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규모별 다문화학생의 학교진로교육경험이 진로역량에 미치는 영향 탐색

        오성배(Sung-Bae Oh),이유정(Yoo Jung Lee) 중앙대학교 휴먼인게이지먼트연구소 2023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8 No.2

        이 연구는 거주 지역의 규모가 다른 다문화학생의 진로역량과 학교진로교육경험의 차이를 밝히고, 지역규모별로 학교진로교육경험을 비롯한 여러 요인이 진로역량에 미치는 영향력을 탐색한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 패널조사 1기 데이터(MAPS 1)」에 포함된 1,085명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일원분산분석과 사후검정,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학생의 진로역량은 읍면지역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학생의 학교진로교육경험은 읍면지역과 중소도시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규모에 따라 다문화학생의 진로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진로교육경험은 대도시, 중소도시에서는 영향력이 존재하였으나, 읍면지역에서는 영향력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 연구는 다문화학생의 진로교육에서 지역규모 요인의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으며, 향후 다문화학생의 진로교육 지원에서 지역규모 요인을 고려한 맞춤형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identifies the difference between career competency and school career education experience of multicultural students of different sizes of residence, and explores the influence of various factors, including school career education experience, on career competency by regional scale. To this end, the data of 1,085 people included in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MAPS)」was used,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confirmed through one-way ANOVA, post-hoc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career competency of multicultural stud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rural area. Second, the school career education experience of multicultural students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in large cities and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areer competency of multicultural student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regional scale. School career education experiences had an influence in large cities and small and medium cities, but did not appear in rural areas. This study empirically confirmed the influence of regional scale factors on the career education of multicultural students, and suggests that a customized approach that considers regional scale factors is needed in future career education support for multicultural students.

      • KCI등재

        대학생의 대입전형별 학교생활적응의 차이 분석

        오성배(Sung Bae Oh)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7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5 No.2

        이 연구는 대입전형별 학교생활적응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대학생이 학교생활적응 수준을 확인하기 위해 학교생활적응을 학업적 적응, 사회적 적응과 대학환경 적응 등의 영역으로 구분해 영역별로 대입전형 간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대입전형이 대학생활 과정을 긍정적으로 수행해낼 수 있는 능력을 갖춘 학생들을 선발하였는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 D대학교 2016학년 입학생 885명의 설문 조사 응답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과, 학업적 적응 수준에는 대입전형 간에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반면에 사회적 적응수준과 대학환경적응 수준에서는 대입전형 간에 차이가 있었다. 학생부종합전형으로 입학한 입학생은 수시전형과 정시전형으로 입학한 학생들에 비해 사회적 적응 수준이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대학환격적응의 영역인 수업만족도와 학교생활만족도의 수준에서도 학생부종합전형으로 입학한 학생이 다른 전형으로 입학한 학생들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has confirmed if there is a difference in school life adaptation by each college admission type. In order to check the level of school life adaptation of college students, the study categorized adaptation type into academic adaptation, social adaptation, and college environment adaptation and conducted comparison and analysis among the difference by college amission type in each category. Based on the analysis, the study aimed to confirm if the college admission has selected students who can positively proceed the college life. To confirm the research, the study utilized survey data answered by 885 freshman of D university in 2016 for analysis. As the result, there was no signigicant difference by college admission type in academic adaptation. However, there was difference in social and college environment adaptation. Freshman who was admitted through transcript of school records had significantly high level of social adaptation compared to the students who were admitted through nonscheduled/scheduled admission. Students who were admitted through transcript of school records had significantly high level of college environment adaptation such as class satisfaction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compared to students from other admission type.

      • KCI등재

        외국인 이주노동자 가정 자녀의 교육 실태와 문제 탐색

        오성배(Oh Sung-Bae)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9 한국청소년연구 Vol.20 No.3

        외국인 이주노동자 가정 자녀의 교육 실태와 문제점을 탐색하였다. 분석범주를 ‘교육 접근’, ‘교육경험’, ‘교육 성취’로 구분하였다. 연구대상 선정시 출신국가, 연령, 가정배경, 재학 유무, 재학중인 학교유형 등을 고려하여 심층면접을 진행하였고, 이주노동자 가정 자녀들이 재학하고 있는 ‘외국인근로자가정특별학급’을 참여관찰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 (편)입학의 기회가 허용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학교에 진입하는 과정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진입한 이후에도 수업 적응, 동료집단과의 관계 등에서 여러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성취 수준이 매우 낮았으며, 인성 형성 과정에서도 문제가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경제적 어려움과 단속에 대한 불안감 등으로 인하여 이중고 삼중고를 겪는 상황으로 판단되었다. 인권보장, 사회평화, 경제발전 등을 위하여 이주노동자 자녀들에게도 교육 지원이 필요하다. 그리고 가정배경과 재학학교의 특성에 따른 후속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plores the opportunities and the challenges faced by the children of immigrant workers in the Korean education system, using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nt observation. Even after they gain legal access to the public education system after a great deal of effort, they face a variety of barriers in many areas. They tend to find it hard to fit in at school, make friends or get along with their peers. Their educational achievement levels are poor and they often undergo undesirable experiences in the personality formation process. The unstable circumstances that immigrant workers and their families are faced with only makes these problems worse. Economic hardships and stress due to the immigration regulations are typical examples. To help them adjust to life in Korea and become healthy and productive members of this society, education as well as economic support should be provided. Further research needs to be conducted on how family and school related factors are associated with their experiences in the Korean education system.

