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유식 연직판의 규칙파 모델링을 위한 오픈폼 적용성 검토

        오상호,김건우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17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29 No.6

        This study performed an OpenFOAM-based numerical modeling for simulating performance of wave reduction by a floating vertical plate. Based on the Waves2FOAM library, an internal wave generation and energy dissipation with sponge layers schemes were further implemented. The performance of wave generation and dissipation was first tested with a simple two-dimensional analysis. Then, numerical simulation was carried out with the experimental data of Briggs et al. (2001) for the two regular wave cases. In general, the modeling results agreed well with the experimental data, showing better agreement than the numerical analysis by WAMIT that is included in Briggs et al. (2001). 본 연구에서는 OpenFOAM 기반의 부유식 연직판의 파랑 저감 성능 평가 수치해석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Waves2FOAM 라이브러리를 기반으로 내부조파에 의한 파랑 생성 및 스폰지층에 의한 소파 기능을 추가로 적용하였다. 이렇게 추가된 조파 및 소파 기능을 먼저 간단한 2차원 해석으로 검증한 후, Briggs et al.(2001)의 규칙파 실험자료 2가지에 대한 수치모델링을 수행하였다. 모델링 결과는 실험자료와 대체로 잘 일치하였으며, Briggs et al.(2001) 에 수록된 WAMIT 수치해석 결과보다 더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 KCI등재

        독일 산업안전보건법의 적용범위에 관한 연구

        오상호 노동법이론실무학회 2020 노동법포럼 Vol.- No.31

        Das Arbeitsschutzgesetz gilt für alle Tätigkeitsbereiche. Das heißt, es ist auf die Beschäftigten in allen privaten und öffentlich-rechtlichen Betrieben anwendbar. Es ist weder auf eine bestimmte Branche noch eine bestimmte Berufsgruppe beschränkt. Wer Beschäftigter im Sinne des ArbSchG ist, definiert § 2 Abs. 2 ArbSchG. 1) Arbeitnehmerinnen und Arbeitnehmer, 2) Auszubildende, auch Volontäre und Praktikanten, 3) arbeitnehmerähnliche Personen, 4) Beamtinnen und Beamte, 5) Richterinnen und Richter, 6) Soldatinnen und Soldaten, 7) die in Werkstätten für Behinderte Beschäftigten. Nicht anwendbar ist das Arbeistsschutzgesetz auf Hausangestellte in privaten Haushalten und Heimarbeiter nach dem Heimarbeitsgesetz (HAG). Außerdem nicht für Beschäftigte auf Kauffahrteischiffen unter deutscher Flagge und in Betrieben, die dem Bundesberggesetz unterliegen, soweit dafür entsprechende Rechtsvorschriften bestehen. Das heißt, das Seearbeitsgesetz und das Bundesberggesetz gehen in ihrem Anwendungsbereich dem ArbSchG vor. In einigen technischen Vorschriften wurde der persönliche Geltungsbereich für den jeweiligen Bereich erweitert. 1. die Schüler und Studenten werden hier regelmäßig aufgelistet. 2. Bei Schüler und Studenten im Rechtsbereich der Unfallversicherung enthält die DGUV V1 jedoch eine Besonderheit. Die DGUV V1 regelt unter anderem auch, dass für die Versicherten, die keine Arbeitnehmer im Sinne von § 2 Abs. 2 Arbeistsschutzgesetz sind, die Vorschriften des staatlichen Arbeitsschutzes gelten.

      • KCI등재

        Alumina dummy 충전재를 이용한 GaN 기반 박막재료의 단면 TEM 시편준비

        오상호,최주형,송경,정종만,김진규,유인근,유석재,김영민,Oh, Sang-Ho,Choi, Joo-Hyoung,Song, Kyung,Jeung, Jong-Man,Kim, Jin-Gyu,Yu, In-Keun,Yoo, Suk-Jae,Kim, Young-Min 한국현미경학회 2009 Applied microscopy Vol.39 No.3

