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의 소나무 ‘국수’ 지정과 함의

        오삼언,배재수 북한대학원대학교 심연북한연구소 2023 현대북한연구 Vol.26 No.3

        북한에서 소나무는 “남산의 푸른 소나무”라는 관용어를 떠올릴 만큼 ‘만경대혁명일가’를 상징해 왔다. 그런데 2015년 소나무가 국수로 지정된 이후부터는 역설적으로 민족성이 부각되었다. 북한은 소나무를 국수로 지정한이유를 설명하면서 소나무가 예로부터 민족의 억센 기상과 강인한 의지등을 상징했다는 점, 민족의 삶과 소나무가 밀접하게 관계를 맺어 왔다는점 등을 강조했다. 소나무는 용재림으로서 효용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진다고 평가받았지만, 국수로 지정된 뒤부터 효용성이 재평가되고 수종 개량연구도 병행되고 있다. 소나무에 투영돼 왔던 ‘지조’, ‘충절’, ‘기상’ 등의의미는 ‘사회주의 수호’라는 의미로 맥락화되고 활용된다. ‘애국’을 상징하는 다른 국가상징물과 달리 소나무는 ‘체제 수호·고수’의 기표로 작동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국수 소나무는 산림복구전투를 애국심에 호소하며독려하는 데 효과적인 역할을 한다. 또한 문학예술·교육 분야에서는 소나무를 우선시하는 기준이 생겨났으며, 소나무 경관도 재조명되고 있다. 국수 소나무에는 김정은 시대 사회주의 체제에 대한 욕망이 투영돼 있다. In North Korea, pine trees have symbolized the ‘Mangyeongdae Revolutionary Family’ to the extent that the idiom ‘Blue Pine Tree of Namsan’ comes to mind. However, paradoxically, since the pine tree was designated as the national tree in 2015, its ethnicity has been highlighted. In explaining why North Korea designated the pine as its national tree, North Korea emphasizes that the pine tree has long symbolized the nation’s strong spirit and strong will and that the life of the nation and the pine tree have been closely related. Pine trees were not very useful as a timber forest, but since its designation as the national tree, pine trees have been reevaluated, and research on tree species improvement has been carried out. The pine tree has been contextualized to mean ‘fidelity’, ‘loyalty’, and ‘spirit’, and thus utilized to mean ‘protection of socialism’. Unlike other national symbols that symbolize ‘patriotism’, the pine tree functions as a signifier of ‘protection and adherence to the system’. The pine tree plays an effective role in encouraging the fight for forest restoration by appealing to people’s patriotism. In addition, standards for prioritizing pine trees have emerged in the fields of literature, art, and education, and pine landscapes are also being reexamined. The pine, the national tree, reflects the desire for the socialist system of the Kim Jong-un era.

