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하이브리드 자동차 구동 특성 분석을 위한 HIL 방식의 구현

        오성철 ( Sung Chul Oh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2011 실천공학교육논문지 Vol.3 No.2

        By adopting HIL(Hardware-in-the-Loop), component characteristics in vehicle environment can be obtained without implementing component in the vehicle. In this paper, when specific motor is adopted as traction motor in hybrid electric vehicle HIL implementation procedures are explained. In order to implement HIL method motor testing. vehicle performance simulator and load characteristic are explained. Vehicle controller used in simulator is directly uploaded in real controller. Especially as a load dynamometer actively controlled motor system is used without connecting conventional mechanical inertia. Motor characteristics are obtained using HIL implementation when test motor is used as a traction motor for parallel hybrid electric vehicle. Proposed method can be used as experimental equipment to educate driving characteristics of hybrid electric vehicle.

      • KCI등재
      • KCI등재

        근대이후 서당교육의 사회적 특질

        오성철 ( Oh Seongcheol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한국초등교육 Vol.32 No.1

        전통적 교육기관인 서당은 조선 후기에 확대되었고 갑오개혁으로 인해 과거제가 폐지된 이후에도 존속했다. 식민지 초기인 1910년대에는 보통학교를 능가하여 취학자가 늘어났고, 취학 규모에서 서당에 대한 보통학교의 우위가 결정적이 된 1920년대 이후에도 일정한 취학 규모를 유지했다. 해방 이후에도 일부 지역에서 명맥을 유지했다. 서당의 사회적 특질은 그것을 동아시아 사회의 유사한 교육기관인 일본의 데나라이주쿠 및 대만의 서방과 비교함으로써 선명하게 드러날 수 있다. 근대 이후 서당의 존속은 그와 유사한 교육기관인 일본의 데나라이주쿠가 근대에 접어들어 급속하게 폐지된 것, 그리고 동일하게 일제의 식민지였던 대만에서 서방이 식민지기 후반에 절멸된 것과는 대조적인 교육사적 현상이었다. 일본의 데나라이주쿠는 서민 대상의 실용적 교육기관이었으며 그것은 메이지유신 이후에 국가가 소학교 중심으로 근대적 교육체제를 형성하면서 소학교로 전환되거나 폐지되는 운명을 밟았다. 대만의 서방은 1895년 식민지 지배 이후에도 한동안은 식민지적 근대교육기관인 공학교와 병존하였으나, 대만총독부의 서방 억제책이 본격적으로 작동하면서 식민지 말기에 사라졌다. 그러나 서당은 식민지 말기까지 상당한 규모로 존속했으며 심지어 해방 이후에도 일정 규모를 유지했다. 근대 이후 서당교육의 지속은 사회사적 맥락에서 설명될 수 있다. 조선 사회 특유의 지배계층 범주인 ‘양반’의 존재 방식 및 조선 후기에서 근대에 이르는 시기에 전개된 이른바 ‘양반화’ 경향이라는 맥락 속에 서당을 위치시켜 볼 때 서당의 존속이 지니는 사회적 의미가 드러난다. ‘봉제사 접빈객’으로 대표되는 행동양식을 양반의 이상형에 가깝게 만들어 일종의 사회적인 계층상승을 추구하는 ‘양반화’는 그 실현을 위한 핵심적인 요건으로 ‘유교적 교양’의 습득을 요구했으며, 서당은 유교적 교양의 습득에 필수적인 한자 및 한문 문해능력의 획득과 유교 경전에 대한 초보적 이해를 가능케 하는 교육기관이었다. 이런 점에서 서당은 일종의 보완재로서 근대적 교육기관과 병존할 수 있었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maintenance of pre-modern educational institution called ‘sodang’ in modern Korean society. After the abolition of ‘gwageoje’ in 1894, sodang has been maintained in local societies, and even increased during 1910s’in colonial period. The actual extinction of sodang has occurred side by side with the accomplishment of primary compulsory education system. The obstinate maintenance of sodang in modern Korea is a unique historical phenomena in compared to the destinies of more or less rapid deteriorations of pre-modern educational institutions such as ‘tenaraijuku’(or terakoya) in modern Japan or sobang in modern Taiwan. In Japan, tenaraijuku was functioned as a practical or vocational school mainly for lower classes and after the Meiji restoration, it was substituted by modern primary school called as ‘shogakko’ within more or less short period. And in Taiwan, traditional educational institutions called as‘sobang’could be maintained parallely with colonial modern primary school called as ‘kogakko’for some times, but after the restrictive policy of colonial government had been enforced, sobang could not survive. But in Korea, sodang could be maintained during colonial period and contemporary period until 1950s. The maintenance of sodang after the modern age can be explained in the context of ‘yangbanization’ of people in modern Korean society. The concept of ‘yanbanization’ means the efforts of trying social up-ward mobility by making life-style similar to the ideal-type of yangban stratum and in such cultural efforts, the literacy of Chinese letter or literature and basic understandings of Confucious classics accuired by the education of sodang should be so called one of necessary conditions. In other words, sodang has been functioned as a complementary goods to the modern educational institutions in modern Korean society.

