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신중기 임산부에서 양수내 AFP 측정치

        오보훈,신현태,정순자 대한산부인과학회 199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9 No.5

        1990년 9월부터 1996년 2월까지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산부인과와 오보훈 산부인과에 내원한 임신중기(15주-27주)의 임신부중 MSAFP치가 비정상적으로 높거나 낮았던 경우, 산모 나이가 35세 이상인 경우, 이전에 염색체이상이 있는 아이를 낳은 경우, 부모중에 염색체이상이 있는 경우, Down증후군이나 다른 염색체이상이 가족내에 있는 경우, 초음파검사상 비정상 태아가 발견된 경우, 먼저번 아이가 심각한 기형이 있었거나 자궁내 태아 사망이 있었으나 세포유전학적 검사가 되지않은 임부 등 총 608명을 대상으로 양수천자를 시행하여 AFAFP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임신중기(15-27주)에 AFAFP의 중앙값은 15주에 14,745 ng/ml, 16주에 12,257 ng/ml, 17주에 11,382 ng/ml, 18주에 9,650 ng/ml, 19주에 8,033 ng/ml, 20주에 6,490 ng/ml을 보였으며 임신이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2. 임신주수별 AFAFP치의 정상 상한치(cut-off level)은 15주에 36,863 ng/ml(2.5 MoM), 16주에 36,771 ng/ml(3.0 MoM), 17주에 34,146 ng/ml(3.0 MoM), 18주에 29,550 ng/ml(3.0 MoM), 19주에 28,116 ng/ml(3.5 MoM), 20주에 22,715 ng/ml(3.5 MoM), 21주에 20.591 ng/ml(3.5 MoM), 22주에 22,440 ng/ml(4.0 MoM)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한국여성의 임신중기에 산전 염색체이상과 신경관 결손증을 비롯한 선천성기형의 산전 진단검사로서 AFAFP의 중앙값과 정상범위의 설정은 매우 가치가 있는 것이고 이를 임상적으로 널리 활용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mniotic fluid Alpha-Fetoprotein(AFAFP) levels were measured by radioimmunoassay in pregnant women for variety of indications of amniocentesis from September, 1990 to January, 1996 at Kyung Hee University Hospital and Dr.Oh`s Ob-Gyn Clinic. Median values of AFAFP in Korean pregnant women were 14,745 ng/ml, 12,257 ng/ml, 11,382 ng/ml, 9,750 ng/ml, 8,033 ng/ml and 6,490 ng/ml at 15 weeks, 16 weeks, 17 weeks, 18 weeks, 19 weeks, 20 weeks, respectively, and then it declined gradually as gestational weeks increased. Upper cut-off level of AFAFP was 36,863 ng/ml(2.5MoM) at 15 weeks, 36,771 ng/ml(3.0MoM) at 16 weeks, 34,146 ng/ml(3.0MoM) at 17 weeks, 29,550 ng/ml(3.0MoM) at 18 weeks, 28, 116 ng/ml(3.5MoM) at 19 weeks, 22,715(3.5MoM) at 20 weeks, respectively. This preliminary determination of the median value and the normal range of AFAFP by each gestation week in uncomplicated pregnant Korean women would provide normal cut-off level for prenatal diagnosis of genetic disorders such as neural tube defect.

      • KCI등재

        지속임신에서 시행한 경복식 융모막채취법

        오보훈,임재훈,이동호 대한산부인과학회 199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4 No.6

