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수실 상부 덮개가 유공 케이슨 방파제의 전면벽 및 후면벽 파압에 미치는 영향

        오상호,지창환,오영민,장세철,Oh, Sang-Ho,Ji, Chang-Hwan,Oh, Young-Min,Jang, Se-Chul 대한토목학회 2013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3 No.6

        이 연구에서는 수리모형실험을 통해 유수실 상부 덮개가 유공 케이슨 방파제 전면벽 및 후면벽에서의 파압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수리모형실험은 유공 케이슨의 유수실 상부 덮개가 있는 경우 및 없는 경우에 대해서 전면벽 유공률을 변화시키면서 이루어졌다. 유수실 상부가 덮개로 막혀 있을 때에는 모든 실험 조건에서 유의미하게 더 큰 파압이 취득되었으며 따라서 유수실 상부 덮개 존재에 따른 두 벽에서의 계측 파압 차이는 매우 뚜렷하게 나타났다. 그 결과 계측 파압을 적분하여 계산된 전파력의 크기 역시 상부 덮개가 있는 케이슨 방파제의 경우가 더 컸으며, 이 경우 잘 알려진 Takahashi의 파압식에 근거한 파력값을 상회하였다. 한편, 전면벽 유공률에 따라서는 방파제 전면벽 및 후면벽에서 모두 유공률이 클수록 더 큰 파압이 계측되었다. In this study, the effect of wave chamber slab on wave pressure along the first and second wall of the perforated caisson breakwater was investigated by performing physical experiment.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without and with the wave chamber slab of the perforated caisson by varying the front wall porosity. The discrepancy in magnitudes of the measured wave pressure along the both walls of the perforated caisson was apparent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the wave chamber slab as significantly greater pressures were acquired for all the test cases when the wave chamber was closed upward by the slab. As a result, the magnitudes of the total wave force calculated by integration of the measured wave pressure also were much larger for the caisson breakwater having the wave chamber slab, exceeding the value based on the well known Takahashi's formula (Takahashi and Shimosako, 1994). With respect to the porosity of the front wall, meanwhile, higher pressures were obtained with a larger porosity, at both the first and second wall of the breakwater.

      • KCI등재

        규칙파 실험에 의한 수중터널의 거동 및 동수역학적 특성 고찰

        오상호,박우선,장세철,김동현,Oh, Sang-Ho,Park, Woo Sun,Jang, Se-Chul,Kim, Dong Hyawn 대한토목학회 2013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3 No.5

        이 연구에서는 2차원 조파수조에서 수리모형실험을 실시하여 수중터널 모형의 수리학적, 구조적 성능을 고찰하였다. 수심 및 부력 대 자중비를 다양하게 변화시킨 조건에서 파고 및 주기가 서로 다른 규칙파를 조파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자료의 분석을 통해서 연직방향 및 횡방향 동요가 파고 및 주기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회전 운동의 크기는 파고 및 주기가 설계파 정도로 커지지 않으면 별로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마찬가지로, 계류장력 및 수중터널에 작용하는 파력도 파고 및 주기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하였다. 수심 및 부력 대 자중비의 변화와 관련해서는, 구조적 거동 및 수중터널에 작용하는 파력의 크기 모두 수심 증가 및 부력 대 자중비 감소에 따라서 전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In this study, physical experiments were performed in a two-dimensional wave flume to investigate the hydraulic and structural performance of a SFT model. The experiments were made by generating regular waves of different heights and periods under various conditions of buoyancy to weight ratio (BWR) and water depth as well. Through the analysis of the experimental data, it was clarified that the sway and heave motions of the tunnel body linearly increased with wave height and period. In contrast, the roll motion was rather insignificant unless wave height and period were comparatively large as the design wave. Similarly proportional relationship with respect to wave height and period was obtained in case of the maximum tensile force acting on the tension legs and the wave loads on the tunnel body. Regarding the change of water depth or BWR conditions, generally decreasing trend was obtained according to increase of water depth but decrease of BWR for both of the magnitudes of structural behaviors or wave loadings on the SFT structure.