        Practical difficulties for preparing a good crosssectional specimen of GaN-based materials for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have arisen due to large difference of mechanical properties between hard ceramic substrate and soft GaN-layered materials. Uneven polishing, sudden cracking, delamination, and selective sputtering during the conventional wedge polishing technique are often encountered as experimental hindrances. The preparation technique based on Strecker's method can be applied to overcome these difficulties, which eventually leads to mechanically stable TEM samples independent of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materials. The basic idea is to use hard ceramic dummy filler for embedding the sample of interest into the dummy frame. In this study, we applied this technique into preparing cross-sectional TEM specimen of the GaN-based materials with mechanical instability and demonstrated usefulness of this hard dummy filler method in which the possible modifications of the sample of interest during the preparation must be avoidable. In addition, practical precautions during the preparation were discussed.

      • KCI등재

        세 가지 수치모델을 이용한 완전반사 조건에서의 규칙파 조파 및 수리실험 검증

        오상호,안석진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19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31 No.4

        Regular waves were generated in a wave flume under perfect reflection condition to evaluate performance of three CFD models of CADMAS-SURF, olaFlow, and KIOSTFOAM. The experiments and numerical simulations were carried out for three different conditions of non-breaking, breaking of standing waves, and breaking of incident waves. Among the three CFD models, KIOSTFOAM showed best performance in reproducing the experimental results. Although the run time was reduced by using CADMAS-SURF, its computational accuracy was worse than KIOSTFOAM. olaFlow was the fastest model, but active wave absorption at the wave generation boundary was not satisfactory. In addition, the model excessively dissipated wave energy when wave breaking occurred. 2차원 조파수조에서 완전반사 조건의 규칙파 조파 실험을 수행하고, 세 가지 서로 다른 CFD 모델의 성능 을 검증하였다. 사용된 CFD 모델은 CADMAS-SURF, olaFlow 및 KIOSTFOAM이었다. 쇄파가 발생하지 않는 조건, 중복파의 쇄파가 발생하는 조건, 입사파의 쇄파가 발생하는 조건에서 실험 및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세 모 델 중 KIOSTFOAM이 실험결과를 가장 잘 재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ADMAS-SURF는 KIOSTFOAM에 비해 계 산 시간은 줄어들지만 계산 정확도가 상대적으로 더 낮았다. olaFlow는 계산은 가장 빠르지만 조파 경계에서 반사파 흡수가 만족스럽지 않고 쇄파 발생 시 파랑에너지를 과도하게 소산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오스트리아 자영업자의 고용보험 적용 구조와 기준

