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피드백 및 학생실수에 대한 중등교사의 인식과 피드백 수행의 관계

        오문정,박용한 한국교육방법학회 2020 교육방법연구 Vol.32 No.2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secondary-school teachers’ feedback practice, beliefs about feedback, and beliefs about student error by their teaching subject field. In addition, the study explored how teachers’ beliefs about feedback and student error predicted their feedback practice. For those purposes, data from 294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rts and PE teachers performed more ‘non-teacher feedback’, put more importance on ‘timeliness of feedback’ and ‘self-regulated feedback’, and showed a higher level of ‘competence about student error’ and ‘reflection about student errors’ tha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teachers. Second, teachers’ belief about feedback as ‘accountability’ positively predicted all four types of feedback practice (i.e., non-teacher feedback, formative feedback, protective evaluation feedback, and parent reporting feedback). Third, teachers’ belief about feedback as ‘learning improvement’ negatively predicted ‘teacher protective evaluation feedback’. Fourth, teachers’ tendency of covering up student errors positively predicted ‘non-teacher feedback’, whereas teachers’ perception of student error as strain positively predicted ‘protective evaluation feedback’ and ‘formative feedback’. Also, teachers’ challenging attitude toward student errors negatively predicted ‘parent reporting feedback’.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e importance of teachers’ perception of feedback as their primary role and showed that teachers’ feedback practice would be affected by how they perceived student errors.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eachers should enhance their awareness about the positive effects of feedback and error in teaching and learning situations in order to increase various forms of teachers’ feedback practice. 본 연구는 중등교사의 전공계열에 따른 피드백 수행, 피드백 인식, 학생실수 인식에서의 차이를 살펴보고, 피드백 및 학생실수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이들의 피드백 수행을 어떻게 예측하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3개 도시 중·고등학교 교사 294명으로부터 수집한 설문 결과를 일원분산분석 및 중다회귀분석 등의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체능 계열 교사가 인문·사회 계열 교사보다 비교사 피드백 수행을 많이 하고, 자기조절 피드백과 피드백의 적시성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학생실수에 대한 유능감과 고찰 수준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피드백에 대한 책무성 인식은 4가지 유형의 모든 피드백 수행(비교사, 형성적, 의례적, 학부모 피드백)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셋째, 피드백에 대한 학습향상 인식은 의례적 피드백을 부적으로 예측하였다. 넷째, 학생의 실수를 숨기려는 교사의 태도는 비교사 피드백을 정적으로 예측하였고, 학생실수에 대한 부담은 형성적 피드백과 의례적 피드백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또한 학생실수에 대한 도전적인 태도는 학부모 피드백을 부적으로 예측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중·고등학교 교사들이 피드백을 교사의 역할로 인식하는 것의 중요성을 확인해 줄 뿐만 아니라, 교사가 학생의 실수를 어떻게 인식하는지에 따라서도 피드백 수행에서 차이가 나타난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피드백을 더욱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교수·학습 상황에서의 피드백 및 실수가 가진 긍정적인 효과에 대해 먼저 교사의 인식을 제고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입양에 대한 인식유형 연구

        오문정 숙명여자대학교 아동연구소 2019 兒童硏究 Vol.31 No.1

        본 연구는 입양에 대한 주관적 인식을 알아보고 입양가족을 바라보는 시각의 차이를 유형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여성을 중심으로 입양에 대한 인식의 유형을 구분하여 살펴보기 위해 Q방법을 사용하였다. Q표본 은 입양과 관련된 문헌고찰과 인터뷰, 자조모임을 통한 주호소등을 통하여 최종 33개를 선정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P-sample은 일반 성인여성으로 총 30명이다. 자료분석은 QUANL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주요인분석을 실시하고 관련 유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입 양에 대한 인식유형은 4가지로 유형1은 입양에 대한 긍정적인 호감과 솔직 담담하게 공개를 선호하는 ‘공개 입양 추구형,’ 유형2는 비밀입양으로 무덤까지 비밀유지 하도록 조심하는 ‘비밀입양 추구형,’ 유형3은 낳은 정보다 가슴으로 기른 정을 중요시하는 유형으로 ‘피보다 진한 가족 추구형,’ 유형4는 아동의 환경과 입양부 모에 대한 감독으로 안전을 중시하는 꺼진 불도 다시 보는 ‘안전 추구형’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adoption and to classify the difference of perspective of adopting family. In particular, Q method was used to classify the type of perception of adoption centered on women. The Q sample was selected through interviews related to adoption, interviews, and main appeals through self-help groups. The P-samples that participated in the study were 30 adult women.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using QUANL program and the related type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re are 4 types of recognition about adoption. Type 1 is a positive type of adoption, and ‘open type’, Type 2 is a secret adoption ‘keep secret until the grave type’. Type 3 is the type of information that gives birth to chest, ‘thicker than the blood type’ as the type that cares for the chest, type 4 is ‘the safety of the child’s environment and supervision of the adoptive parents safety-Respectively’.

