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버지 특성과 유아의 문제행동 간의 구조모형 분석

        오새니 ( Sae Nee Oh ),권수진 ( Su Jin Kwon ),이상희 ( Sang Hee Lee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6 아동교육 Vol.25 No.1

        본 연구는 아버지 특성이 자녀의 문제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한국아동패널(2012) 5차년도에 수집된 데이터 중 49~55개월 유아 1,567명과 그의 아버지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각 변인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의 문제행동은 아버지의 부정적 부부 특성, 양육스트레스와 정적 상관을 보이며, 아버지의 심리적 특성, 온정적 양육태도와는 부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결과 아버지의 심리적 특성은 부정적 부부 특성과 양육스트레스에 부적 영향을 미치며, 온정적 양육을 거쳐 유아의 문제행동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아버지의 부정적 부부 특성은 온정적 양육태도를 매개로 유아의 문제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는 유아의 문제행동에 직접 정적 영향을 미칠 뿐아니라 아버지의 온정적 양육태도를 매개로 유아의 문제행동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the father``s variables for children``s problem behaviors. A data collected in The 5st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1,567 children and their fathers were targeted in this study. To analyze the data which were frequency, percentage,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nalysis, using SPSS 20.0 and AMOS 19.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s problem behavior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arital relationships and their fathers` parenting stresses. Also, the children``s problem behavior was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fathers` psychological variable behavior and parenting styles. Second, the paths of the structural models and the standardized coefficients were analyzed the results which reported that their fathers` psychological variable behavior has positive effects on the marital relationships and their fathers` parenting stresses. The fathers` marital relationships had indirect effects on children``s problem behavior though positive parenting styles. The fathers` parenting stresses had direct effects on children``s problem behavior, and indirect effects on children``s problem behavior though parenting styles.

      • KCI등재

        플립 러닝 교수법을 적용한 보육교사 멀티미디어 수업사례연구

        오새니(Oh, Sae N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1

        본 연구는 예비 보육교사의 멀티미디어 활용능력 함양을 위하여 개설된 ‘보육교사 멀티미디어’ 교과목에 플립 러닝 교수법을 적용함으로써 플립 러닝 수업 설계 및 운영 사례를 제시하고, 예비 보육교사의 변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학습자는 A대학의 예비 보육교사 43명이며, 9주 동안 플립 러닝 교수법 적용 수업에 참여하였다. 수업 설계의 평가를 위하여 수업 운영 전, 후로 개별 및 집단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플립 러닝 수업은 교수자의 교수학습문제에 대한 성찰, 학습자, 교과목 및 교육환경 특성에 대한 분석, 자문체계 구축, 자문체계의 지원을 통한 수업 계획, 수업 운영의 과정으로 설계 운영되었다. 둘째, 플립 러닝 교수법을 적용한 ‘보육교사 멀티미디어’ 수업 운영 결과, 예비 보육교사의 수업의 태도와 영유아기 멀티미디어 활용을 통한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하였으며, 예비 보육교사의 멀티미디어 활용능력이 향상되었다. This study provides the models which it shows how to design Flipped Learning: FL and shows cases how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process, when FL is applied in multimedia class for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Learners of this study in college A are 43 of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who studied multimedia class applied FL for 9 weeks. The researcher had individual interviews and group interviews before and after multimedia course for evaluation of design the class. In conclusion, FL is designed by four steps; analysing class goal and educational environment, setting up an consulting system, planning class through consultant, and operating class. Secondly, after experience of FL learners have positive changes in attitude for class and necessary for teaching method using multimedia. They also improved ability to using multimedia after FL.