        오상호 한국비교노동법학회 2022 노동법논총 Vol.56 No.-

        The subject of application of Austrian unemployment insurance is divided into truly workers, free workers, and truly self-employed. A truly worker is a person in a form of employment similar to a workers in Special Type of Employment in Korea. Truly workers and free workers are subject to mandatory unemployment insurance, on the other hand truly self-employed are subject to voluntary unemployment insurance. Mandatory insurance as a free workers is subject to persons who commit to providing services for a fixed or indefinite period of time, provide these services essentially in person, without prejudice to a right of representation of the free service provider, withdraw from this activity and have no substantial own means of operation. Mandatory insurance under the GSVG does not include unemployment insurance. As a result, self-employed can’t deduct a claim for unemployment benefit from the GSVG. However, a claim for unemployment benefit may arise if the self-employed person prior to the incorporation of his self-employed occupation as a worker has been under ASVG and unemployment insurance obligation or after the 1.1.2009 completed a voluntary unemployment insurance. Self-employed with the start of business since the 1.1.2009 within 6 months of understanding by the GSVG about the possibilities of voluntary unemployment insurance can be ‘optimized’ into the new system. After the 1st. Starting a self-employed activity in 1.1.2009, maintain self-employed also their claim to unemployment benefit, however only if they were self-employed for at least 5 years before their independence. 오스트리아 고용보험의 적용대상은 진정 노무제공자(근로자), 자유 노무제공자(유사근로자 또는 특수형태근로종사자) 그리고 진정 자영업자로 구분되며, 노무제공자는 모두 의무가입 대상인 반면 진정 자영업자는 임의가입 대상으로 나눌 수 있다. 특히 이와 같은 인적 적용 구분의 유의미한 점은 우리나라의 특수형태근로종사자와 유사한 고용상의 지위를 갖는 자유 노무제공자가 의무가입 대상이며, 이들의 가입 자격이 비교적 최근인 2009년 1월 1일부터 새롭게 인정되었다는 부분이다. 의무가입 주체로서 자유 노무제공자는 어떻게 분류될 수 있는가. 오스트리아 일반 사회보험법 제4조 제4항 제1문에서 “자유 고용계약을 근거로 유기 또는 무기의 형태로 노무를 제공하며”, 동항 제2문에서 “그 노무는 일신전속적으로 제공되고 자신의 생산수단을 사용하지 않는 활동으로 소득을 받아야 한다”고 규정해 전속성과 사용자의 생산수단을 이용하는 고용상의 특성이 존재하면 자유 노무제공자로 분류될 수 있다. 반면에 임의가입 주체로서 진정 자영업자는 어떻게 분류될 수 있는가. 우선 자영업자가 고용보험에 가입하기 위한 전제조건으로 상업 사회보험법 또는 자유직업 사회보험법에 따른 연금보험의 피보험자로서 의무가입이 되어 있는 자 또는 상업 사회보험법에서 옵트 아웃(Opting out)을 신청해 연금보험에서 가입이 면제된 변호사 등 자유직업 종사자로 활동하는 자들이다. 따라서 상인으로서 자영업자, 신 자영업자 그리고 자유직업인이 이에 해당한다. 다음으로 적용기준으로서 자유 노무제공자도 고용상의 지위는 자영업자이나 일반 근로자에게 적용되는 기준이 유효하게 준용되므로 고용상의 지위(가입자격)가 확정되면 적용과 보상실무도 동일하게 준용된다. 논의점은 자영업자에게서 발생한다. 진정 자영업자의 경우는 임의가입 대상이므로, 본인이 직접 결정해야 하지만, 2009년 1월 1일 전후로 자영업 활동을 수행하는지 여부에 따라 가입 시기가 다르게 정해진다. 기본적으로 자영업자의 임의보험 자격기간은 8년을 기준으로 가입과 종료가 함께 이루어진다. 그리고 자영업자 고용보험의 경우 임의가입이라는 특성을 고려해 보험료가 자유 노무제공자와 같이 개별 보험료 산정 소득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3가지 기준금액 중 하나를 선택하게 되면 이와 연동된 월 보험료 납부와 실업급여(기준금액) 액수가 확정되게 된다. 오스트리아 자영업자 고용보험 제도에서 가장 특징적인 점은 무제한 기준기간의 연장을 통한 자영업자의 실업급여 수급권을 특별히 보호하는 부분이며, 이를 통해 특정 조건을 충족한 고용이력을 가진 근로자가 자영업을 시작한 경우 고용보험료 기여 없이도 보험보호를 보장해주고 있다. 이는 독일에서 취업자 자격이 있어야만 고용보험에 임의가입 할 수 있는 기준과 비교해 자영업자에게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 백반증의 분류 및 진단

        오상호 대한의사협회 2020 대한의사협회지 Vol.63 No.12

        Vitiligo is a relatively common, acquired hypopigmentary disorder caused by the loss of epidermal melanocytes. It is characterized by asymptomatic, well-circumscribed round to oval-shaped whitish patches that vary in size. Depending on various clinical features, vitiligo is classified into several types, that is, non-segmental, segmental, and undetermined/unclassified vitiligo. The uniform classification of vitiligo is very important in predicting its clinical course and prognosis and communication among researchers. In particular, segmental vitiligo is a highly distinctive subtype of vitiligo considering its clinical features and prognosis. It usually has an onset early in life and spreads rapidly within the affected area limited to one segment of the integument. Signs of vitiligo activity such as Koebnerʼs phenomenon, trichrome vitiligo, inflammatory vitiligo, and confetti-like lesions give useful information to start treatments to block the progression of the disease. Lastly, other hypopigmentary disorders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vitiligo to make the correct diagnosis and prescribe the right treatment. In this report, I review the clinical features of vitiligo, various subtypes according to classification, and the importance for differential diagnosis of hypopigmentary disorders from vitilig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