      • KCI등재

        유수실 상부 덮개가 있는 케이슨 방파제의 유공률에 따른 전면벽 작용 파압 비교

        오상호,지창환,오영민,장세철,Oh, Sang-Ho,Ji, Chang-Hwan,Oh, Young Min,Jang, Se-Chul 대한토목학회 2013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3 No.2

        본 연구에서는 유수실 상부 덮개가 있는 케이슨 방파제의 전면벽 유공률 변화에 따라서 전면벽 파압 분포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실험적으로 고찰하였다. 우선 전면벽 유공률이 0인 무공 케이슨에 대해서 파압을 측정하여 이를 Goda(1974)의 파압 분포와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계측된 파압분포는 Goda의 파압 공식과 대체로 잘 일치하였으며, 이를 통해서 본 실험에서 파압이 정확하게 측정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유공 케이슨의 경우 전면벽 유공률을 0.2, 0.25, 0.3으로 변화시키면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대부분의 실험 조건에서는 유공률에 따른 전면벽 파압 분포에 차이가 거의 없었던 반면, 비교적 파고 및 주기가 큰 일부 실험파의 경우에는 유공률이 클수록 파압이 근소하게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그러나 전면벽 총파력은 대체로 유공률에 따른 차이가 미미하였다. This study experimentally investigated the change in distribution of wave pressure on the front wall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the front wall porosity of the caisson breakwater having the cap of wave chamber. First, the wave pressure for the non-porous caissson corresponding to zero porosity was measured and compared with the pressure formula suggested by Goda(1974).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measured pressure distribution fairly well agreed with the Goda formula, which confirmed the accurate measurement of wave pressure in the present experiment. In case of the porous caisson, meanwhile,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by varying the front wall porosity as 0.2, 0.25, and 0.3. The wave pressure distribution at the front wall showed littl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orosity for most of the test wave conditions, whereas the pressure slightly increased with the porosity for some test waves whose wave heights and periods were relatively large. However,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orsosity was insignificant for the wave force at the front wall.

      • KCI등재

        Alumina dummy 충전재를 이용한 GaN 기반 박막재료의 단면 TEM 시편준비

        오상호,최주형,송경,정종만,김진규,유인근,유석재,김영민,Oh, Sang-Ho,Choi, Joo-Hyoung,Song, Kyung,Jeung, Jong-Man,Kim, Jin-Gyu,Yu, In-Keun,Yoo, Suk-Jae,Kim, Young-Min 한국현미경학회 2009 Applied microscopy Vol.39 No.3

        Practical difficulties for preparing a good crosssectional specimen of GaN-based materials for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have arisen due to large difference of mechanical properties between hard ceramic substrate and soft GaN-layered materials. Uneven polishing, sudden cracking, delamination, and selective sputtering during the conventional wedge polishing technique are often encountered as experimental hindrances. The preparation technique based on Strecker's method can be applied to overcome these difficulties, which eventually leads to mechanically stable TEM samples independent of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materials. The basic idea is to use hard ceramic dummy filler for embedding the sample of interest into the dummy frame. In this study, we applied this technique into preparing cross-sectional TEM specimen of the GaN-based materials with mechanical instability and demonstrated usefulness of this hard dummy filler method in which the possible modifications of the sample of interest during the preparation must be avoidable. In addition, practical precautions during the preparation were discussed.

      • KCI등재

        단일 및 이중유수실 유공케이슨 방파제에 작용하는 최대 수평파력 비교

        오상호(Oh, Sang-Ho),지창환(Ji, Chang-Hwan),오영민(Oh, Young Min),장세철(Jang, Se-Chul),이달수(Lee, Dal Soo)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14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26 No.5

        이 연구에서는 단면 수리모형실험을 통해 파의 여러 위상에 따라 단일 및 이중유수실 유공케이슨 방파제의 연직벽에 작용하는 최대 수평파력을 계측하고 그 크기를 서로 비교하였다. 본 실험 자료 분석 결과 이중유수실 케이슨의 유수실 전체 폭이 단일유수실의 폭과 동일한 경우 이중유수실 케이슨에 작용하는 총 수평파력이 평균적으로 9.6%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파력 저감 효과는 이중유수실 케이슨 방파제의 유공 전면벽과 무공 후면벽 사이에 위치한 유공 중간벽에서 파 에너지가 소산되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Physical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measure the wave force on the vertical walls of perforated breakwater considering several phases of a wave acting on the breakwater. The maximum horizontal wave force acting on each vertical wall was compared between single and double chamber caisson breakwater. The experimental data in this study showed that the total horizontal wave force for double chamber caisson was 9.6% smaller on average than that for single chamber caisson when the total chamber width was the same for both caissons. Such reduction of the wave force is due to the dissipation of wave energy at the porous middle wall, which is located between the porous front wall and non-porous rear wall.