      • KCI등재

        김정은 시대 소설에 반영된 농업 및 과학기술 정책과 변화된 일상 -「목화솜이불」, 「버드나무 설레이는 땅」 등을 중심으로

        오삼언 북한연구학회 2018 北韓硏究學會報 Vol.22 No.2

        Novels representing policies on agriculture and science technology lively describes the political will of North Korea and changed life in local community. In “Cotton-stuffed Comforter” (2015), the various conflicts and circumstances are well identified in which people tend to prioritize small-group or individual Garden than the agricultural land designated for agricultural cooperation, after launching Garden Production Responsibility System. While the literatures of early and mid 2000s focused more on issues related to socialization and equalization, nowadays, it is paying more attention to the individualism in accordance with merit system. Although the individual gardens existed in early and mid 2000s also, the individual gardens of those days contained positive meaning, in which could raise the awareness and enthusiasm to get rid of socialism and equalization. In contrast, the individual gardens of today represent individualism which is thought to be negative in the society. “See the Love” (2015) and “Jang Pung Duk” (2015) embodied the images of exemplary and devoted leaders of Agricultural Cooperation who are competent but not soaked into individualism. Techno-centrism and related polices are the standard of sorting patriotism and individualism, as well as criteria for work evaluation in “Night Train” (2016). The corruptions in North Korea are concretely pointed out while connecting the science technology to patriotism through the directive speech of Kim Jong-il. The changed life of members of Agricultural Cooperation can also be perceived in “Green Willow, The Land of Hope” (2017), including taking exams on science technology and being expected to develop technology on their own. Through “Strengthen the Self” (2017) and other related literatures, the equation, “Patriotism = Self-reliance = Techno-centrism”, can be observed. The plot is remarkable that the characters neglecting technology are not just from old generation, but it also includes government officials. Furthermore, the interconnection among Techno-centrism, Kim Jong-il Patriotism, and Self-reliance ideology is also shown. 김정은 시대 농업 및 과학기술 정책이 반영된 소설에서는 북한 당국의 정책의지와 함께 주민 일상의 변화 또한 생생하게 드러나고 있다. 「목화솜이불」(2015)에서는 포전담당제 실시 등으로 분조밭보다 포전이나 개인의 텃밭을 더 중시하는 풍조가 생겼으며 이를 둘러싸고 다양한 갈등과 상황이 벌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2000년대 초중반 작품들이 사회주의평균주의에 대해 문제의식을 가졌다면 이제는 능력주의에 따른 개인주의, 이기주의 측면에 더 주목하고 있다. 개인의 텃밭을 두고서도 2000년대 초중반에는 사회주의평균주의에서 벗어날 수 있는 자각과 열정을 불러오는 긍정적인 공간으로 형상화됐으나 2015년 현재 개인의 텃밭은 이기주의가 표출되는 부정적인 공간으로 대조적으로 형상화되고 있다. 모범적이고 헌신적인 분조장을 형상화하는 데서도 실력과 동시에 개인주의에 젖지 않는 인물을 꼽고 있다는 것을 「사랑을 보다」(2015), 「장풍덕」(2015)에서 보여주고 있다. 과학기술중시 사상과 정책은 애국심과 이기심을 가르는 잣대이자 활동평가의 기준으로 나타난다. 「야전렬차」(2016)에서는 김정일 전 국방위원장의 직접적인 발언을 통해 북한에서 일어난 부정부패 현상을 구체적으로 지목하며 과학기술과 애국심을 연결시킨다. 분조원들이 과학기술시험을 치르고 자체 과학기술개발을 요구받는 등 일상에서 변화 또한 「버드나무 설레이는 땅」(2017)을 통해 감지된다. 「자기를 강하게 하라」(2017) 등의 작품을 통해서는‘애국심=자력갱생=과학기술중시’라는 등식을 재확인할 수 있다. 과학기술을 소홀히 여기는 인물로 구세대만이 아니라 관료까지 등치시키는 설정은 주목되는 점이다. 더불어 과학기술중시 사상이 김정일애국주의, 자강력제일주의와 함께 형상화되면서 맞물리는 맥락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김정은 시대 산림정책의 특징

        오삼언,김은희,김경민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 2018 북한학연구 Vol.14 No.2

