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동차 사이드미러의 유동 해석을 통한 융합연구

        오범석,조재웅 한국융합학회 2019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0 No.9

        This study examines the flows near the different side mirrors by analyzing the flow due to air resistance at A, B and C models of automotive side mirrors. Model A is a square-shaped side-mirror. Model B is a triangular side-mirror and model C is an oval-shaped side-mirror. The air resistance of the side-mirror while driving is reduced and the automotive power can be reduced by changing the design of automotive side-mirror. As analysis result, as the pressure of air resistance against side mirror becomes larger, it can be seen that the air flow rate becomes great. Therefore, it can be estimated that the smaller the pressure of air resistance, the smaller the flow rate and the better the air flow. Therefore, it can be acknowledged that model B is the best model. As the design data of the automotive side mirror obtained on the basis of this study result are utilized, the esthetic sense can be shown while driving a car at real life. 본 연구에서는 A, B, C 3가지 자동차 사이드미러 모델들에 있어서의 공기 저항으로 인한 유동을 분석을 함으로서 다양한 사이드미러들 주위에서의 흐름을 연구한다. 모델 A는 사각형 모양의 사이드미러이고, 모델 B는 삼각형 모양의 사이드미러, 모델 C은 타원형 모양의 사이드미러이다. 자동차의 사이드미러의 설계를 변경함으로서 운전 시 좀 더 사이드미러의 공기저항을 줄여서 약간의 자동차의 동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해석 결과로서, 사이드미러에 대한 공기저항의 압력이 클수록 공기 유동속도가 큰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러므로 공기저항의 압력이 작을수록 유동속도가 작고 공기가 더 잘 유통된다고 판단된다. 그러므로 Model B가 가장 좋은 Model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얻은 자동차 사이드 미러의 설계데이터를 활용함으로서 실생활에서의 자동차 운전시에 그 미적 감각을 나타낼 수 있다.

      • KCI등재

        차종별 차량 옆문의 충돌 해석에 관한 융합 연구

        오범석,조재웅 한국융합학회 202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1 No.4

        본 연구에서는 현재 전복 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Model A와 Model B의 중형 세단 차량들의 사이드 도어들을 구조 해석으로 서로 비교한다. 구조해석 결과, 두 모델 모두 전복 사고나 충격 시 하중이 작용되는 부분에서 최대 변형 이 일어났고 2개의 모델 중 Model A가 Model B와 비교하면 충격력을 더 견딜 수 있다. 또한 도어의 모서리 부분에서 최대 응력이 일어났고 Model B가 Model A보다 2.5 배 더 응력이 커진다. 충돌 사고가 일어날 시, 2개의 모델 중 그 최대 응력이 작은 Model A가 Model B와 비교하면 더 큰 충격력을 견딜 수 있다. Model B가 Model A보다 더 큰 변형량을 갖는 것으로 보아 측면 충돌 사고에서는 Model A보다 위험할 것으로 사료된다. 차종별 차량 옆문의 충돌 해석을 적용함으로서 본 논문에서의 연구 결과는 미적인 설계를 적용할 수 있는 융합 연구자료로서 유리하다고 여겨진다. In this study, the side doors of mid-size sedan vehicles of models A and B which are currently prone to rollover accidents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by the structural analyses. As a result of the structural analysis, both models showed the maximum deformation at the point of overturning or impact load, and the model A of the two models was able to withstand greater impact load compared to the model B. In addition, the maximum stress happened at the door edge, and model B was 2.5 times more stressed than model A. In the accident of a crash, model A, which has the smaller maximum stress, is able to withstand greater impact loads than model B. Since model B has a larger deformation than model A, it is considered to be more dangerous than model A in the side impact accident. By applying the impact analysis of automotive side door by the class of vehicle, the study result at this paper is considered to be favorable as the convergent research material which can apply the aesthetic design.

      • KCI등재

        자동차 에어 브리더의 형상에 따른 유동해석을 통한 융합연구

        오범석,조재웅 한국융합학회 2018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9 No.10

        본 연구에서는 차체의 Air Breather 형상에 따른 유동 해석을 통해 진행되었다. 유동이 차체에 미치는 저항력이 연구됨에 따라 전력 감소를 줄일 수 있다고 발표되고 있다. Air Breather 내부의 압력을 평가할 때 차체 내부의 유속을 높일 수 있도록 효율에 대한 연구가 되어 있다. 총 5가지 모델에 있어서는, 형상에 따라 공기 저항과 압력이 다르게 일어나며 측류 공기의 압력이 변하는 것이 보인다. 본 연구 결과는 ANSYS 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해석 하였으며, CATIA V5 모델링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 모델을 모델링하였다. Air Breather 형상의 곡면이 많아지면 공기 유동 속도가 균일하게 분포하는 것을 고찰하였다. Air Breather의 공기 저항 및 유량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여 에어 브리더 설계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설계방법으로 사료된다. 또한 차량의 에어브리더 형상 설계를 통하여 제품 설계 시 디자인과의 융합을 통하여 미 적인 감각을 나타낼 수 있다. In this study, the flow analysis due to the car body configuration of air breather was carried out. As the resistance force whose flow affects car body has been studied, it is published that the electricity can be decreased. When the inner pressure of air breather is evaluated, there is the study of efficiency in order to raise the flow rate of inner body. At a total of five models, it is shown that the air resistance and pressure happen differently and the air pressure of side flow is changed. This study result was analyzed by using the analysis program of ANSYS, a study model was modelled using the CATIA V5 modelling program.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air flow rate was distributed uniformly as the curved surface of air breather configuration increases. It is thought as the most effective design method to design the air breather by considering the effect on the air resistance and flow. Also, through the design of the vehicle's airbrid configuration, the design of the product can incorporate a aesthetic sense into the design.

