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틸리피아에서 분리한 Edwardsie tarda 의 성상과 항원성에 대하여

        오명주,전세규 한국어병학회 1988 한국어병학회지 Vol.1 No.2

        1987年 3月 釜山水産 大學 魚病學 實驗室에서 飼育 中이던 틸라피아 (Oreochromis niloticus)에 細菌性 疾病이 發生하여 慢性的으로 몇마리씩 斃死하였다. 本 硏究는 이러한 疾病의 原因을 밝히기 위하여 原因菌을 分離하였으며, 型態的, 生化學的 性狀을 觀察하고 病原性, 藥劑感受性 實驗을 하였으며 試驗抗原을 制作하여 그 抗原性을 조사하였는바, 그 結果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病魚에서 分離된 原因菌은 Edwardsiella tarda로 同定되었다. 2. 分離菌을 틸라피아에 접종하여 再現性實驗을 한 結果 전형적인 E. tarda의 감염증상을 나타내고 死亡했으며, 魚類로부터 同一菌을 얻을 수 있었다. 3. 分離菌은 oxytetracycline에서 感受性이 높았고, MIC는 6.9로 나타났다. 4. 分離菌은 病原性이 강한 菌이었으며, 48-LD5O은 10^(6.4)cell/fish 이었다. 5. 試驗抗原으로, 포르말린사균항원, 초음파처리항원, 균여과액항원을 사용하였으며, 이 세가지를 사용한 抗原性試驗 결과 포르말린사균항원의 시험구에서 높은 응집가와 방어력을 나타내었다. In March 1987, a bacterial disease occured among cultured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in the aquarium of Fish Pathology Laboratory of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The diseased fish showed abdominal inflamation of ascites. The causative organisms isolated from the kidney were Gram negative rods. On SS agar colonies developed within 48 hours at 25℃. On the basis of the morphological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the organisms were identified as Edwardsiella tarda. They were sensitive to chloramphenicol, ampicilline and oxytetracycline. The pathogenicity was proved positive by intraperitoneal injection. Three kinds of antigen were prepared with E. tarda for the immune response in tilapia : i.e., by inactivating the strain with 0.4% formalin for 24 hrs at 25℃ ultrasonicating it 3 times with 5 watts for 30 seconds each time and filtrating it through millipore filter. The formalin killed antigen showed good efficacy at the injection concentration of over 10^7 cells per fish of 50g. All the immunized tilapia showed only a little agglutination titer to the three antigens. The highest survival rate was recorded in challenged tilapia immunized with formalin killed cell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ELISA 법을 이용한 연어과 어류의 RVS 검출

        오명주,길수수 한국어병학회 1996 한국어병학회지 Vol.9 No.2

        연어과 어류의 이상유영 원인 바이러스 RVS의 ELISA법에 의한 신속 진단 방법을 개발하였다. 주화세포를 이용한 바이러스 배양액 및 감염 무지개송어의 뇌조직 마쇄액을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바이러스 배양액을 이용한 ELISA법의 검출 감도 조사에서 최소 바이러스 감염가 검출 한계치는 10^(2.6) TCID_(50)/100 ㎕ 이었다. 또한, 인공감염어의 뇌조직 마쇄액 내의 RVS 항원도 검출 되었다. 본 방법은 현장에서의 RVS 감염어 조사에 효과적으로 사용되어질 수 있는 방법으로 생각 되어진다. An indirect double antibod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was developed for rapid detection of a new virus isolated from abnormally swimming salmonid fish, RVS (Retrovirus of salmonid). Results using brain tissue homogenates, and infected cell cultures are described. The sensitivity of the methods is 10^(2.6) TCID_(50)/100 ㎕ of the examined cell culture fluid. The specificity was confirmed by the ELISA inhibition test and virological examinations. Viral antigen could be detected in artificially infected fish tissue homogenates. The assay will allow the diagnosis of RVS-infected fish within a day.

      • KCI등재
      • KCI등재

        오존처리법에 의한 양어용수 살균에 대하여 : 1 . 해산어류 병원세균의 오존 감수성 1 . Susceptibility of Some Fish-Pathogenic Bacteria Isolated From Cultured Marine Fish

