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가족 자녀 어머니의 개인변인에 따른 가정환경

        오성숙(Seong-Sook Oh),이은경(Eun-Kyoung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11

        본 연구는 만 3세에서 6세 다문화가족 자녀 어머니의 개인변인에 따라 가정에서 자녀에게 제시하는 가정환경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국적에 따른 가정환경의 차이를 살펴보면 정서적 분위기, 경험의 다양성, 놀이 자료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령에 따른 가정환경의 차이에서는 허용성, 독립성의 육성, 정서적 분위기, 경험의 다양성, 물리적 환경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력에 따른 가정환경의 차이에서는 안정된 환경, 발달을 돕는 자극, 언어적 환경의 질, 독립성의 육성, 정서적 분위기, 경험의 다양성, 물리적 환경, 놀이 자료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정 내 의사소통방법에 따른 가정환경의 차이에서는 모든 변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직업유무에 따른 가정환경의 차이에서는 모든 변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language receptiv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multicultural families in according to living areas. The subjects were 132 mother with children for living multicultural families 3 to 6 years ol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s of home environment on nationality, all variables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emotional atmosphere, experiences variety, and play data in statistically. Second, the differences of home environment on age all variables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permission, independents upbringing emotional atmosphere, experiences variety and physical environment in statistically. Third, the differences of home environment on educational background, all variables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predictable environments, developmental stimulation, quality of language environments, permission, independents upbringing emotional atmosphere, experiences variety, physical environment and play data in statistically. Fourth, the differences of home environment on communication method in home, all variables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atistically as communication(general korean) they use in home. Fifth, the differences of home environment on occupation existence, all variables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atistically.

      • KCI등재

        다문화가정 어머니 개인변인과 가정환경자극이 유아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오성숙(Seong-Sook Oh)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2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어머니 개인변인과 가정환경자극이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다문화가정 어머니 개인변인, 가정환경자극이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에서는 먼저, 어머니 개인변인에서는 의사소통수단(주로한국어)과 유아 언어능력(수용언어, 표현언어)에서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환경자극에서는 안정되고 예측할 수 있는 환경의 조직과 유아의 언어능력(수용언어, 표현언어)에서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언어능력이 어머니의 개인변인과 가정환경자극 중에서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수용언어에서는 가정환경자극 하위변인 중에서 안정되고 예측할 수 있는 환경의 조직, 표현언어에서는 가정환경자극 하위변인 중에서 물리적 환경의 측면이 영향력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effect of home environmental stimuli and mothers personal variables in multicultural family on childrens linguistic abilities. The object of this study is 132 infants and their mothers of 82 infant education institutes located in P city.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eans of communication (generally Korean) is found to have the greatest effect 0n childrens linguistic abilities of the personal variables of moth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econd, the formation of stable and predictable environments affects childrens linguistic abilities (receptive and expressive language) most of all the home environmental stimuli. Third, childrens receptive language was most affected by the formation of stable and predictable environments, and their expressive language was most affected by the aspects of physical environments.

      • KCI등재

        어머니의 언어사용 환경에 따른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양상

        이은경(Lee, Eun-Kyoung),오성숙(Oh, Seong-Soo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2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가정 내에서 결혼이주민 여성인 어머니가 사용하는 언어환경에 따라 다문화가정 유아들의 언어양상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연구는 결혼이주민 여성과 그들의 자녀, 연구대상 유아의 유치원교사들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담과 참여관찰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이들 유아에게 표준화된 언어발달 검사를 실시하여 언어양상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유아들이 경험하는 언어환경을 어머니가 다중언어를 사용하는 경우, 어머니가 모국어를 사용하는 경우, 어머니가 자신의 모국어와 배우자(부)의 모국어를 균형 있게 사용하는 세 가지 경우로 나누어 유아의 언어양상을 분석하였는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가 다중언어를 사용하는 경우 유아는 복합문장이나 완성된 문장보다는 단문과 단어를 사용하였으며 수용어휘의 부족과 상황에 맞는 어휘사용에서 오류를 범하거나 혼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가 모국어를 주로 사용하는 경우는 또래와의 언어적 상호작용에서도 소극적인 태도나 침묵하기, 웃거나 고개끄덕이기 등의 비언어적 표현을 주로 사용하였다. 셋째, 어머니가 자신의 모국어와 배우자의 모국어를 균형 있게 사용하고 아버지가 지속적인 언어교육에 참여한 경우에 유아는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에서 혼란을 보이거나 큰 어려움이 없었으며 이중언어를 자연스럽게 구사하고 사회적 관계에서도 자신감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결혼이주민 여성이 사용하는 언어환경이 그들 자녀에게 깊은 영향을 미치며 유아의 언어발달을 위해서는 어머니의 한국어 학습에 대한 지속적인 지지와 육아에 대한 아버지의 역할증대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at finding language environments which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experience and what their linguistic characteristics are. To achieve the purpose, participant observation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children and their mothers, whose nationalities are Philippines, Vietnam, China and Japan, and each child’s teacher. The language environments which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experience were categorized into three fields: the case that their mothers primarily speak in multi-lingual, the case that they communicate in mother tongue, and the case that they harmoniously use their native language and spouse’s mother tongu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that their mother primarily speaks in multi-lingual, children used more simple sentences or words than complex sentences or complete sentences, and experienced insufficient vocabulary ability, errors and linguistic confusion in proper word usage. Second, in the case that their mother communicates in their native languages, children often used non-verbal expressions in verbal interaction with peers, such as negative attitude, silence, just smiling and nodding. Third, in the case that a mother harmoniously uses her native language and her spouse’s mother tongue and her husband constantly participates in language training, children had no confusion or difficulty in vocabulary ability and expression, and had a good command of bilingual languages and showed confidence in social relation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