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양한 운동강도와 동일한 운동량이 면역반응 물질에 미치는 영향

        오상덕 한국운동과학회 2003 운동과학 Vol.12 No.4

        오상덕. 다양한 운동강도와 동일한 운동량이 면역반응 물질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제12권 제4호, 693-702, 2003. 본 연구는 운동량을 감안하지 않고 단순히 운동강도에 의한 면역학적 접근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동일한 운동량의 조건하에서 서로 다른 운동강도에 따른 면역반응 물질의 변화를 비교 분석 하였다. 즉, 400kca1 소모에 해당되는 동일한 운동량의 조건에서 저강도(V0₂max 40-45%), 중강도(V0₂max 65-70%), 고강도(VO₂max 85-90%) 운동에 따른 T세포 아형과 사이토카인(Cytokines)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동일한 운동량의 조건하에서 NK 세포, IL-2 수준은 운동강도가 높을수록 회복기 시간경과에 따라 비례적으로 감소하여 운동시간 및 운동량과 관계없이 운동강도에 의해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운동강도에 따른 CD4, CD8, CD4/CD8 비율, INF-γ 변화가 유의한 차이가 없다는 것은 서로 다른 운동강도에도 불구하고 운동시간 및 운동량에 의해 유의한 영향을 받는 것을 의미한다. 즉, T세포의 아형은 저강도 및 중강도 운동일지라도 장시간의 지속적 운동은 고강도의 운동과 유사한 반응을 보인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운동과 면역반응에 대한 관심을 단순히 운동강도에 한정하지 않고 운동시간 및 전체적인 운동량의 관점에서 그 중요성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Oh, S.D. The effect of Intensity Exorcise on the changes T-cell and Cytokines following Submaximal Exercise. Exercise Science, 12(4): 693-702, 20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tensity Exercise on the changes T-cell and cytokines following submaximal exercise. All subjects were 11 males students on HY university. The exercise condition divided into three groups; High(V0₂max 85-90%), Moderato(V0₂max 65-70%), Low(V0₂max 40-45%) intensive exercise groups. Blood samples were taken from antecubital vein in pre-exorcise, post-60min exorcise, and post-120min exercise. All data was analyzed by MANOVA of SPSS. The result of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change of NK-cell and IL-2 concentration were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ces according to intensity of exercise. The change of CD4, CD8, CD4/CD8, and INF-v concentration were showed no significantly differences according to intensity of exorcise. In conclusion, the changes of NK-cell and IL-2 concentration caused by intensity of exorcise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occurred after exercise 60, 120min recovery. Also, this results suggested that changes of T-cell and cytokines following submaximal exercise appears to be relaled to exorcise volume than intensity.

      • 터널 라이닝의 건전도 평가를 위한 SASW 기법의 적용성에 관한 연구

        오상덕,김정근,오상덕 中央大學校 建設環境硏究所 1998 環境科學硏究 Vol.9 No.1

        Recently, the use of underground space has been widely expanded for transportation, storage, and human activities. The increased demand of underground space lead to the necessity of reliable and efficient techniques for quality assurance and safety assessment of tunnel structur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easibility of SASW measurements, which has been successfully used to investigate the geotechnical sites and to evaluate the structural integrity of concrete structures, in the area of safety assessment of tunnel concrete lining. Two approaches were proposed to identify a water proofing membrane in tunnel concrete lining, and the SASW technique was applied to characterize the properties of shotcrete and the original ground behind tunnel concrete lining.

      • 점진적 근 이완 회복 방법이 무용수행 후 심박수 및 혈중 젖산 변화에 미치는 영향

        오상덕,장순향 漢陽大學校 體育科學硏究所 2003 體育科學 Vol.23 No.2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covery of method after modern dance Performance the changes of HR and blood lactate. All subjects were 20 females modern dancer on C university. The design for this study was measurement between groups as independent variations were recovery method(static and progressive relaxation of recovery method) and bloodsampling time(rest, immediately, 10, 20min after performance), dependent variations were HR and blood lactate. All raw data were analysed by repeated with ANOVA for statistical significance and accepting level for all significances was above P<0.05. The following conclusion were made : The changes of HR after performanc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 Also, the changes of blood lactate after performanc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s. The accumulate of rate blood lactate in the recovery time after performanc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progressive relaxation recovery method than static of recovery method. In conclusion, progressive relaxation recovery method had an effect recovery on physiological fatigue after performance.