        1990년대 중반부터 제기됐던 북한의 산림 황폐화 문제는 김정은 시대에 이르러서야 국가적 과제로 부각됐다. 북한은 산림녹화를 ‘자연과의 전쟁’으로 규정했으며 산림녹화사업을 ‘산림복구전투’라고 명명했다. 이에 더해 김정은 위원장이 산림복구전투를 직접 지휘한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벌거숭이산’을 ‘황금산’, ‘보물산’으로 전변시키기 위해 전 국가적 차원의 대응, 전투를 역설하고 있다. 2018년 7월에도 김정은 위원장은 산림정책을 ‘현 시기 가장 중요하고 선차적인 정책적 과업’으로 강조했다. 이 연구는 김정은 시대를 가늠하는 정책으로 부상한 산림정책이 어떻게 시행되고 있으며 그 특징은 무엇인지 등을 분석했다. 산림복구전투는 김정은 시대가 추구하는 사회주의 강성국가를 위한 세 가지 목표인 정치군사강국, 경제강국, 문명강국 건설 중에 경제강국, 문명강국의 중요 과제로 위상을 자리매김했으며 각각 경제림과 풍치림 조성으로 강조되고 있다. 산림복구전투를 국가 전략목표와 연결지어 의의와 중요성을 극대화하고 국가적 차원에서 대중을 동원하기 위한 의도가 포함돼있다. 산림복구전투는 김정일 시대와는 다른 김정은 시대의 새로운 부강조국 청사진을 그려보게 하는 효과를 만들어낸다. 벌거숭이산이 변화하는 모습은 1990년대 고난의 행군 후과로 꼽히는 ‘벌거숭이산’, ‘흙산’과 자연스럽게 비교되면서 변화에 대한 기대를 만든다. ‘벌거숭이산(고난의 행군/과거)’→‘산림복구(산림복구 전투/현재)’→‘보물산, 황금산(사회주의 강성국가/미래)’의 도식은 벌거숭이산의 변모를 사회주의 강성국가로 들어서는 희망의 연상고리로 작용하게 한다. 이 같은 측면에서 보면 산림복구전투는 사회주의 강성국가라는 국가전략목표와 연결된 핵심 전투고지라고 말할 수 있다. 강성국가건설의 담론으로 활용되는 ‘김정일애국주의’는 특히, 산림 분야와 맥락이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김정일애국주의’에 대해 김정은 위원장이 ‘내 조국의 풀 한포기, 나무 한 그루까지도 다 자기 가슴에 품어안고 자기의 더운 피로 뜨겁게 덥혀주는 참다운 애국주의’로 규정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김정일애국주의를 기반으로 ‘산림복구전투=후대를 위한 애국사업’으로 여기고 ‘푸른 숲=애국심을 평가하는 척도’라고 규정하며 ‘한 그루를 나무를 더 심는 사람=진정한 애국자’로 호칭하는 등 산림분야에서 김정일애국주의는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북한이 본격적으로 산림복구전투에 나선 것은 2015년이다. 10년 시한을 못박으면서 전국에 산림 관련 사업체계가 세워진 점이 주목된다. 중앙산림복구전투 지휘부의 지도 밑에 도, 시, 군들에서 해당 지역의 산림복구전투를 진행하는 체계가 세워졌으며 중앙, 도, 시 군들에 양묘장들이 조성됐다. 산불감시정보봉사체계와 전국산림자원관리정보체계 등 전국적인 시스템도 구축됐다. 산림복구전투는 사회주의경쟁운동으로 진행되며 보여주기사업, 따라앞서기, 따라배우기, 경험교환운동 등 여러 형태로 진행되고 있다. 김정은 시대 산림정책은 원상 복구가 아니라 개조를 동반한 복구방향을 지향하고 있다는 점도 특색이다. 산림의 경제적 기능만이 아니라 생태환경적 기능을 복구방향으로 강조하거나 임농복합경영을 추진하는 것 등은 산림개조의 맥락에서 중요하게 언급된다. 자강력제일주의와 함께 산림분야의 과 ... North Korea has named greening as ‘War with Nature’ and greening project as ‘War on Deforestation.’ War on Deforestation has been chosen as a key project of economic power and soft power which are two of three National Strategic Objectives of Kim Jong-Un era in which the other one is political and military power. As part of this project, establishment of economic forest, prevention of disasters, and development of scenic area are being highlighted. Connecting War on Deforestation to National Strategic Objectives might have intension to maximize its significance and mobilize the public in country level. War on Deforestation is an effective way for the people to draw a new blueprint on strong and wealthy nation which differs from Kim Jong-Il era. Greening will contradict the image of two eras in a fact that the bare mountains are the major outcome of Arduous March in 1990s, and the people will look forward to change brought by greening. The schema 'Bare mountain (Arduous March/past)'→’Reforestation (War on Deforestation/present)'→'Gold Mountain (Powerful Socialist Country/future)' presents hopeful association between the change of bare mountain and opening of the strong nation. Especially, Kim Jong-Il Patriotism discussed in the discourse of foundation of powerful country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forest sector in the context. In the basis of Kim Jong-Il Patriotism, this context is being applied to the forest sector in various ways, by considering War on deforestation as patriotic activity for the future generation, green forest as measure for patriotism, and person who plants trees as real patriot. In 2015, North Korea started to put an action to War on Deforestation in earnest. It is noticeable that forest-related project systems have been built in nationwide with 10-year deadline. Central Command Group of War on Deforestation organized systems for reforestation project in states, provinces, and cities, and fostered tree nurseries in each area. In addition, several national systems including National Forest Resources Information and Management System and National Forest Fire Monitoring Information Service were developed. Forest rehabilitation in North Korea is for socialist competition campaign, and it is being progressed in various forms such as ‘performance-business’, ‘taking the lead’, ‘learning-along’, and ‘exchange of experience’. The purpose of policies on forestry in Kim Jong-Un Era is not on restoration into its original state, but rather on remodeling. In the context of remodeling, it is important to emphasize not only the economical function of forest but also its eco-environmental function, and implement agroforestry management. In line with self-reliance ideology, there is an attempt to synthesize research on forestry scientific technology with socialist competition campaign to disseminate and popularize the technology. This shows that scientific technology, the keyword of Kim Jong-un era, is being highlighted also in forest sector.