      • KCI등재

        자동차에서의 공기의 유입구에 따른 유동해석에 관한 융합 고찰

        오범석,조재웅 한국융합학회 202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1 No.5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에서의 공기의 유입구에 따른 자동차 내부에서의 유동 해석을 하였다. 공기가 들어오는 유입구로서 쾌적성이 좋은 조건으로서는 유입구가 자동차의 상단 중간이나 전방위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차량 내부에 공기 유동의 고르게 분포가 안되는 경우는 자동차의 하단 위치가 유입구의 모든 조건들 중에서 가장 저조한 조건하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탑승자의 기호나 상황에 맞게 공기의 유입이 되도록 그 유입구의 위치를 조절하므로서 자동차 내부의 상태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의 설계 및 해석 결과는 실제적으로 자동차에서의 공기의 유입구의 위치를 조절하는 데에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자동차에서의 공기의 유입구에 따른 유동해석을 적용함으로서, 본 논문이 미적인 설계에 부합된 융합 연구라고 보여진다. In this study, the flow analysis of air in the inner side of vehicle due to the position on inlet port of air at car was carried out. Under the comfortable condition as the inlet port in which the air flows,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at the inlets became the upper and middle sides or the forward side of the vehicle. If the air flow is not evenly distributed within the vehicle, the lower position of the vehicle is the lowest condition among all condi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to keep the inner state of the vehicle pleasant by adjusting the location of the inlet to suit the passenger's taste or situation. The design and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effectively applied at adjusting the location of the inlet at car. By applying the flow analysis according to the inlet port of air at car, this paper is seen as the convergence study that conforms to aesthetic design.

      • KCI등재

        사이드 볼스터의 강도 해석을 통한 융합 연구

        오범석,조재웅 한국융합학회 202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1 No.1

        Side bolster is a part of the vehicle seat that holds the passenger's body from the side to make it more stable when the passenger is seated in the seat. In this study, the structural and fatigue analyses of the side bolsters at a car seat were carried out with two models of A and B. The heavily loaded parts, the damage by fatigue at driving a car and the difference of durability due to the structure were examined and the distributions of stress and deformation, and the fatigue lives were seen. Also, the strength and durability were examined. This study result is thought to be devoted to decrease the fatigue damage and increase the fatigue life and durability according to the design of bolster. This result is able to improve the product by applying the design of automotive side bolster practically. And it is thought to be the advantage to apply this study result to the convergence research with esthetic sense. 사이드 볼스터는 자동차 시트에서 탑승자가 시트에 착석하였을 때, 더욱 안정성을 줄 수 있도록 옆에서 탑승자의 몸을 잡아주는 부품이다. 본 연구에서는 A, B 두 가지의 모델을 가지고 자동차 시트에서 사이드 볼스터에 대한 구조 및 피로해석을 수행하였다. 하중이 많이 실리는 부분과 자동차 운행 시 피로로 인한 파손 및 구조에 따른 내구성의 차이를 연구하였고 응력, 변형량의 분포 및 피로 수명을 알아보았으며 또한 그 강도 및 내구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사이드 볼스터의 설계에 따라 피로 파손을 줄이고 그 피로 수명 및 내구성을 증가할 수 있는 데 기여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본 결과를 자동차 사이드 볼스터의 설계를 실제적으로 적용함으로서 제품을 향상시킬 수 있고 본 연구 결과를 미적 감각을 가진 융합 연구에 응용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사료된다.

