이후 한국 현대교육사의 시기 구분에 관한 시론적 논의이다. 기존의 시기 구분은 주로 정치체제 변화를 준거로 하였다. 그러나 이 글에서는 한국 교육의 팽창 과정에서의 질적 변화 단계, 그리고 교육을 둘러싸고 전개되는 민의 교육 행위와 국가의 교육 정책 간의 관계가 질적으로 변화되는 기점에 주목하여 새로운 시기 구분을 시도하였다. 이 글에서 시론적으로 제시하는 시기 구분은 다음 과 같다. 제1기(1945-1967): 국가교육체제의 성립과 학력주의 사회의 태동, 제2기(1968-1994): 교육의 국가주의적 재편과 대중교육사회의 형성, 3기(1995-현재): 교육의 분권화ㆍ민주화와 교육불평등의 심화 등이 그것이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theme of the period classifications of the contemporary Korean educational history after 1945. In trying to classify historical periods, first of all one must consider the main actual changes in the process of educational expansion or educational practices. Secondly, the structural changes in social or economical spheres as well as in educational spheres should be reflected simultaneously. Thirdly, the changes in the relationship of the educational actions of the people "from the bottom up" and the educational policies of the state "from the top down" should be considered in periods classification. In the historical process of contemporary Korean education, it can be possible to classify three main historical periods as follows. Phase I(1945-1967): Formation of state educational system and the beginning of credential society. Phsase Ⅱ(1968-1994): Nationalistic restructuring of schooling and the rise of mass education society. Phase Ⅲ(1995-present): Decentralization and democratization of education and deepening of educational inequalities.

      • KCI등재

        근대이후 서당교육의 사회적 특질

        오성철 ( Oh Seongcheol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한국초등교육 Vol.32 No.1

        전통적 교육기관인 서당은 조선 후기에 확대되었고 갑오개혁으로 인해 과거제가 폐지된 이후에도 존속했다. 식민지 초기인 1910년대에는 보통학교를 능가하여 취학자가 늘어났고, 취학 규모에서 서당에 대한 보통학교의 우위가 결정적이 된 1920년대 이후에도 일정한 취학 규모를 유지했다. 해방 이후에도 일부 지역에서 명맥을 유지했다. 서당의 사회적 특질은 그것을 동아시아 사회의 유사한 교육기관인 일본의 데나라이주쿠 및 대만의 서방과 비교함으로써 선명하게 드러날 수 있다. 근대 이후 서당의 존속은 그와 유사한 교육기관인 일본의 데나라이주쿠가 근대에 접어들어 급속하게 폐지된 것, 그리고 동일하게 일제의 식민지였던 대만에서 서방이 식민지기 후반에 절멸된 것과는 대조적인 교육사적 현상이었다. 일본의 데나라이주쿠는 서민 대상의 실용적 교육기관이었으며 그것은 메이지유신 이후에 국가가 소학교 중심으로 근대적 교육체제를 형성하면서 소학교로 전환되거나 폐지되는 운명을 밟았다. 대만의 서방은 1895년 식민지 지배 이후에도 한동안은 식민지적 근대교육기관인 공학교와 병존하였으나, 대만총독부의 서방 억제책이 본격적으로 작동하면서 식민지 말기에 사라졌다. 그러나 서당은 식민지 말기까지 상당한 규모로 존속했으며 심지어 해방 이후에도 일정 규모를 유지했다. 근대 이후 서당교육의 지속은 사회사적 맥락에서 설명될 수 있다. 조선 사회 특유의 지배계층 범주인 ‘양반’의 존재 방식 및 조선 후기에서 근대에 이르는 시기에 전개된 이른바 ‘양반화’ 경향이라는 맥락 속에 서당을 위치시켜 볼 때 서당의 존속이 지니는 사회적 의미가 드러난다. ‘봉제사 접빈객’으로 대표되는 행동양식을 양반의 이상형에 가깝게 만들어 일종의 사회적인 계층상승을 추구하는 ‘양반화’는 그 실현을 위한 핵심적인 요건으로 ‘유교적 교양’의 습득을 요구했으며, 서당은 유교적 교양의 습득에 필수적인 한자 및 한문 문해능력의 획득과 유교 경전에 대한 초보적 이해를 가능케 하는 교육기관이었다. 이런 점에서 서당은 일종의 보완재로서 근대적 교육기관과 병존할 수 있었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maintenance of pre-modern educational institution called ‘sodang’ in modern Korean society. After the abolition of ‘gwageoje’ in 1894, sodang has been maintained in local societies, and even increased during 1910s’in colonial period. The actual extinction of sodang has occurred side by side with the accomplishment of primary compulsory education system. The obstinate maintenance of sodang in modern Korea is a unique historical phenomena in compared to the destinies of more or less rapid deteriorations of pre-modern educational institutions such as ‘tenaraijuku’(or terakoya) in modern Japan or sobang in modern Taiwan. In Japan, tenaraijuku was functioned as a practical or vocational school mainly for lower classes and after the Meiji restoration, it was substituted by modern primary school called as ‘shogakko’ within more or less short period. And in Taiwan, traditional educational institutions called as‘sobang’could be maintained parallely with colonial modern primary school called as ‘kogakko’for some times, but after the restrictive policy of colonial government had been enforced, sobang could not survive. But in Korea, sodang could be maintained during colonial period and contemporary period until 1950s. The maintenance of sodang after the modern age can be explained in the context of ‘yangbanization’ of people in modern Korean society. The concept of ‘yanbanization’ means the efforts of trying social up-ward mobility by making life-style similar to the ideal-type of yangban stratum and in such cultural efforts, the literacy of Chinese letter or literature and basic understandings of Confucious classics accuired by the education of sodang should be so called one of necessary conditions. In other words, sodang has been functioned as a complementary goods to the modern educational institutions in modern Korean society.