      • KCI등재

        김정은 시대 산림복구의 성과와 양상 분석

        오삼언,김은희 북한연구학회 2021 北韓硏究學會報 Vol.25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changes in policies related to forest restoration that began in earnest after Kim Jong-un era and analyze forestry performance based on regional and field-specific aspects shown in media reports. North Korea had established a forest restoration battle system to restore forests, and announced its plans and plans for forestry and forestry as it unveiled its specific achievement of creating a million hectare forest through the eighth party convention. The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estimated that the degraded forest land was reduced by 220,000 hectare from 2008 to 2018, while the forest land was increased by 620,000 hectare. According to an analysis of media reports on forest sector from 2015 to 2020, the results of the forest restoration, which has been continuously raised since Kim Jong-un’s reign, can be confirmed along with actual policy changes, and plans and commitments to future forest-related sectors can be known. Analysis by sector showed that it was reported in the order of “forest reforestation-forest use-forest protection-forest management system-other”, and that it was paying more attention to “forest use” than “forest protection.” The areas most frequently mentioned in the “forest reforestation” field were South Pyongan-do, the “forest protection” field was North Hwanghae-do, the “forest management system” field was Yanggang-do, and the “forest use” field was Jagang -do. It can also be seen that forestry reports are closely linked to pending national development issues and policies. 본 논문은 김정은 위원장 집권 이후 본격화된 산림복구 관련 정책 변화와 조림 성과 등을 살펴보고 언론보도에 나타난 분야·지역별 양상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북한은 2015년부터 산림복구 관련 조직과 체계를 신설, 강화해왔다. 8차 당대회를 통해서는 100만 정보 산림 조성이라는 구체적인 수치로 성과를 공개했으며 임업·산림 관련 계획도 밝혔다. 국립산림과학원에서는 위성영상 분석을 통해 2008~2018년 간 변화를 분석해 산림황폐지는 약 22만 ha 감소한 반면, 입목지의 면적은 약 62만 ha 증가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2015년부터 2020년까지 산림과 관련한 언론보도를 분석한 결과, 고난의 행군 이후 지속적으로 제기돼왔던 산림복구와 관련해 김정은 위원장 집권 이후 실제 정책 변화와 함께 성과를 확인할 수 있으며 향후 산림과 연관된 부문에 대한 구상과 의지도 읽을 수 있었다. 분야별로 분석해보면 ‘산림조성-산림이용-산림보호-산림경영시스템-기타’ 순으로 보도됐으며 ‘산림보호’보다 ‘산림이용’ 분야에 주목하고 있다는 점이 드러났다. ‘산림조성’ 분야에서 가장 많이 언급된 지역은 평안남도, ‘산림보호’ 분야는 황해북도, ‘산림경영시스템’ 분야는 양강도, ‘산림이용’ 분야는 자강도다. 산림 분야 보도는 국토 개발 현안 및 정책과 밀접히 연계돼있다는 점도 확인된다.