      • KCI등재후보

        중국문헌에 보이는 조선세법 검토

        오상덕,김종윤 한국무예학회 2016 무예연구 Vol.10 No.1

        This study is review on Chinese literature in Chosun-sebub. There was akind of swordship Chosun-sebub in Wubeizhi that written by Maoyuanyi commander of Ming-dynasty in 1621. Maoyuanyi wrote Wubeizhi to make Ming-dynasty great country. Chosun-sebub was aswordship that came from Chosun to Ming-dynasty. So, many people reseach or learn traditional maartial arts regard Wubeizhi as important. By the way, their reseach is limited in Muyedobotongji or Wubeizhi. In China, since Wubeizhi was written, there had been specialty publication concerned about Chosun-sebub. Also Chosun-sebub had been many advances and affected various martial arts. In this study, I compared and analyzed Chinese books, research papers, magazine areticles-related Chosun-sebub. I considered advance of Chosun-sebub in China and influence of Chosun-sebub on Chinese martial arts. So we will be able to secure basicdata of the east-asian martial arts exchanges history. 본 연구는 중국문헌에 보이는 조선세법 검토이다. 1621년 명나라 장수 모원의에 의해 편찬된 무비지에는 조선세법이라는 하나의 검법이 실린다. 이무비지는 모원의가 강한 나라를 만들려고 저술한 군사거작이다. 이 책에 하나의 무예에 실리는데 이것이 조선세법이다. 이 조선세법은 조선에서 명나라에 전해진 검법이다. 그래서 많은 한국의 전통무예를 연구하거나 수련하는 사람들이 매우 중요시 한다. 그런데 그들의 연구는 무예도보통지나 무비지에 국한되어 있다. 그런데 중국에서는 무비지 이후에도 조선세법에 관한 서적이 출간되었으며, 또한 조선세법은 여러 중국무술에 영향을 주기도 하면서 발전해 왔다. 이에 조선세법과 관련된 중국의 서적과 연구논문, 잡지 기사를 비교 분석하여 중국에서의 조선세법의 발전과 중국무술에 끼친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하여 조선세법에 대한 기존의 국내 연구에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자 하며, 또한 동아시아 무술교류사의 기초자료를 확보 할 수 있으리라고 본다.

      • 최대운동 중 인지적 스트레스가 혈중 β-endorphin, Norepinephrine 농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오상덕,김성민 漢陽大學校 體育科學硏究所 2003 體育科學 Vol.23 No.2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gnitive stress during maximal exercise on the blood B-endorphine and norepinephrine concentrations. The subjects were physical education major male students of H universit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stress treatment group(N=6) and the control group(N=6). The Blood samples were taken from antecubital vein at rest, IS min and 30min after performance of the maximal exercise according to Bruce Stress Treadmill Protocol. The concentrations of blood β-EN and NE were determined respectively by radioimmunoassay (RIA)and HPLC-ECD(AS400, Hitachi) In the stress group. Cognitive stress was causeed by continued warning and making false accusation of subjects peformance on the treadmill. Data were analyzed with t-test and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of SPS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After the maximal exercise the blood level of NE increased in both groups. However, blood NE concentration increasement was significantly(P<.05 higher in the stress group. 2.In both groups, β-endorphine elevated after the maximal exercise. Compared to control group, change in blood β-EN level was significantly(P<.05) greater in the stress group. These result imply that cognitive stress may exert harmful effects on the body after performance of the maximal exercise.