      • KCI등재

        한국의 초등의무교육제 형성 연구

        오성철 ( Oh Seongcheol ) 한국교육사학회 2021 한국교육사학 Vol.43 No.4

        한국의 초등의무교육제 형성에서 핵심 주제는 그것의 실현 과정에서 요구되는 재정적 조건이 누구에 의해 어떤 방식으로 확보되었는가, 그리고 의무교육제 실현 과정에서 단지 취학률의 상승과 같은 표면적인 지표 외에도 취학의 질 및 내실과 관련하여 어떤 조건 하에서 초등교육의 의무제가 실현되었는가, 보다 근본적으로 한국 초등의무교육제 형성의 역사사회적 특질은 무엇인가 하는 것들이다. 한국의 경우, 1948년의 헌법과 1949년의 교육법에 의거해 법제화된 초등의무교육제는 1950년대 의무교육완성6개년계획 시행으로 인해 취학률 면에서 거의 완전취학을 달성하였으나, ‘무상교육’의 원칙을 실현할 수 없었고, 비정상적인 초과밀학급 상황을 벗어나지 못했다. 이러한 상황은 1960년대에도 지속되었다. 심지어 베이비부머가 초등학교로 쇄도하기 시작하는 1960년대에 이런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다. 이에 대응하여 박정희 정권은 다시금 의무교육제 실현을 위한 정책을 수행해 나가지 않을 수 없었다. 정부의 경제개발계획과 결합된 의무교육내실화 정책으로 상황은 점차 개선되어 나갔지만, 의무교육 실현의 재정부담을 학부모들이 담당하는 이른바 ‘유상제’ 의무교육의 현실은 지속되었다. 한국 초등의무교육제 형성의 주된 특질은 그것이 아동의 학습권이라는 사회보장적 측면보다는 국가의 인력양성 측면이 우선되었고, 유상제로 진행되었으며, 교육의 질보다는 양적 확대에 치중하여 진행되었다는 점 등이다. 유상제 초등 의무교육제의 형성은 이후 ‘유상제’중등교육의 팽창으로 대표되는 한국적인 교육팽창의 특질을 만들어내는 역사적 조건으로 작용했다. This paper is historical approach to the formation of compulsory primary education system in South Korea. Important questions in terms of the formation of compulsory education in Korea are as follows. Firstly, how and by whom the financial conditions needed for the accomplishment of compulsory primary education system were secured? Secondary, how were the internal stabilities of compulsory primary education system? In terms of this question, the qualities of the enrollment in primary schools such as a figures of pupil per class or the attendance rate or drop out rate are crucial. Finally, what were the socio-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the formation of compulsory primary education system in South Korea? In regards to these questions,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compulsory primary education in South Korea system was accomplished under the principle of non-free education. Korean people paid enormous amounts of financial expenses needed for the maintenance of primary education. 2. The major principle inherent in the policies of compulsory education was rather oriented toward the human-resources development than the guaranteeing social welfare of children. 3. During the process of accomplishing compulsory education, the principle of quantitative expansion of opportunities was taken precedence over the qualitative improvements of educational conditions in primary education. In South Korea, government has continuously put preferential emphasis of educational policies to the speedy elevation of enrollment rate of primary schools during the periods from 1950s to 1970s. But more important aspect in the compulsory education system of South Korea is that the compulsory primary education system could not be accomplished without the enormous efforts of Korea peoples from below.