      • KCI등재

        김정은 집권 이후 자연보호구 정책의 특징

        오삼언,박소영 통일연구원 2023 統一 政策 硏究 Vol.32 No.2

        본 논문은 김정은 집권 이후 자연보호구 정책의 변화 양상, 특징 등을 분석하기 위해 2013년부터 2022년까지 로동신문 의 자연보호구 관련 키워드를 수집, 분석했다. 자연보호구 해당 키워드 8개, 연관 키워드 5개 등 총 13개 키워드를 통해 연도별 및 지역별 추이와 내용 분석 등을 진행했다. 전반적으로 2019년부터 자연보호구 관련 보도가 증가하며 유용동물 관련 보도는 2020년부터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연보호구 해당 키워드는 양강도, 자강도가 많았으며 연관 키워드는 강원도, 평안북도 순으로 나타났다. 로동신문을 통해 자연보호구 정책의 특징을 도출해보면 2015년부터 시작된 산림복구전투와 연계되어 유용동물보호구와 오가산자연보호구가 확대 및 강화되고 있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천연 원시림인 오가산자연보호구는 ‘김정일애국주의’ 상징으로 강조되며 천연기념물 대상지가 6,500여 정보로 대폭 늘어났다. 유용동물보호구는 유용동물보호 정책이 강화되면서 최소 26곳 이상, 임시보호구 300여 곳이 조성되어 자연보호구 전체 규모와 양상에서도 변화가 예상된다. This paper collected and analyzed keywords related to nature reserves in Rodong Sinmun from 2013 to 2022 in order to analyze th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nature reserve policy after Kim Jong Un took power. A total of 13 keywords, including 8 keywords corresponding to nature reserves and 5 related keywords, were used to analyze trends and contents by year and region. Overall, reports related to nature reserves have increased since 2019, and reports related to useful animals have increased since 2020. The most common kewords for nature reserves were Ryanggang-do(province) and Jagang-do(province), while related kewords appeared in that order: Gangwon-do(province) and Pyonganbuk-do (province). Deriv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ture reserve policy through Rodong Sinmun, it can be pointed out that the Useful Animal Reserve and Ogasan Nature Reserve are being expanded and strengthened in connection with the forest restoration battle that began in 2015. The Ogasan Nature Reserve, a natural virgin forest, has been highlighted as a symbol of Kim Jong Il’s patriotism, and the number of natural monument sites has increased significantly to more than 6,500 hectares. At least 26 useful animal reserves and 300 temporary reserves have been established as a result of the strengthening of the policy to protect useful animals, and changes are expected in the overall scale and pattern of nature reserves.

      • KCI등재

        독일 통일과정 산림 및 환경분야 협력 분석 -동독(독일) 정책문서를 중심으로

        오삼언,김은희 북한연구학회 2020 北韓硏究學會報 Vol.24 No.1

        Lignite was the main energy source in East Germany, which accounted for about 83 percent of the energy. This was the main cause of environmental pollution, such as water and soil, and also the main cause of air pollution, which was the main cause of forest damage. The increase in forest damage in East Germany was 31.7 percent (1987), 44.4 percent (1988), and 54.3 percent (1989). In the order of areas with large forest damage, it was followed by Leipzig (75.4%), Magdeburg (62.8%), Berlin (62.8%), and Dresden (62.1%). In 1989, 52.7 percent of the oak trees were severely damaged, and 45.5 percent of the spruce forests showed signs of damage. The first consultation in the forest sector cooperation between East and West Germany was considered a protocol memorandum on forest projects near the border in February 1976. The main content was to allow the use of border roads for forest work between East and West Germany when surveying the terrain. Forest protection measures proposed to the German government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n East Germany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in 1990 were as follows; Analysis for understanding the current situation, survey of forest afforestation and ecological measures, survey of insect pests, maintenance of forest as a place for recreation and healing, and regulations on the supply of timber and timber market in East and West Germany. The above points have a lot of implications for inter-Korean forest cooperation. In addition, it supported environmental infrastructure by investing the latest environmental technologies in East Germany and installing various purification facilities with economic development in mind as well as environmental protection. These points will be considered in the direction of inter-Korean forest sector and environmental cooperation in the future. 동독 에너지의 83% 가량을 담당했던 주 에너지원인 갈탄은 대기, 수질, 토양 등 환경오염의 주된 원인이었으며 산림 훼손의 주된 원인인 대기오염과도 맞닿아있다. 동독의 산림훼손 증가 수치는 31.7%(1987년)→44.4%(1988년)→ 54.3%(1989년)이었다. 숲 훼손이 큰 지역 순으로 보면 라이프치히(75.4%), 막데부르크(62.8%), 베를린(62.8%), 드레스덴(62.1%) 등의 순이다. 1989년 당시 떡갈나무가 52.7%로 훼손이 크게 발생했으며 가문비나무 숲의 45.5%가 훼손 증상을 보였다. 동서독 간 산림분야 협력에서 첫 협의는 1976년 2월 경계선 인근지역 치산작업에 관한 의정서각서로 추정된다. 지형 측량 상 부득이한 경우에 동서독 간 경계선 인근 산림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 골자다. 1990년 과도기 동독 환경부가 독일 정부에 제안한 산림보호조치는‘현황파악을 위한 분석, 산림녹화와 생태적 조치, 병충해에 대한 조사, 산림을 휴양과 치유를 위한 장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유지, 동독과 서독의 원목 공급과 목재시장에 대한 규정’ 등이 담겨 남북 산림협력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환경보호만이 아니라 경제발전을 위해 최신 환경기술을 구동독에 투자한 점, 각종 정화시설 등 환경기반시설을 지원한 점 등은 향후 남북 간 산림 및 환경협력 방향에서 숙고할 점이다.