      • KCI등재

        한국전쟁의 교육적 영향에 대한 시론

        오성철 ( Oh Seong Cheol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0 한국초등교육 Vol.31 No.1

        이 연구에서는 한국전쟁이 국가의 교육 제도ㆍ정책과 국민의 교육관ㆍ행위 변화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 선행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총체적인 접근을 시론적인 수준에서 시도한다. 한국전쟁은 각급 단계학교의 시설과 자원을 파괴하고 교사와 학생을 포함한 인적 자원의 손실을 초래했다는 점에서 적지 않은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이러한 파괴와 손실은 국민의 적극적인 교육적 후원과 정부의 노력, 외국의 교육원조 등에 힘입어 신속하게 복구되었다. 정부의 정상적인 행정기능도 신속하게 복원되었으며, 학제 개편, 교육자치제 실시, 중학교 입시개혁 등의 중요한 교육정책들이 연이어 실시되었다. 한국전쟁이 교육 변화에 미친 영향은 이후 국가의 교육정책 및 국민의 교육관ㆍ행위 변화의 맥락에서 보다 포괄적으로 논의되어야 한다. 첫째로, 한국전쟁은 이후 국가의 교육정책에서 반공주의에 기반한 국민형성 이념이 핵심적인 비중을 점하는데 영향을 미쳤다. 한편으로, 한국전쟁 이후에는 친미주의가 한국의 엘리트 형성에 핵심적인 기능을 하는 유학 및 지도자들의 외국시찰과 학습 등의 과정에서 지배적인 원리로 정착하는데 영향을 미쳤다. 한국전쟁의 교육사적 의미는 국민의 교육열 발흥에서도 찾을 수 있다. 동시에 한국전쟁을 계기로 한 급격한 사회이동과 도시화를 배경으로 한 낡은 신분제 유제와 양반문화의 해체, 전쟁으로 인한 사회계층의 전면적 평준화, 냉전체제 하에서의 계급운동 억제와 가족주의적 생존전략의 강화 등의 사회적 변화가 요인이 되어 교육열이 급격하게 고조되었다. 한편, 한국전쟁은 학교교육의 목적과 내용이 국가에 의해 독점적으로 규정되면서도 학교교육의 팽창이 국민의 전면적인 지원과 참여에 의해 실현되는 한국 학교 교육의 특질이 더욱 굳어지는 계기가 되었다. 요컨대 한국전쟁은 ‘혁명 없는 혁명적 변화’를 야기한 사건이자 과정이었다고 할 수 있으며 그 영향으로부터 교육도 자유로울 수 없었다. This paper is a tentative arguments about the effects of Korean war on education. First of all, during Korean war, exorbitant destructions in educational facilities and not a few ruins in human resources in education has occurred. But those negative effects of Korean war on education could be recovered quickly by the positive support of Korean people and efforts of government. And the foreign aid on education mainly offered by the U.S.A. contributed decisively in the process of recovery. During Korean war period, government could successfully enact a series of important educational policies, for example establishment of school system as 6-3-3-4 ladder system, decentralization of educational governance, introduction of standardized central system of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ets. More significant meanings of Korean War After on education should be examined in its effects on the educational policies of post-war periods and on the educational behaviors of Korean people after war. Firstly, anti-communism and pro-Americanism had been added to the main ideological principles of educational policies of Korean government. And more importantly, drastic process of social mobilities, urbanizations or dismantlement of old hierarchic orders and culture during the war causes the upspring of the peoples’educational aspirations. In addition to these dynamics, suppression on class-politics under the cold war system and reinforcement of the Korean families’ individualistic survival strategies relying on education accelerated the rising of the education fever after the Korean war. And finally, the birth of so called ‘baby boomer’after the Korean war made an additional effects in uplifting educational fever of Korean people.