      • KCI등재후보

        국제결혼 가정 자녀의 교육 기회 실태와 대안 모색

        오성배(Oh Sung-bae)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07 인간연구 Vol.- No.12

        한국 사회는 다문화 사회로 변화하고 있다. 특히 국제결혼의 지속적인 증가로 그 가정 자녀의 교육 기회는 새롭게 주목하여야 할 대상이다. 한국 사회에서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추정되는 국제결혼 가정의 자녀의 교육 기회는 매우 열악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그들에 대한 사회의 시선은 부정적이었고, 정부의 지원도 매우 미비함을 알 수 있었다. 국제결혼이 점차 증가하는 상황에서 이러한 격차는 성장 과정에 누적될 뿐만 아니라 새로운 사회문제로 대두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다문화 교육이 시행되어야 하는 시점이다. 다문화 교육은 교육 기회의 보상적 배분을 통한 격차 해소와 더불어 다문화 이해 교육의 시행을 통한 평화적 공존 의식의 형성을 지향할 필요가 있다. The Korean society is changing into multi-cultural society, for there are increasing immigrant workers, ‘Satermin’, immigrant women through marriages, and Kosians in Korean society. As international marriages are continually increasing, newly born ethnic minority children’ opportunities of education should be paid attention to. Their opportunities of education, in fact, turned out to be seriously poor though the portion of their populations is remarkably increasing. Most of the Koreans’ recognition of them are comparatively negative. And the Korean government’s support turned out to be poor for their education. Both Koreans’ negative recognition and the educational supporting gap shall be appeared with serious social problems. Therefore, the practi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all of ethnic minority in Korea is coming as soon as possible.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s going to decrease the educational gap through compensatory distribution for ethnic minority children. Also it will distribute to develope the peaceful co-existent consciousness between ethnic minorities including their children and Koreans.

      • KCI등재

        대학입학전형별 입학생의 학교생활 추이 분석

        오성배(Oh Sung Bae)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5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3 No.1

        이 연구는 학생부종합전형으로 입학한 학생과 일반전형으로 입학한 학생 사이의 학업성취도 추이를 분석하고, 입학전형이 다른 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 진로준비행동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데 목 적이 있다.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D대학교의 2013년도 입학생 총 4,662명의 자 료를 분석하였으며, 2014년도 입학생 총 1,071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대학생활적응, 진로준비행동 수 준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3개 학기동안 일반 전형으로 입학한 학생의 학점 평균은 학생부종합전형 으로 입학한 학생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하나, 그 차이는 학기가 거듭될수록 꾸준하게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인관계, 수업 만족도, 수업태도, 대학생활 만족도로 측정한 대학생활적응 수준은 학생부종합전형으로 입학한 학생이 일반전형으로 입학한 학생에 비해 그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 다. 진로준비행동에 있어서도 학생부종합전형으로 입학한 학생이 일반전형으로 입학한 학생에 비해 그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부종합전형 입학생의 학업성취도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대학생활 적응, 진로준비행동 수준 등이 타 전형에 비해 긍정적인 것으로 판단되므로 학생부종합전형의 지속적 확대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In this study, by analyzing the changes in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admission officer system selection enrolled in the student and the regular admissions selection enrolled in the student, admission process different students of university life adaptati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order to confirm the longitudinal changes in academic achievement, to analyze the total 4,662 people data of 2013 freshmen of D University, by using the data of the total 1,071 people 2014 freshmen, and the University life adaptati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level.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tudent grade point average who entered in the regular admissions in three semesters, either to maintain a higher level than students who enrolled in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selection, the difference decreased steadily each overlapping the semester it was found to ha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atisfaction of teaching, teaching attitude, level of college life adaptation as measured by satisfaction of university life, was found to be higher than that of the students admission officer system enrolled students were enrolled in the regular admissions selection. Students also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enrolled in the student admission officer system selection has been found to be higher than that of the students who enrolled in the regular admissions selection. admission officer system selection enrolled in the student is constantly rising achievement, college lif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positive compared to other typical. So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ontinued expansion of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 KCI등재
      • KCI등재