      • KCI등재

        김정은 시대 '생태환경정치'의 출현

        오삼언 북한연구학회 2024 북한연구학회보 Vol.28 No.1

        본 논문에서는 김정은 시대에 북한에서 생태환경을 통치의 대상으로 전면화하고 통치에 활용하는 ‘생태환경정치’가 출현했다고 보고 이를 논의한다. 산림복구전투로 시작된 생태환경정치는 이전 시대와 차별화되는 ‘황금산’ 등의 표상을 통해 사회주의강국의 비전을 제시한다. 주체사상의 자연개조사상이 일정한 한계와 모순을 내포하고 있어 생태환경정치의 이데올로기로 김정일애국주의가 작동한다. 김정은 시대 생태환경정치는 생산력을 우선에 뒀던 과거와 달리, 생태환경의 가치에 무게중심을 두고 있지만 양가적인 측면을 띠고 있다. 생태환경정치의 주요 특징으로는 첫째, 생태환경을 통치의 대상으로 전면화한다는 점, 둘째, 생태환경의 상징화가 이뤄지고 영향이 확산된다는 점, 셋째, 생태환경 인식을 애국심과 등치시킨다는 점 등을 꼽을 수 있다. 생태환경 관련 38개 법안의 제·개정과 정책 확대는 생태환경정치가 부각됐음을 뚜렷하게 보여준다. 또한 사회주의경쟁 방식을 생태환경 분야에 결합하고 생태환경정치를 기반으로 국제사회에 개입하는 흐름을 보인다. 생태환경 훼손 문제에 대한 전격적인 대응이 북한 사회 전반의 변화를 불러오면서, 생태환경정치가 이전 시대와 김정은 시대를 구별하는 가늠자처럼 가동되기 시작했다. 생태환경과 더불어 인민대중을 통치하는 정치전략으로 역할하는 생태환경정치는 김정은 시대를 특징짓는 고유한 정치전략이다. With the advent of the Kim Jong-un era,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politics' has emerged as a focal point of governance and utilized in governance. Beginning with the Forest Restoration Battle,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politics presents the vision of a socialist powerhouse through symbols such as the 'Golden Mountain,' distinguishing itself from previous eras. At the ideological base of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politics lies Kim Jong-un patriotism, rather than the natural transformation ideology of Juche(self-reliance) ideology associated with certain limitations and contradictions. In contrast to previous eras that prioritized productivity,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politics in the Kim Jong-un era also emphasizes the value of ecology and environment but in a dualistic manner. Key features of ecological environmental politics include: first, the comprehensive integration of ecology and environment into governance; second, the symbolization of ecology and environment leading to widespread influence; third, the alignment of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awareness with patriotism. The revision and enactment of 38 laws related to ecology and environment, along with policy expansions, underscore a clear trajectory in ecological environmental politics. Moreover, a trend of combining socialist competition with ecological environmental issues and intervening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based on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politics is observed. Bringing about comprehensive changes in North Korean society, rapid responses to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damage have begun to serve as a gauge, differentiating the Kim Jong-un era from previous ones, and initiating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politics. In addition to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concerns,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politics, which plays a political strategy governing the people, is a unique political strategy characterizing thr Kim Jong-un era.

      • KCI등재

        Implications of North Korean Forest Policy and “Golden Mountain Strategy”

        오삼언,박소영 인하대학교 국제관계연구소 2023 Pacific Focus Vol.38 No.1

        This study analyzes the implications of forest management and golden walks, which are forest policies that have stood out in North Korea since Chairman Kim Jong-un took power. North Korea strategically uses the term golden mountain to mean “forest restoration that contributes to economic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the living standards of its people.” This study emphasizes that the concept of forest use has changed with the introduction and implementation of forest management in North Korea. This study presupposes that since 2019, the Golden Mountain Strategy has evolved into a concept that encompasses not only economic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the national standard of living but also forest restoration, that is, protection of the ecological environment. In addition, this strategy is not limited to forest use policies but also encompasses aspects of national development. It combines “sustainable development” with strategies to protect the ecological environment, develop local economies, and strengthen national status.