        오명주,김흥윤,조현서 한국어병학회 1999 한국어병학회지 Vol.12 No.1

        해수중 잔류옥시던트(TRO) 농도를 0.1, 0.3 및 0.5 ㎎/liter로 조정하고 시간 경과에 따른 농도의 안정성을 관찰한 결과 0.1 ㎎/liter의 경우 측정 20분까지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고, 0.3 및 0.5 ㎎/liter 에서는 1시간 경과시까지 안정하였다. 해수를 오존처리하여 해수중에 생성되는 TRO를 이용하여 해산어류 병원세균인 Edwardsiella tarda, Vibrio sp., Streptococcus sp., Staphylococcus sp.에 대한 살균효과를 실험한 결과 0.1 ㎎/liter에서 3분간의 처리로 99.9% 이상, 0.3∼0.5 ㎎/liter에서는 30초에서 1분간의 반응시간으로 99.99% 이상이 살균되어졌다. The disinfectant effects of total residual oxidants (TROs) produced by ozonization of natural sea water were investigated against fish pathogenic bacteria isolated from flounder and red seabream. The concentration of 0.1 ㎎ TROs/liter was stable for 20 min in filtered natural seawater, and those of 0.3 and 0.5 ㎎ TROs/liter were also stable for more 1 hr. Disinfectant effects of TRO against Edwardsiella tarda, Vibrio sp., Streptococcus sp. and Staphylococcus sp. were observed with a concentration of 0.1 ㎎/liter for 180 sec, and the treatment killed more than 99.9% of bacterial cells. With TROs of 0.3 to 0.5 ㎎/ liter, the viable cells of the bacteria were reduced by more than 99.99% in 60 sec.

      • KCI등재

        양식산 넙치 치어로부터 분리한 버나바이러스의 Marine Birnavirus ( MBV ) 와 Infectious Pancreatic Necrosis Virus ( IPNV ) 와의 연관성

        오명주,김형락,정성주 한국어병학회 1999 한국어병학회지 Vol.12 No.1

        1998년 12월에서 1999년 3월에 걸쳐 바이러스의 감염에 의한 넙치 치어의 대량 폐사가 일어났다. 감염어 샘플을 CHSE-214에 접종한 3일 후부터 세포의 구형화, 용해를 특징으로 하는 CPE가 나타났으며, 전자현미경 관찰에서는 크기가 52-56 ㎚의 구형의 바이러스입자가 세포질 내에서 관찰되었다. RT-PCR에 의한 버나바이러스 특이적 검출의 결과 양성이었다. 어류주화세포를 이용한 바이러스 배양 특성을 확인한 결과 분리바이러스는 MBV와 유사한 세포선택성을 나타내었으나 IPNV와는 세포내 배양특성이 다르게 나타났다. 바이러스 중화 시험에서 항MBV Y-6혈청과 완전히 중화되었으나, IPNV Ab, Sp, VR-299치 항혈청과는 중화 항체가가 낮게 나타나났다. 본 바이러스는 한국의 넙치에서 분리된 IPNV와 다른 새로운 버나바이러스로서 marine birnavirus(MBV)에 속한다. Since 1998, mass mortality of the Japanese flounder has widely occurred in the south and west coastal area of Korea. A new serotype birnavirus was isolated during the investigation of the cause of the disease. By the electromicroscopic examination, the isolated virus particles appeared hexagonal and unenveloped with an average diameter 52 to 56 nm. Birnavirus specific fragment was amplified by RT-PCR. High yield of virus (10.3 to 10.8 log TCID_(50)/㎖) was produced in CHSE-214. RTG-2 and RTE-2 cells. Typical birnavirus CPE was observed in these cells. On the contrary, the virus CPE was not shown in the FHM and EPC cells. By a cross-neutralization test with IPNV Ab, IPNV Sp, IPNV VR-299 and MBV Y6, the isolated virus was closely related to marine birnavirus (MBV).

      • KCI등재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해수내 어류 병원바이러스 농축법

        오명주,김형락,김흥윤,여인규,정성주,김석렬 한국어병학회 2000 한국어병학회지 Vol.13 No.1

        해수중에 소수로 분포하는 어류 병원 바이러스의 검출을 목적으로 해산어류 병원바이러스의 일종인 marine birnavirus (MABV)를 대상으로하여 한외 여과막과 centricon을 이용한 농축효과를 바이러스의 주화세포내 감염에 의해 형성되어지는 CPE (cytopathic effect) 출현에 근거한 바이러스 감염가 측정법인 TCID_(50) 계수법 및 주화세포상의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형성되어지는 plaque 계수법을 통해 검토하였다. 바이러스 희석액 시료 20 L를 1차 중공사한외여과막으로 3 시간 가동하면 200배로 농축되어지고, centricon으로 2차 농축하여 최초 시료 대비 20,000배 (최종량: 1 ㎖)로 농축가능하였다. 바이러스 회수율은 농축 전 바이러스 감염가와 비교하여 TCID_(50)치로서는 94.4%, plaque 계수법으로는 88.7%를 나타내었다. 중공사 한외여과막과 centricon을 이용한 본 농축법은 해수내 바이러스의 검출을 위한 효과적인 농축방법으로 수계 바이러스 연구에 이용되어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졌다. A method was developed for concentrating fish pathogenic virus from sea water using membrane ultrafiltration system and centricon. The method consists of passing large volumes (Ca. 20 liter) of sea water through ultrafiltration (PAN) filter followed by cross-flow filtration method and centrifugation use the centricon (Plus-20). This procedure permitted the processing of 20 liter of sea water which resulted in a 20,000-fold reduction in the volume of water and greater than 90% recovery of the seeded MABV.