      • KCI등재

        피스톤 헤드의 형상에 따른 열응력 해석에 관한 융합 연구

        오범석,조재웅 한국융합학회 202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1 No.7

        In this study, thermal stress analysis by shape of piston head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hape of a durable piston. As the result, the farther the temperature is from the part where the temperature is applied, the lower the temperature can be seen.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piston head, the heated area became different. So, it could be seen that it affected the piston column part and the skirt part. This study showed that three models produced the least stress from the center of the piston head in the same way. Model A showed the smallest stress resulting in the yield compared to the other two models. Model B is a plate type piston head with a concave shape of the piston head, indicating that it is the model that has the least effect on the surrounding area at the center of the piston head. Model C showed the greatest stress resulting from the yiel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lso thought to be useful for designing the shape of durable pistons. By utilizing the thermal stress analysis due to piston head shape, this study is thought to conform with the aesthetic design. 본 연구에서는 피스톤 헤드의 형상별 열응력해석을 진행하여 내구성이 있는 피스톤의 형상을 고찰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로서는 온도가 가해지는 부분에서부터 거리가 멀수록 낮은 온도를 볼 수 있다. 피스톤 헤드의 형상에 따라 열을 받는 면적이 다르기 때문에 피스톤 기둥 부분과 스커트부에 영향을 끼치게 된 점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세 모델이 동일하게 피스톤 헤드의 중심부에서 가장 적은 응력이 나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Model A는 다른 두 모델에 비해 항복이 발생하는 응력이 가장 작은 것을 알 수 있었다. Model B는 접시형 피스톤헤드로서 피스톤 헤드부가 오목한 형상으로 되어 있어 피스톤 헤드 중심부에서는 주변 부분에 영향을 가장 덜 끼치는 모델임을 알 수 있었다. Model C는 항복이 발생하게 되는 응력이 가장 크게 보였다. 또한 본 연구결과는 내구성이 있는 피스톤의 형상 설계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피스톤 헤드의 형상에 따른 열응력 해석을 적용함으로서, 본 연구가 미적인 융합에 부합된다고 사료된다.

      • 여성요도구협착의 수술적 교정

        오범석,김도완,오철규,노안식,박석산 白中央醫療院 2005 仁濟醫學 Vol.26 No.1

        Objective: We describe various clinical presentations of female urethral meatal stricture, which may mimic other pelvic floor disorders and result in diagnostic delay. Diagnosis, management, and outcome results are reported Materials and Methods: We reviewed retrospectively 26 consecutive cases of female urethral meatal stricture. Patient characteristics, history, clinical presentation, symptom score, maximal flow rate, residual urine, diagnosis, management and short-term follow up are reported. Results: Mean patient age plus or minus standard deviation was 54 years. Most 21 (81%) cases were referred as diagnostic dilemmas with symptoms present for 1 month to 30 years. Mean interval between onset of symptoms to diagnosis was 5.8 years. The most common symptoms were residual urine sensation (77% of cases), frequency (54%), pelvic pain (46%), dysuria (46%), weak stream urine (27%), urgency (15%) and 17 patients (65%) have combined symptoms. 16 patients (62%) had been treated with oral and/or vaginal medication and/or psychotherapy. The female urethral meatal stricture was visible on physical examination in 21 patients (81%) and cystoscopy in 5 patients (19%). Of these visible urethral meatal stricture, 11 patients (45%) contained recurrent urinary tract infection, 9 patients (35%) contained urethral mucosal prolapse, 7 patients (27%) contained urethral diverticulum, and 3 patients (12%) contained stress urinary incontinence. 18 patients (69%) who has been treated with oral and/or vaginal medication or psychotherapy was not successfully improved. Treatment consist of urethral meatal excision and/or everted urethral mucosal excision and/or urethral diverticulum excision and/or anti-incontinence surgery when indicated. Subsequently 24 patients (92%) had improved symptom score, but 2 patient was not changed. In 9 patients new symptom developed. Conclusions: Female urethral meatal stricture have several urinary symptoms and may mimic other pelvic floor disorders. This condition should be considered in women with frequency, residual urine sensation, pelvic pain, dysuria and etc. Medical treatment is not sufficient but surgical treatment is usually simple, safe and effective in alleviation associated symptoms.

      • KCI등재

        차량 창문 개폐에 따른 내부에서의 유동 해석으로의 융합적 고찰

        오범석,조재웅 한국융합학회 202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1 No.2

        In this study, the pleasant driving environment of the driver and passenger in the summer was investigated through the internal flow analysis of air due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ar windows. The conditions on the entrance of the air conditioner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status of vehicle window were applied to the flow analysis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actual driving environment. The automotive air conditioning outlet, the seat and the inside of car were modeled. As the air flow inside the car was analyzed, the air flow configuration and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were examined. In this analysis, the results were taken in consideration of only the effects of internal air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f window, assuming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s insulation. The analysis of each condition shows that these models maintain a pleasant environment. It is seen that this analysis result on the internal flow analysis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vehicle window can be applied by converging with the field of design.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 창문의 개폐에 따라 공기의 내부 유동 해석을 통하여 여름철에 운전자와 동승자의 쾌적한 운전환경을 고찰하였다. 실제 운전 환경을 고려하여, 자동차 창문 개폐 상태로서의 에어컨 입구 조건들을 유동 해석에 적용하였다. 자동차 에어컨 토출구, 시트 그리고 실내를 모델링하였고, 차 내부에서의 공기유동을 해석하여 공기의 유동형상과 내부의 온도분포를 확인하였다. 본 해석에서는 공기 유입부와 배출구를 정하고 자동차 내부를 단열상태로 가정하고 내부공기와 창문 개폐의 영향만을 고려해서 결과를 보았다. 각 조건들의 해석을 고찰해보면 본 연구 모델들이 쾌적한 환경이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차량 창문 개폐에 따른 내부에서의 유동에 대한 본 해석 결과는 디자인 분야에 융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고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