        지역인적자원 이동의 의미 고찰: 목포와 인근지역의 학령인구를 중심으로

        오성배(Oh Sung-Bae) 한국평생교육학회 2004 평생교육학연구 Vol.10 No.1

        이 연구는 지역인적자원의 중요한 일부분인 화령인구의 이동 현상 실태와 원인, 그리고 결과로 서 나타나는 현상을 확인하는 데 목척이 있다. 그리고 학령인구의 이동 현상이 지역사회 전반의 발전에 미치는 영향력과 그 의미를 고찰하력 하였다. 군 지역에서 시 지역으로의 학령인구 이동 현상은 지역사회의 우수한 인적자원 유출과 직결되는 현상이었다. 그리고 학령인구의 유출은 지역사회의 전반적인 학습 기능을 약화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역사회의 학습 기능 약화는 또 다른 학령인구의 유출을 촉발하는 악순환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점에서 지역인적자원개발의 기반을 위협할 수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지속적인 논의가 요구된다. This study is to aim at inquiring into not only the reality and the cause, but also the phenomena of the migration of the school age populations in and near Mog-po areas, including how the migration of the school age populations effects on the development of this communities. To the conclusions, the phenomena of the migration to city area from the rural area mean a brain drain from the rural area. Also this is found out to generally weakening the learning capacities of middle and high schools in rural areas. The learning capacities is be more weakened, the migration of the school age populations can be more enforced. And this fact need to discuss the basement to develope rural areas' human resources.

      • KCI등재

        외국인 이주 노동자 가정 자녀의 재학 학교 특성에 따른 교육 지원 실태와 문제 탐색

        오성배 ( Sung Bae Oh ) 순천향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29 No.-

        외국인 이주 노동자 가정 자녀의 수는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들은 불법 체류자라 할지라도 공교육 기회를 제도적으로 보장받고 있다. 이 연구는 이들에 대한 교육 지원 실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재학하고 있는 학교의 특성별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문제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전반적으로 교육 지원은 열악한 실정이었으며, 특히 일반 정규 학교에 재학하는 경우 국제 결혼 가정 자녀와 별도로 이루어지는 교육 지원은 찾아보기 어려웠다. ``외국인근로자가정자녀특별학급``에 재학하는 경우 전담 교사 한 명에게 교재 개발, 수업 진행, 개별 상담 등의 활동이 모두 떠맡겨진 상황이었다. 재한외국인학교에 재학하는 경우에는 출신국과 한국의 언어와 문화를 모두 익힌다는 장점이 있지만, 재정과 교원의 안정적 확보가 어려운 상황이었다. 전반적으로 학교에 입학(편입)할 기회가 부여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학교 진입에는 많은 난관에 봉착하여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들의 특성과 현실의 문제에 근거하여 지원이 체계적으로 확대될 필요가 있다. There is a rapid growth of students from working immigrant`s families. Despite they are under illegal immigration status, students from these families are provided with an equal access to educational opportunity. This study is aim to investigate the current school support to these students by school type. On average the findings show that there is a poor school support to these students. In particular, in common schools, there is not much of additional school support that is being provided for students from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Furthermore, although some extra support are being given on special classes, yet insufficient school support was evident such that one teacher were under excessive responsibility for the development of curricula, classroom instruction, and counseling. Despite there is a benefit of learning simultaneously their own native language and Korean in international school, the finding suggests that these students are mostly under school condition with lack of financial support and stable teacher recruitment. Thus, we recommend developing special programs such as ``Didimdol`` classroom/school and alternative schools to meet their educational needs taking into account their characteristics and residence areas.

      • KCI등재

        다문화가정 학생을 위한 교육지원 사례 탐색

        오성배(Sung-Bae Oh),박희훈(Hee-Hoon Park)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8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6 No.1