        1990년 4월부터 1991년 1월까지 경희대학병원 산부인과에 내원한 임신 10~18주사이의 임산부 24명을 대상으로 freehand 초음파유도하에 single needle을 삽입하여 경복식 융모막채취법(TA-CVS)을 시행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총 대상 24례중 22례에서 TA-CVS가 성공하여 융모막채취 성공률은 91.7%이었는데 임신초기에는 21례중 19례(90.5%)에서 성공하였고 임신중기에 시행한 3례에서는 모두 성공하였다. 2. 총 대상 24례에서 바늘삽입횟수는 평균 1.3 0.4회이었으며 TA-CVS가 성공한 22례중 1회 바늘 삽입으로 성공한 경우가 17례(77.3%)이었다. 3. 총 대상 24례중 태반의 위치가 자궁전벽에 있었던 경우가 16례(66.7%), 자궁후벽에 위치한 경우가 4례(16.7%), 자궁저부에 위치한 경우가 4례(16.7%)이었다. 4. TA-CVS가 성공한 22례에서 채취된 융모막 양은 평균 10.2 6.9 mg이었는데 임신초기에 18 gauge바늘을 사용한 19례에서는 평균 11.4 6.8 mg, 임신중기에 20 gauge 바늘을 사용한 3례에서는 평균 3 mg이었다. 5. TA-CVS가 성공한 22례중 5 mg이상의 충분한 융모막을 채취하여 직접법과 배양법을 동시에 시행할 수 있었던 경우가 15례(68.2%)이었고, 5 mg미만을 채취하여 배양법만을 시행한 경우가 7례(31.8%)이었다. 6. TA-CVS를 시도한 24례중 현재까지 태아손실은 한 예도 없었다. 결론적으로 TA-CVS는 경질식 융모막채취법(TC-CVS)과 더불어 임신초기의 산전진단에 유용하게 시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TC-CVS가 불가능한 때에도 TA-CVS를 시행할 수 있는 경우가 있으므로 전반적인 융모막채취 성공률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ransabdominal chorionic villus sampling(TA-CVS) has been carried out in twenty-four pregnant women at Kyung Hee University Hospital from April, 1990 to January, 1991. We present here our technique and clinical experience with TA-CVS. We have performed TA-CVS using a single aspiration needle under the freehand ultrasound guidance. Twenty-four pregnant women underwent TA-CVS between 10 and 18 weeks of gestation. Sampling was usually carried out at the tenth or eleventh weeks of gestation. TA-CVS was successful in 22 of 24 pregnant women, a success rate of 91.7%. The amount of chorionic villi obtained by TA-CVS was 10.2 6.9 mg and sufficient chorionic villi( 5 mg) were obtained from 15(68.2%) of the 22 successful TA-CVS cases. The mean number of needle insertion was 1.3 0.4 and in 77.3%(17/22) of the successful sampling only a single needle passage was required. To date, no fetal loss was observed in this TA-CVS program. We conclude that TA-CVS is a potentially useful technique in case of unfavorable anatomic and clinical conditions for safe transcervical chorionic villus sampling.

      • KCI등재

        한국인에서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하여 혈액응고 인자 Ⅷ 유전자의 Bcl I 및 Hind Ⅲ 다향성분석에 의한 이형접합체 빈도

        오보훈,유회현 대한산부인과학회 199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0 No.4

        Objective : The study was conducted to calculate the heterozygote frequencies of factr Ⅷ gene in Korea, using two PCR-RFLPs(intron 18-Bcl I ploymorp[hism and intron 19-Hind Ⅲ polymorphism). Study Design : Twenty six women and five men were examined. Each segment of genomic DNA in intron 18 and intron 19 was amplified with polymerase chain reaction, digested with the Bcl I and Hind Ⅲ, respectively. The heterozygote frequencies were calculated from the allele frequencies observed in each PCR-RFLP. Results : The Bcl I polymorphism of the factor Ⅷ gene was detected on agarose gel as segments of 434 bp and 286 bp/148 bp, respectively, The heterozygote frequency calculated from the allele frequencies(0.75/0.25) observed in intron 18-Bcl I polymorphism was 38%. In case of intron 19-Hind Ⅲ polymorphism, two allele system with polymorphic bands of 250 bp and 160 bp/;90 bp was detected on polyacrylamide gel. The heterozygote frequency calculated from the allele frequencies(0.81/0.19) observed in intron 19-Hind Ⅲ polymorphism was 31%. Thus, the two intragenic polymorphism predicted to be informative was 57% in this study. Conclusion : Multipoint linkage analysis using multiple PCR-RFLP provides highly useful method for the detection of the heterozygote of factor Ⅷ gene.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