      • KCI등재

        남북 산림법 및 정책에 관한 비교 연구

        오삼언,김은희,김경민,박소영 통일연구원 2019 統一 政策 硏究 Vol.28 No.1

        남한은 국유림이 전체 산림 대비 25.5%인 반면 북한의 산림은 대부분 국유림인 소유관계의 차이에서 비롯, 산림조성과 관리 등의 영역에서 북한이 국가주도 방식이라면 남한은 국가감독 방식이라고 정리할 수 있다. 남북 산림법은 차이점만 아니라 공통점도 찾아볼 수 있다. 남북 모두 산림 자원의 이용에 있어서 국가 혹은 지자체의 허가를 받도록 하고 있으며 산림 자원의 중요성을 인정하면서 산림보호 등을 강조하고 있다. 산림보호 등에 있어 국제협력을 강조하는 점도 공통점이다. 남북 산림정책을 살펴보면 1970년대를 남북 산림 정책의 갈림길로 꼽을 수 있다. 남한은 1970~80년대 산림녹화에 성공한 뒤 1990년대에 안정기에 접어들었다면 북한은 이와 반대로 1970~80년대 목재 및 산림자원 개발·이용에 치중하면서 1990년대에 산림황폐화가 본격화되는 시기를 겪었다. 이에 따라 2000년대 이후 남한은 ‘지속가능한 산림경영’, 북한은 ‘황폐산림 복구’라는 각기 다른 산림정책의 목표를 수립, 추진하게 된다. South Korea’s national forests account for 25.5 percent of the total forest land, while North Korea’s forests, on the other hand, are mostly national forests. This is due to differences in ownership structures; in the field of forestation and forest management, North Korea has adopted the state-led method and South Korea has adopted the state supervision method. There are differences in how the two Koreas conduct forest act, but similarities can also be found. Both the South and the North require users to obtain permission from the central or local governments for the use of forest resources,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forest resources and forest protection. Both countries also recognize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forest management is essential. The 1970s can be regarded as a turning point for inter-Korean forest policy. South Korea effectively succeeded in reforestation in the 1970s-1980s and entered stabilization period in the 1990s, while North Korea suffered a period of deforestation in the 1990s as they focused as a consequence of focusing on the excessiv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timber and other forest resources in the 1970s-1980s. As a result, South Korea has pursued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since the 2000s, and North Korea has established and promoted forest policies concentrating on reforesting their deforested forests.

      • KCI등재

        북한 삼지연시 건설의 특징과 의미

        오삼언,박소영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통일인문학 Vol.92 No.-

        이 글은 김정은 위원장의 성과로 꼽히는 삼지연 건설사업의 특징과 의미를 분석하고 삼지연이 지방 건설의 본보기가 된 이유 등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혁명의 성지’로서 ‘김일성, 김정일의 도시’라는 위상을 갖고 있던 삼지연은 건설사업을 통해 ‘김정은의 도시’로 변모했다. 삼지연 건설사업은 2018년부터 본격화됐으며 2021년 말 마무리됐는데 위성영상 사진 등을 분석해보면 건설 계획에 따라 큰 폭으로 변화했음을 알 수 있다. 삼지연은 세 가지 측면에서 김정은 시대의 열망이 새겨지고 업적이 가시화되는 공간이다. 첫째, 삼지연은 임산자원을 활용해 지방공업을 개건하는 지방경제 발전모델이 됐다. 삼지연 특산물인 들쭉 및 감자공장은 ‘지방공업공장의 전형, 기준’이라며 모범으로 내세워지고 있다. 둘째, 삼지연은 관광도시로서 원림화의 본보기가 될 것을 주문받았는데 위성영상 사진을 보면 가로수 교체가 단행됐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삼지연은 산불피해방지정보체계 등이 처음 도입되면서 천혜의 관광자원을 보호하는 조치가 취해진 곳이다. 셋째, 삼지연은 혁명 상징을 강화하는 공간 변화를 보여준다. 김정일 동상과 도로축이 도시의 중심부로 이동한 공간의 변화는 ‘김일성-김정일-김정은’으로 이어지는 체제의 정당성을 환기한다. 삼지연 건설사업을 통해 삼지연은 기존의 ‘혁명의 성지’라는 칭호만이 아니라, ‘산간문화도시의 표준’ 등으로 새롭게 명명되면서 김정은 시대의 업적을 압축적으로 선전하는 공간이 됐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