      • KCI등재

        오천석과 난바라 시게루의 민주교육론 비교

        오성철 ( Oh Seong Cheol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7 한국초등교육 Vol.28 No.1

        이 논문은 1945년 8월 15일 이후 한국과 일본의 교육개혁을 주도한 두 인물 오천석과 난바라 시게루의 민주교육론을 비교 분석한 것이다. 두 인물은 민주주의 이념에 근거하여 해방 이후 한국과 전후 일본의 교육개혁에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그 두 인물이 남긴 저작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교육개혁 활동에 이념적 기반으로 작용한 민주주의 및 민주교육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하고 그것이 두 인물의 개혁 활동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밝히는 것을 주된 내용으로 한다. 먼저 공통점을 보면 다음과 같다. 그들은 자유민주주의 이념에 입각하여 국가나 민족에 대한 개인의 우위에 입각한 민주주의 이해를 공통된 전제로 하고 있었다. 따라서 그들의 민주주의 이해는 전체주의 및 배타적 민족주의에 대한 비판과 부정을 개념적 요소로 하고 있었다. 이에 기반하여 1945년 이전까지의 전체주의적, 중앙집권적 교육체제에 대한 비판, 교육행정의 민주적 개혁과 인간의 개성을 존중하는 교육이념 및 방법의 실현을 추구한 점에서 공통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그들의 민주교육론에서 중요한 차이점도 확인될 수 있다. 오천석은 민주교육을 존 듀이의 진보주의 교육사상에 근거하여 교육방법론의 차원에서 구체화하려 시도하였다. 반면에 난바라 시게루는 민주교육의 핵심적 내용을 교양을 통한 비판적 정신의 함양에 두고 있었다. 따라서 오천석의 민주교육론은 주로 초중등교육 단계에서 현실화되어가는 반면, 난바라 시게루의 그것은 후기중등 및 고등교육 단계에서 현실화되어간다고 하는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동시에 1945년 이후 교육개혁 과정에서 교원조직이 지니는 의의와 역할에 대한 인식에도 두 인물 사이에 흥미로운 차이가 보인다. 이상과 같은 사상내적 요인 외에도 그들의 교육개혁 활동은 근대 이후 두 사회의 역사적 경험 및 1945년 이후의 정치적 요인, 그리고 두 인물을 둘러싼 인적 네트워크 등 사상외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 In this article, the conceptions of democratic education of two major figures who have led the transformation of post-war educational systems in Korea and Japan after 1945 are analysed in terms of comparative historical approach. Auh Chun Suk(吳天錫) and Nambara Shigeru(南原繁) pursued the democratic ideals in the transformative process of national educational system in common. They believed that liberal democracy should be the dominant ideology of national transformation of their society, and the ideal of freedom and individuality of mankind can be developed by education. They also pursued the democratization and de-centralization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system. Yet, some different points in their conceptions of democratic education could be found. Firstly, Auh stressed the importance of `experiences or interests` in curriculum in order to promote the individualities of learners, while Nambara stressed the importance of so-called `Bildung` in the curriculum in order to develop the critical consciousness of learners. As a result, the ideals of democratic education of Auh were developed and realized mainly in the realms of pedagogy or curriculum transformation in primary or secondary education, whereas the ideals of Nambara were developed and realized mainly in the realms of system or institution transformations of post-secondary or higher education. Secondly, Auh had relatively cautious attitudes toward the teacher`s union, whereas Nambara were positively supportive to it.

      • KCI등재

        식민지기 초등교육 팽창의 사회사-전북지역 사례연구

        오성철(Seong Cheol Oh) 한국초등교육학회 1999 초등교육연구 Vol.13 No.1

        This study tries to explain the expansion of Korean primary education during colonial period. The focus of explanation in the present paper is laid on the educational actions of Korean people. For this analysis, the specific rural region, the Chollabukdo Province which is located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 is chosen for case study. Korean peoples of the areas changed its targets of educational actions from traditional primary school, Sodang to colonial primary school, Botonghakkyo after 1919, the year when March-First liberational movement occurred. After 1920s, there were more needs for primary educational opportunities of Korean people than the colonial government intended to supply. And there were movements of the people to raise money and build a school in the area in which they lived. This active movements. of Korean people explains partly the gradual expansion of primary education of colonial Korea. These facts imply that the primary school of colonial period had different meanings to Korean people and the colonial government. To the latter, it should mean an educational apparatus for reproduction of colonial rule. But to the former, it might be a channel for upward social mobility or agenda for acquiring modem knowledges or literary capacities. In this sense, the primary schools of colonial Korea had some aspects of a `contested terrain` between the colonizer and the colonized.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현대교육사의 시기 구분에 관한 시론