      • KCI등재

        초・중등학교 학생의 가치와 학업 변인 간 관계 탐색

        오문정(Moonjeong Oh),고한나(Hanna Ko),박용한(Yonghan Park) 한국교육방법학회 2024 교육방법연구 Vol.3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과 중・고등학생들이 중요시하는 가치가 무엇인지 탐색하고 이 시기 학생들의 학업 관련 변인 및 성취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학생 403명, 중등학교 학생 540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주요 변인들에 대한 기술통계, 상관분석과 더불어 초등 및 중등학교 학생 간 비교를 위하여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고, 가치가 학업 관련 주요 변인들을 어떻게 예측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및 중등학교 학생들의 가치 우선순위는 개방성, 자기초월, 보수주의, 자기고양의 순으로 동일하게 나타났다. 둘째, 초등 및 중등학교 학생들 모두에게서 긍정적인 학업 관련 변인을 개방성 상위가치는 정적으로 예측한 반면 자기고양 상위가치는 부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개방성 상위가치에 속하는 자기주도-사고 가치가 높을수록 학업 관련 변인도 일관되게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학생들에 비해서 중등학교 학생들의 경우 자기주도-행동 가치가 학업 관련 변인을 정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초・중등학생들이 자신의 삶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가치가 이들의 학업에서도 의미 있는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또한, 교육 현장에서는 학생들의 학업 증진을 위해 이들이 개방적이고 자기주도적인 가치를 함양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하며, 학생들의 발달 단계에 따라 학업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가치가 달라질 수 있음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values that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consider important and to examine the role of academic variables and achievements of students during this period.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from primary (n=403) and secondary (n=540) school students. To analyze the primary variables,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al analyses were conducted, and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utilized to compare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while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how values predict key academic-related variable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prioritized values for primary and secondary students appeared in the order of openness, self-transcendence, conservation, and self-enhancement. Second, while openness as a higher-order value positively predicted favorably academic variables for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self-enhancement was found to negatively predict them. In particular, the higher the self-determination-thought value as a sub-values of openness, the more consistently positive the academic variables were. Third, self-determination-action was found to more positively predict academic variables for secondary students than for primary stude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values that they consider important in their lives play a meaningful role in their academic pursuits. Furthermore, in educational settings, efforts should be made to foster the values of students’ openness and self-determination to enhance their academic performance, and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at the values helpful for academic achievement may vary depending on students’ developmental stages.

      • KCI등재

        중학생의 공격성과 사이버 비행 간의 관계에서 친구관계의 조절효과

        박혜경,오문정,신은정,이유라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2022 중등교육연구 Vol.70 No.1

        In this study, we assumed that the time when various communications and participation as a digital native began to be experienced in the cyber space is the middle school and analyzed how friendship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ggression and cyberspace delinquency. To this end, we used the 2st panel data of KCYPS 2018.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major variables, a significant correlation has been confirmed similar to that suggested in previous studies. Among the variables of cyberspace delinquency, aggression, and friendship,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negative friendships, and among the variables of positive friendship, positive friendship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other variables.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ggression and cyberspace delinquency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degree of positive friendship functioned as a moderating effect. Third, the degree of negative friendshi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ggression and cyberspace delinquency of middle school student was suctioning as a moderating effect. As the study shows, it could be predicted that the friendship of middle school students moderates the possibility of cyberspace delinquency. The result suggest that the importance of offline friendship has increased to prevent cyber delinquency, given that the use of smartphone has rapidly increased due to COVID-19.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