      • KCI등재

        원발성 난관선암 3 예

        오명주,백경돈,형남규,고영훈,김남용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7

        원발성 난관암은 발생빈도가 낮지만 국내에서도 사례들이 보고 되고 있다. 발생요인 및 임상증상이 모호하여 조기에 적절한 처치가 어렵다. 비정상 질출혈이 있을경우에 자궁경부 및 내막검사를 시행하여 난관암과의 관련성을 고려해 볼수도 있으나 크게 의존할 바는 못된다. 하복부동통이나 골반종괴가 촉지될 경우 다른 골반내장기 질환과의 연관성을 배제한다 해도 난관암으로 진단을 유추하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질세포진검사나 초음파검사는 난관암에 대한 특이성이 없으므로 임상적 유용성에 한계가 있다. 최근에는 도플러 초음파를 이용한 방법이 일부 문헌에서 보고 되었지만 신뢰성이 부족하다. 그외 여러 다양한 보조적인 방법들이 있으나 진단에 대한 특이성이 없다. 주 치료법은 수술이며, 필요시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한다. 따라서 본 저자들은 현재까지는 주목할만한 난관암의 조기진단방법이나 집단검진법등이 부족하며, 골반내 악성종양이 의심 되지만 발생부위가 확실치 않거나 악성 난소종양이 의심스러울때는 난관암에 대한 주의가 필요 하다고 본다. Primary carcinoma of fallopian tube is very rare and account for approximately 0.3-1.1% of all gynecological malignancies. The most frequent symptom is atypical vaginal bleeding, and the history and behavior are similar to those of the ovarian carcinoma. The predominant cell type of carcinoma of the fallopian tube is adenocarci-noma. We experienced three cases of this type of carcinoma of the fallopian tube between 1990 and 1992, and we report with brief review of literatures concerned.

      • KCI등재

        넙치의 생존과 생리상태에 미치는 오존의 급성 독성

        오명주,김흥윤,정성주 한국어병학회 1999 한국어병학회지 Vol.12 No.1

        오존처리 해수중에 함유하는 잔류 옥시던트(TRO)가 양식 넙치의 생존, 혈액성상과 삼투질 농도, 산소소비 및 아가미 조직에 미치는 독성 영향을 조사하였다. TRO에 노출된 넙치의 48-hr 및 96-hr LC_(50)은 각각 26.4 와 22.3ppb이었고, 47ppb에서는 3시간 이내에 모두 치사하였으나 13ppb에서는 96시간 동안 폐사발생이 없었다. TRO 24∼39ppb 농도범위에 노출된 넙치의 hematocrit, 헤모글로빈, 적혈구 수, 혈중 sodium과 chloride 이온 및 삼투압 농도는 TRO 농도가 높을수록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아가미 조직은 아가미 상피층이 모세혈관으로부터 박리되고, 괴사와 상피새포의 증생이 관찰되었다. 산소소비율은 TRO 농도가 높고, 노출이 계속될수록 감소하였다. 13ppb에서는 아가미 조직과 생리상태에 미치는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혈당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활성탄으로 TRO를 제거한 대조구에서는 오존의 독성 영향은 관찰되지 않았다. 잔류오존에 노출된 넙치는 삼투질 농도의 생리적 불균형 및 아가미 손상과 상피세포의 증생에 의한 산소섭취 부족이 치사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해산어 양식장에서 오존을 사용할 경우에는 오존처리수중의 TRO는 제거하여야 하며, 비록 저농도라도 장기간 노출되면 양식어류의 생존과 생리상태에 미치는 영향은 현저할 것으로 평가되었다. Ozonization for rearing seawater in land-based culture system has recently been utilized for disinfection of pathogenic microorganisms and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otal residual oxidants (TRO) in ozone-treated seawater on survival, blood parameters, osmolality and oxygen consumption, and gill tissue of th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with the starved flounder of 12∼19 ㎝ in total length at 20℃. The 48-hr and 96-hr LC_(50) for the flounder amounts to 26.4 ppb and 22.3 ppb, respectively. With increase of TRO concentration from 24 to 39 ppb, the values of hematocrit, hemoglobin concentration, red blood cell count and osmolality of the flounder with respect to exposure time were significantly elevated, however, the oxygen consumption rates decreased. In the case of the fish exposed to 13 ppb for 96 hrs, blood glucose increased with an elapse of exposure time, while survival rate was 100%. Death apparently resulted by massive destruction of gill lamellar epithelium, severe osmotic imbalance and the lack of oxygen uptake.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indicated that to protect aquaculture organisms, the ozone-treated seawater should not contain any residual oxidants, and that relatively long-term exposure to TRO of low concentration can impact on survival and physiological conditions of the floun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