      • KCI등재

        노인들의 장기간 유산소 운동 참여가 면역물질 변화에 미치는 영향

        오상덕 한국운동생리학 2005 운동과학 Vol.14 No.1

        본 연구는 6개월 이상 운동 참여에 따른 면역 효과를 제시하기 위해 연령(중년, 노인)과 운동참여 여부(비교군, 훈련군)에 따른 면역물질을 비교하였다. 또한 노인집단에서 비교군과 훈련군물 대상으로 일시적 운동자극(최대하 운동)에 의한 면역물질(호중구, 단핵구, CD4, CD8, NH-세포, IL-2, IFN-Y)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연령과 운동참여에 따른 안정시 호중구, 단핵구, CD4, CD8 수준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NH-세포, IL-2, IFN-γ은 비교군에 비해 훈련군에서 유의하게 높은 수준을 보였다. 한편 최대하 운동에 따른 비교군과 훈련군의 면역반응은 대부분의 항목에서 훈련군에 비해 비교군에서 운동 후 회복기(운동 후 60분)에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노화 과정에서 장기간 유산소 운동 참여는 안정시 면역물질(NK-세포, IL-2, IFN-γ) 수준의 향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long-term aerobic training and sub-exercise treatment on the changes of neutrophils, monocyte, CD4, CD8, natural killer-cell(NK-cell), interleukin (IL-2), and interferone-r(IFN-r) concentration in older adult. Level of blood NK-cell, IL-2, IFN-γ significantly increased in training than control group. Also, level of blood neutrophils, monocyte, CD4, NK-cell, and IL-2 following sub-exercis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t post-0 and decreased at post-60 min in control than training group. In conclusion, long-term aerobic training induced positive effects on the changes of immune system in the older adult. Also, the effect of long-term aerobic training was to play in defending of declined immune system caused by sub-exercise treatment.

      • 消化不良에 대한 九六補瀉 刺鍼의 效果에 對한 臨床的 考察

        오상덕,국윤형,민재영,임승만,백은탄,라수연 대한한방성인병학회 2000 韓方成人病學會誌 Vol.6 No.1

        Objectives :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 of acupuncture on reducing the dyspepsia , we used rotatory manipulation. Method : The patients were classified as two groups . The first group was included 20 patients with rotatory manipulation. The second group was also 20 patient with simple manipulation. The rotatory manipulation is rotate acupuncture clokwise or reverse pattern 9 or 6 times by patient condition. The degree of dyspepsia was evaluated by visual analog scale(VAS). Result : The degree of VAS was decreased 5.50±1.54 in rotatory group. The degree of VAS was also decreased 4.30±1.22 in second group. Conclusions : The results revealed both rotatory manipulation and simple manipulation treatment was effect on reduce the dyspepsia. The rotatory manipulation is more effective than simple manipulation.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마라톤 경기 후 회복기의 스트레스 호르몬 변화

        오상덕 한국운동과학회 2001 운동과학 Vol.10 No.2

        마라톤 경기 후 회복기의 스트레스 호르몬 변화. 운동과학, 제10권 제2호, 183-190, 2001. 본 연구는 공식 마라톤 경기에 참여한 대학의 대표선수들을 대상으로 마라톤과 스트레스 호르몬 변화에 대한 관련성을 위해 경기 전, 경기완료 1시간과 8시간 후에 채혈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 대상자들은 경기 중 탈수 증상을 경험하였으나, 규칙적인 수분 공급을 통해 헤마토크리트(Hct) 변화는 비교적 정상 범위를 유지하였다. 또한 이들은 근통증을 경험하였고, 근통증은 경기 후 3∼10일 동안 지속되었다. 대부분의 선수들의 마라톤 경기 참여에 따른 후유증이 장기간 지속되었으며, 이외에도 일부 선수들은 두통, 소화불량, 수면장애, 무기력증 등 다양한 생리·심리적 증상들을 장기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혈중 노에피네피린 농도 변화는 경기 전에 비해 경기 후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 남성호르몬 농도 변화는 경기 전에 비해 경기 후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혈중 코티졸 농도 변화는 경기 전에 비해 경기 후 1시간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 경기 후 8시간에서는 경기 전이나 경기 후 1시간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남성호르몬과 코티졸 비율(T/C)은 경기 전에 비해 경기 후에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즉, 마라톤에 따른 혈중 노에피네피린, 남성호르몬, 코티졸 농도는 안정시 수준에 비해 경기 후 8시간이 경과된 후에도 지속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이런 결과는 과다 운동에 의한 호르몬 반응의 변화로서 안정시 수준(base line), 즉 정상 수준으로 환원 및 유지하려는 복원력 저하를 의미하며, 이런 요인들은 내분비계의 와해와 장기적으로는 각종 질병들을 유발할 수 있다. The Effects of Marathon Race on the Changes of Stress Hormone. Exercise Science, 10(2): 183-190, 200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on race on the changes of stress hormone. The subject was 7 male marathon runner on H, K university. All of them completed the 2000 Chosun-ilbo Marathon. Venous blood samples for norepinephrine, testosterone, and cortisol concentration were collected three times from each subject : pre-marathon race(resting), 1 and 8 hour post-marathon race. All data were analyzed by repeated with ANOVA on of SPSS, accepting level for all significances was above α=.05.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changes of blood norepinephrine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post-8 race than pre race(p<.05). 2) The changes of blood testosterone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post-8 race than pre race (p<.05). 3) The changes of blood cartisol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deceased in post-8 race than pre race(p<.05). In conclusion, marathon race induced harmful effects on endocrine system. This results suggested that marathon race has associated with ircreased as well as injury.