      • KCI등재

        한국 중등교육 평준화정책의 영향 재고

        오성철 ( Oh Seongcheol ) 한국교육사학회 2024 한국교육사학 Vol.46 No.2

        이 글에서는 한국 중등교육의 평준화정책에 대해 그것이 빚어낸 다양한 영향을 중심으로 새로운 접근을 시도한다. 그것의 다양한 영향들에 대해서는 애초에 표방한 정책 목표의 달성 여부를 따지는 수준을 넘어서서, ‘의도하지 않은 결과’까지를 포함하여 보다 포괄적인 시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이 글에서 밝힌 바에 따르면 평준화정책은 첫째, 중등교육 단계의 선발기능을 무력화시킴으로써 교육열 냉각장치의 기능부전을 야기해 결과적으로 중등교육의 급격한 팽창을 가능하게 했다. 둘째로, 평준화정책은 능력주의적 차별교육관을 중심으로 하는 독특한 평등관을 대중들 사이에 확산시키는 영향을 낳았다. 셋째로 평준화정책은 학교문화ㆍ학생문화를 균질적으로 재편하여 국가주의적 교육정책 실현을 위한 지평을 확산시키는 영향을 발휘했다. 총체적으로 평준화정책은 ‘한국인 대부분이 학력 경쟁에 참여하며 그 서열화된 결과가 자신의 능력과 노력으로 결정된 것이라고 믿어 기꺼이 수용하게 만드는 한국형 선발체제’를 만들어내는 데 핵심적인 요인으로 작동했다. In this article, I attempt a new approach to Korea's secondary education levelling policy, focusing on the various effects it has had. It should be regarded as a very important educational history event or factor because it had a broad and profound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education syste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pproach its effects from a more comprehensive perspective, going beyond the level of considering whether or not the initially stated policy goals have been achieved, and including ‘unintended consequences’. As revealed in this article, first, the levelling policy neutralized the selection function at the secondary education level, causing a malfunction of the cooling out function of education fever, which ultimately made possible the rapid expansion of secondary education. Second, the levelling policy had the effect of spreading a unique view of equality centered on a meritocratic view of discriminatory education among the public. Third, the levelling policy had the effect of reorganizing school culture and student culture into a homogeneous one, thereby expanding the horizon for realizing nationalistic education policies. Overall, the levelling policy served as a key factor in creating ‘a Korean-style selection system that allows most Koreans to participate in academic competition and willingly accept the ranked results, believing that they are determined by their own abilities and effor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