        오성철(Oh, Seongcheol) 교육사학회 2015 교육사학연구 Vol.25 No.2

        이 글은 해방 이후 한국 현대교육사의 시기 구분에 관한 시론적 논의이다. 기존의 시기 구분은 주로 정치체제 변화를 준거로 하였다. 그러나 이 글에서는 한국 교육의 팽창 과정에서의 질적 변화 단계, 그리고 교육을 둘러싸고 전개되는 민의 교육 행위와 국가의 교육 정책 간의 관계가 질적으로 변화되는 기점에 주목하여 새로운 시기 구분을 시도하였다. 이 글에서 시론적으로 제시하는 시기 구분은 다음 과 같다. 제1기(1945-1967): 국가교육체제의 성립과 학력주의 사회의 태동, 제2기(1968-1994): 교육의 국가주의적 재편과 대중교육사회의 형성, 3기(1995-현재): 교육의 분권화ㆍ민주화와 교육불평등의 심화 등이 그것이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theme of the period classifications of the contemporary Korean educational history after 1945. In trying to classify historical periods, first of all one must consider the main actual changes in the process of educational expansion or educational practices. Secondly, the structural changes in social or economical spheres as well as in educational spheres should be reflected simultaneously. Thirdly, the changes in the relationship of the educational actions of the people "from the bottom up" and the educational policies of the state "from the top down" should be considered in periods classification. In the historical process of contemporary Korean education, it can be possible to classify three main historical periods as follows. Phase I(1945-1967): Formation of state educational system and the beginning of credential society. Phsase Ⅱ(1968-1994): Nationalistic restructuring of schooling and the rise of mass education society. Phase Ⅲ(1995-present): Decentralization and democratization of education and deepening of educational inequalities.

      • KCI등재후보

        교육학 이론 및 실제 : 전후 동아시아의 교육개혁 비교 연구 -한국,대만,일본을 중심으로-

        오성철 ( Seong Cheol Oh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4 한국초등교육 Vol.25 No.1

        이 논문은 1945년 이후 한국, 대만 그리고 일본 등 동아시아 삼국에서 전개된 교육개혁에 대한 비교 연구이다. 삼국은 45년 이전에 일본제국의 판도에 속해 있었으나 2차대전 이후 일본과 한국은 각기 7년과 3년간 미군정의 통치 하에서 그리고 대만은 국민당 통치 하에서 각기 국민국가로 재편성되었으며 그에 병행하여 국민교육체제 형성을 위한 교육개혁이 전개되었다. 이 논문은 ‘국민만들기’의 관점에서 전후 삼국의 교육개혁의 성격을 검토하며 특히 학교교육의 내용과 형식이라는 틀을 통해 전전 교육체제와의 연속 및 단절 문제를 비교 분석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This paper is the comparative approach to the educational reforms of post-war East Asian countries-Korea, Taiwan and Japan. These three countries which have been under the Japanese Empire began to build or re-build nation-state after 1945. In Japan and South Korea, those tasks were carried under the rule of American Military Government. But in Taiwan, Kuomindang of mainland China substituted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Nation-building process itself necessarily includes the process of making new ``nations`` or transform former ``subjects`` into ``nations``. In that process, schooling, the number-one ideological state apparatus, takes integral and most important part. Those three countries had to carry out total educational reforms and establish new educational system according to the new nation-state. But in the process of the educational reforms, South Korea, Taiwan and Japan respectively had to deal with the legacies of Japanese imperial education system. In South Korea and Taiwan, the ideological ``contents`` of colonial educational systems were abolished or substituted with new nationalistic ones, but at the same time, some important ``forms`` colonial educational systems were replicated or preserved. In contrast to these phenomena, in post-war Japan, relatively more democratic and liberal reforms of educational system were developed under the positive de-militarizing policy of American military government.

      • KCI등재

        유길준의 교육 개념에 대한 연구

        오성철 ( Seong Cheol Oh ) 한국교육사학회 2015 한국교육사학 Vol.37 No.1

        이 글은 유길준의 교육 개념에 대해 개념사의 시각에서 접근한 것이다. 우리 사회의 교육 개념은 근대를 전후로 그 의미가 변화하였으며 그 계기는 교육 개념과 서구의 education 개념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었다. 유길준의 『서유견문』은 우리 사회 최초로 education의 번역어로 교육 개념을 대응시킨 저작이며 그의 저작은 전통적인 교육 개념의 쇠퇴와 국가가 주도하는 학교교육 중심의 교육개념이 진화하는 데 획기적 영향을 미쳤다. 유길준의 저작을 계기로 교육 개념은 교회, 교훈, 교화 등의 관련 개념과의 경쟁에서 지배적인 위치를 점하며 유통되기 시작했고 근대적인 의미로 진화하기 시작했다. In Korea, the concept of education has undergone important historical shift during the dawn of modern age. From the 1890s to 1900s, the concept of ``kyoyook``(敎育) and the Western concept of ``education`` were combined in the Yoo Kiljun`s famous book, ``Seoyookyeonmoon``(西遊見聞). The book was written with the intent of introduction of Western culture and society to Korean society. In the pro-modern Korea, the concept of education had more ambiguous meanings than its modern concept. In the meaning of the traditional concept of education, the connotation of self-discipline or enlightened cultural influences of kings were also included. But the pioneering works of introduction of Western culture by Yoo Kiljun made important influences in the historical shift of the concept of education. After the publication of his book, the concept of education has undergone the process of evolution to the modern scientific meaning. His book also made no small influence to the gradual decline of more or less undifferentiated meaning of the traditional concept of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