      • SCIESCOPUSKCI등재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AA, BB가 치주인대세포의 세포활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오상덕,이재목,서조영,Oh, Sang-Deok,Lee, Jae-Mok,Suh, Jo-Young 대한치주과학회 1994 Journal of Periodontal & Implant Science Vol.24 No.2

        치주조직의 재생을 위하여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치주인대세포를 선택적으로 유도하여 증식시키는 방법으로 성장인자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중배엽세포를 조절하는 인자 중의 하나인 혈소판유래성장인자(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이하 PDGF-AA, BB로 표기)는 폴리펩타이드계 성장인자로써 다양한 세포들에 대해 증식, 이주 및 기질합성에 촉진효과가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본 연구는 배양된 치주인대세포에 혈소판유 래성장인자를 농도별로 주입해서 세포의 증식능, 단백질 및 교원질 합성능을 측정해 보고, 골형성세포로의 분화에 대한 표식인자로 알칼린인산효소활성도를 알아보므로서 혈소판유래성장인자가 치주인대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교정치료를 위해 내원한 환자로 부터 건강한 제일소구치를 발거하여 치주인대세포를 분리, 배양하여 PDGF-AA, BB를 주입시키지 않은 군을 대조군으로 하고, PDGF -AA, BB를 각각 0.1, 1, 10, 100ng/ml로 주입시킨 군을 실험군으로하여 DNA 합성능, 총단백질과 교원질 합성능 및 알칼린인산효소활성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DNA 합성능에 미치는 PDGF -AA, BB의 효과는 양군 공히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100ng/ml의 PDGF-BB를 투여한 군에서는 대조군과 유사한 정도를 나타내었다. 치주인대세포의 총단백질 합성양에 미치는 PDGF -AA, BB의 효과는 PDGF-AA, BB투여군 공히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총단백질 합성양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총단백질 합성양에 대한 PDGF-BB의 효과가 PDGF-AA보다 100ng/ml 투여군에서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 총단백질을 교원질(collagenase digestible protein : CDP)과 비교원성 단백질(noncollagenous protein : NCP)로 분류하여 비교하였을때 PDGF-AA, BB 투여군 공히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비교원성 단백질 합성양과 교원질 합성양이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양군 모두에서 비교원성 단백질 합성양이 교원질 합성양보다 높게 나타났다. 총단백질에 대한 교원질의 상대적 비율은 양군 공히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므로써 PDGF-AA, BB는 교원질에 특이하게 합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는 없음올 나타내었다. 알칼린인산효소활성도는 7, 14일째에서 PDGF-AA, BB 투여군 모두 대조군과 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Current acceptable methods For promotin gperiodontal regeneration are base on removal of diseased soft tissue, root treatment, guided tissue regeneration, inteoduction of new graft materials and biological mediators.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PDGF) is one of polypeptide growth factor. PDGF has been reported as a biological mediator which regulates activities of wound healing process including the cell proliferation, migration and metabolism.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s of PDGF-AA, BB on the periodontal ligament cells to use as a regeneration promoting agent of periodontal tissue.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were prepared from the first premolar tooth extracted for the orthodontic treatment and were cultured in DMEM/10% FBS at the $37^{\circ}C$, 5% $CO_2$ incubator. Author measured the DNA synthesis, total protein, collagen and noncollagenous protein synthesis and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PDGF-AA and BB(0, 0.1, 1, 10, 100ng/m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The DNA synthetic activity was increased dose dependently by PDGF-AA and BB. The maximum mitogenic effect was at the 100ng/ml of PDGF-AA and 10ng/ml of PDGF-BB. The total protein, collagen and noncollagen systhesis was increased dose dependently by PDGF-AA and BB. The % of collagen was slightly decresed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PDGF-AA and BB. The effect of PDGF-AA and BB were not specific for collagen synthesis since it also increased noncollagenous protein synthesis. The effect of PDGF-AA and BB on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meanwhile the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of 14 days group showed significnat increase. In conclusion, PDGF-AA and BB may have important roles in stimulation of DNA synthesis in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which means an increase in collagen-synthesizing cells, and may be useful for clinical application in periodontal regenerative proced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