      • 1MW급 조류발전기 전력시스템 기본설계

        오상호(Sangho Oh),윤배광(Baekwang Yoon),권순일(Soonil Kwon)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21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0

        본 연구에서는 수중에 설치 운용되는 1MW급 조류발전기 전력시스템에 대한 기본설계를 수행하였다. 전력시스템은 울돌목 해역의 조류발전 실해역 시험장에 조류발전기를 설치하는 조건으로 하여 기본설계가 이루어졌고, 전력변환장치의 나셀 외부 설치 및 고압 또는 저압용 해저케이블 적용 등 여러 설치 조건을 분석하여 최적의 시스템 구성을 도출하였다. 전력시스템은 저압 AC690V 직접구동식 발전기로부터 육상변전소에 설치한 전력변환장치로 발전 출력이 전송되며, 나셀 내부의 제어전원은 육상 변전소의 고압 해저케이블을 통해 AC22.9kV를 수전하여 나셀 내부의 변압기를 통해 저압으로 변환 후 UPS, 분전반 등을 통해 각종 부하기기로 분배되도록 설계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전력시스템 기본설계 결과는 상용화 단지 구축 시조류발전기 전력시스템 설계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we carried out the basic design of power system for 1MW tidal current power generator, which are installed and operated underwater. The basic design of the power system was made on the condition that a tidal current generator be installed at sea test bed for tidal current power in the Uldolmok sea area. The optimal system configuration was determined by analyzing various installation conditions, such as external installation of the nacelle of the power converter and the application of high voltage or low voltage submarine cables. In the power system, the power generator output is transmitted from the low-voltage AC690V direct-driven generator to the power converter installed in the onshore substation. The control power inside the nacelle is designed to receive AC22,900V through the high-voltage submarine cable of the onshore substation, convert it to low voltage through the transformer inside the nacelle, and distribute it to various load devices through the UPS and distribution panel. Consequentially, this study can help to review the design of power system for tidal current power generator when construction of commercial complex.

      • KCI등재

        조력발전용 수문 성능평가를 위한 평면 수리모형실험

        오상호(Oh, Sang-Ho),이광수(Lee, Kwang-Soo),장세철(Jang, Se-Chul),이달수(Lee, Dal-Soo)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11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23 No.6

        조력발전용 수문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평면 수리모형실험을 수행하여 수문의 유량계수 및 수문별 공간적 유속 분포 특성을 규명하였다. 수리모형실험은 평면 개수로에 현장 규모 수문의 1/70 축척 모형 10개를 제작 및 설치하고, 수문 구조물 전 후면에는 Apron 구간을 설치하여 수행되었다. 특히, 유량계수 평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수문 구조물 전 후면에서의 수위 계측위치 및 계측방법을 합리적으로 결정하려고 시도하였다. 실험 유량 및 조위 조건을 변화시키면서 실험을 수행한 결과 본 실험에서의 수문 유량계수는 1.3~1.4로 평가되었다. 한편, 수문 10개 각각의 평균유속을 비교한 결과, 평균유속이 10개 평균값에 비해서 중앙부 수문에서는 2~3% 빠르고, 측면부 수문에서는 4~5% 느린 결과를 얻었다. The discharge coefficient and spatial velocity distribution were clarified by carrying out a physical experiment to assess the performance of sluice for tidal power generation. The physical experiment was performed by manufacturing 10 sluce models whose scale is 1/70 of the prototype and installing it in the planar open channel, which has apron sections in front of and behind the sluice models. In particular, it was attempted to reasonably determine the locations and method of measuring water levels that may affect estimation of the discharge coefficient.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for various conditions of discharges and tidal levels, the discharge coefficient of the sluice in the experiment was estimated as 1.3 to 1.4. Meanwhile, it was found that velocities were 2~3% faster at the sluices near the central region whereas 4~5% slower at the sluices on both sides, in comparison to the average value of the mean velocities of the ten sluices.

      • 이중유수실 케이슨 중간벽에 작용하는 수평파력 계측

        오상호(Oh, Sang-Ho),지창환(Ji, Chang-Hwan),오영민(Oh, Young Min),장세철(Jang, Se-Chul) 한국연안방재학회 2014 한국연안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4 No.-

        이중유수실 케이슨 방파 제 중간벽에 작용하는 최대 수평파력을 계측한 결과 무공 직립벽에 대해 제안된 Goda식에 비해서 20~40% 정도의 크기로 나타났다. 비록 중간벽에 작용하는 파력은 전면벽 또는 후면벽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작지만, 추가 적인 파랑에너지 소산을 발생시키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유수실 폭이 동일한 단일유수실 케이슨에 비해서 이중 유수실 케이슨에 작용하는 파력이 더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