        이 연구는 다문화가정 학생의 기초학력 향상을 지원하는 교육지원 정책의 실태를 확인한다. 이를 통해 다문화가정 학생에게 실행되고 있는 교육지원 정책의 실효성과 보완점을 모색하였다. 이를 확인하기 위한 주요 방법으로 사례연구(Case study)를 활용하였다. 다문화가정 학생 교육지원 정책(사업)이 운영되고 있는 다문화 예비학교와 다문화 중점학교, 다문화가정 학생이 많이 재학하고 있는 일반학교, 지역다문화교육지원센터 등을 사례분석 단위로 설정하여 표집을 진행하였으며, 학교나 기관의 다문화교육 업무 담당교사와 실무담당자 등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대상과의 심층면담을 통해 다문화가정 학생을 지원하는 대학생 멘토링, 한국어(KSL) 교육과정, 예비학교 등의 효과와 문제점등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학교 현장의 교사들과 다문화교육 업무 담당자들은 다문화가정 학생을 위한 교육지원들이 전반적으로 바람직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다문화가정 학생의 기초학력 수준을 높이는 데 효과적으로 작용한다고 보았다. 그러나 학교 현장의 실행 과정에 관한 면담에서 정책별로 개선점들이 몇 가지 발견되었다. 우선 대학생 멘토링 사업은 운영과정에서 대학생 멘토의 능력에 따라 사업의 성패가 갈리고 읍면지역처럼 접근성이 낮은 지역은 대학생 멘토링 사업운영이 어려운 사례가 있었다. 따라서 대학생 멘토링 사업에서 멘토인 대학생을 선발하는 심사기준을 체계적으로 마련할 필요가 있으며, 지역별 다문화가정 학생의 수요를 고려해 대학생 멘토링 사업을 확대해 운영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한국어(KSL) 교육과정의 경우 교과내용에서 활용되는 학습 한국어 부분을 보완해야한다는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끝으로 예비학교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지역의 수요와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예비학교 사업의 주요대상인 중도입국 학생과 외국인가정 학생의 연령을 고려해 중·고교 단계 예비학교를 확대해 운영할 필요가 있다. This case study analyzes the operation process of educational policy to support scholastic ability improvement of multicultural family students. In this way, we explore the effects and improvement of educational support policy for multicultural family students. The case study unit included multicultural preliminary schools, multicultural emphasis schools, general schools where multicultural students are enrolled, and local multicultural education centers. Teachers and practitioners of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interviewed. Analysis focused on the process of policy management of college student mentoring, Korean as a second language curriculum, and preparatory school. Results showed that school teachers and multicultural education staff members recognized that the educational support policy for multicultural students was generally desirable. They also determined that the related policies were effective in raising the basic education level of multicultural students. However, some improvements were recommended for each policy. In the mentoring business of university students, the effect of the business depends on the ability of the mentor. It is difficult to operate a mentoring business because the accessibility of municipalities is low.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prepare examination criteria to select mentor student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mentoring business considering the needs of local multicultural students. Next, Korean as a second language should complement Korean language learning. Finally, when selecting a preparatory school, it is necessary to consider local demand and characteristics.

      • KCI등재

        대학생의 입학전형별 학업성취 및 학교생활 분석

        오성배(Oh Sung Bae)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6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4 No.3

        이 연구는 대학입학전형별 입학생의 학업성취, 대학생활적응도, 진로의식, 진로준비행동 등에 차이 가 있는 지를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D대학교의 2014년도 입학생들의 입학전형별 2014-1학기, 2014-2학기, 2015-1학기의 종단적 성적자료와 2015학년도 학생부종합전형으로 입학 한 427명의 학생과 일반 전형(수시 입학전형과 정시 입학전형)으로 입학한 1,549명의 설문응답을 이 용해 학업성취, 학교생활적응과 진로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수시 입학전형으로 입학한 학생들의 학점 평균은 학생부종합전형으로 입학한 학생들의 학점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 났으며, 정시 입학전형으로 입학한 학생들의 학점 평균은 2학년이 되는 시점에서 학생부종합전형 입 학생보다 높은 성적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입학전형간에 대학생활 적응과 진로수준에 차이 가 있는지 확인한 결과, 학생부종합전형과 일반 전형 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진로성숙도 수준은 차이 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에 수업 태도에 있어서는 학생부종합전형 입학생들이 일반 전형 입학 생들에 비해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부종합전형 입학생들의 학업성취 향상을 위해 별도의 추수지도를 진행할 필요가 있으며, 향후 대학입학전형별 입학생을 대상으로 진행될 연구는 소속단과대 학, 입학생의 개인배경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분석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among academic achievement of university admission, adaptability of college life, and career preparation. For this study, the longitudinal resources of grades for the applicants of D university in the class of 2014 and the resources of grades were used in the 1st and the 2nd semester in 2014 and the 1st semester in 2015. A total of 427 students admitted by comprehensive test and 1,549 students admitted by ordinary admissions (occasional admission and regular admission) were interviewe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academic accomplishment, adaptability of college life and careers prepar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GPA of the students admitted by occasional admission was higher than that of students admitted by comprehensive test, and that average GPA of the students admitted by occasional admission was higher than that of students admitted by comprehensive test from their sophomore year. In addition, when confirming the differences in adaptability of college life and career level between the admission types, no specific differences in the behaviors for careers and the level of career maturity were found. However, in the aspect of class attitude, students admitted by comprehensive test had higher grades than students admitted by ordinary admissions. Separate follow up services are recommended to improve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students admitted by comprehensive tests. Future research for applicants by types of admission needs to be analyzed more thoroughly considering the college that applicants involved and the individual backgrounds of applic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