      • KCI등재후보

        만 5세 유아의 또래 간 갈등 양상에 대한 연구

        오새니 ( Oh Sae Nee ) 한국영유아교육보육학회 2014 영유아교육.보육연구 Vol.7 No.-

        본 연구에서는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또래 간 갈등의 쟁점 유형, 갈등과정에서 사용하는 전략, 갈등의 결과를 전반적으로 관찰하여 갈등의 양상과 성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았다. 유아의 또래 간 갈등은 표면화된 대립적 갈등행동이 나타나기 전에 작은 에피소드가 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갈등이 단회적인 에피소드로 인한 결과라기보다는 갈등의 원인이 되는 작은 에피소드가 반복되면서 표면화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유아들은 갈등이 발생해서 종결될 때까지 하나의 전략을 사용하지 않고 적어도 3-5개의 전략을 사용하며, 사용하는 전략은 상호 밀접한 관련성을 보였다. 유아의 성별에 다른 또래 간 갈등의 양상은 남아들이 여아들보다 또래 간 의견 차이를 더 빈번히 일으키고, 신체적 공격 및 협박하기, 욕하기, 소리 지르기 등의 직접적인 언어적 공격을 많이 사용하는 모습을 보이는 반면, 여아들의 갈등은 온전히 포착하기 어려우며, 온화하면서도 단호한 갈등 양상을 많이 나타냄에 따라 갈등이 표면적으로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by observing the issue category of peer conflicts in 5-year-old children, the strategy which is utilized in conflict process, and results of peer conflicts, (국문초록 보고 첨가) we have investigated how the conflict modalities are distinguished in accordance with genders. The peer conflicts of children showed that the little episodes had happened before oppositional conflict behaviors which are externalized appeared. This means that the peer conflicts of children are externalized by repetition of little episodes, which are the cause of the conflicts, not by single episode. Furthermore, children tend to use 3-5 strategies at least from the beginning of the peer conflicts to the termination, which showed that the strategies children have used are closely connected. Regarding the peer conflict modalities in accordance with genders of children, boys tend to have more intense disagreement frequently than girls, showing direct verbal aggression such as physical attacks or threats, abusive languages, yelling and so on. On the contrary, the peer conflicts in girls are not captured easily and are not externalized due to gentle and stern conflict modalities.

      • KCI등재

        보육실습 경험을 통한 예비 보육교사의 정서에 대한 인식 변화

        오새니 ( Oh Sae Nee ),심혜진 ( Shim Hye Jin ) 미래유아교육학회 2022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9 No.4

        본 연구는 보육실습이 진행되는 일련의 과정 동안 예비 보육교사들의 정서 대한 인식 변화 과정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A시에 소재한 대학의 아동보육학과 재학생 6명을 대상으로 메타포 설문을 통한 시각적 그림과 개별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예비 보육교사들은 보육실습 전에는 변화하는 자신의 정서 상태나 원인을 살피지 않고 지나치는 것으로 인식하였으나 보육실습을 경험하며 자신과 영유아의 정서를 명확하게 살피고, 영유아에게 끼칠 영향을 고려하여 정서를 조절하고 관리하는 것으로 인식이 변화하였다. 또한 보육실습 전에는 자신의 정서 이해 및 표현, 안정적인 정서 상태 유지 등의 개인으로서의 정서를 중요하게 인식하였으나 영유아 발달 및 보육의 질에 영향을 끼칠 것을 고려하는 보육교사로서의 정서를 인식하는 변화가 나타났다. 이는 보육교사 양성과정에서 예비 보육교사를 위한 정서 관련 교육 및 프로그램을 개발이 개인의 안녕뿐 아니라 양질의 보육을 제공하는 보육교사 양성에 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ocess of changing the emotional percep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during a series of childcare practices. For this purpose of study, visual drawings and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through a Metaphor survey to six students who were enrolled in the Department of Child Care at a university located in A ci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before childcare practices,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childcare practice as excessive emotions without examining the changes in their emotional state or cause, but the perception changed as clearly examine their and infants’ emotions and express, adjust, and manage them depending on the childcare situation, after the practices. Also, in the “individual emotions” such as maintaining a stable emotional state, understanding and controlling emotions, the range of emotional perceptions as “childcare teachers’ emotions” that affect the quality of infant development and childcare has expanded. This suggests that the development of emotion-related education and programs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process of fostering childcare teachers can be an effective way to foste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at can provide quality childcare as well as individual well-be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