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식품유해균에 대한 차류 추출물의 항균효과

        오덕환(Deoghwan Oh),이미경(Mee-Kyeong Lee),박부길(Boo-Kil Par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8 No.1

        식품에 오염된 부패미생물 또는 병원성 미생물을 억제하기 위하여 사용된 합성보존료는 저장기간 중 일어나는 화학작용의 변화에 의하여 잔류독성 또는 발암성 물질의 유발 등 그 안전성이 매우 문제시되어 지금까지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그리하여 독성이 전혀 없는 새로운 천연 식품보존제의 개발이 필연적이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판되는 각종 차류의 물 또는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항균력을 검색하였고 부탄올, 핵산, 클로르포름 순으로 분획하여 얻은 분획물의 항균성 및 생육저해효과를 검색하였다. 증제녹차와 볶음녹차, 우롱차 및 홍차의 물 또는 에탄올 추출물은 모두 그람양성 또는 그람음성 세균류에는 강한 항균력을 나타내었으나 효모 및 곰팡이균에는 항균활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4종류의 차 모두 에탄올 추출물이 물 추출물보다 항균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증제녹차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그 유효성분을 조사하기 위하여 부탄올, 핵산, 클로르포름 및 물로서 분획한 후 항균력을 검색한 결과 부탄올 분획물이 가장 강한 항균력을 나타내었으며 그람양성, 그람음성 세균 및 곰팡이균 모두 1000㎍/disk 농도에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가장 강한 항균력을 나타낸 부탄올 분획물의 농도별 항균효과를 검색한 결과 균종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Rhizopus javanicus균을 제외하고는 검색된 모든 균주가 부탄올 분획물의 125~1000㎍/disk 농도에서 생육이 억제되었다. 항균력이 가장 큰 부탄올 분획물의 열 안전성을 측정한 결과 121℃에서 15분간 가열해도 항균력은 전혀 변하지 않았으며 35℃에서 Listeria monocytogenes와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부탄올 분획물의 농도별 생육 저해효과를 검색한 결과 두 균주 모두 250㎍/ml 농도에서는 12시간 이후부터 500㎍/ml 농도에서는 24시간 이후부터 생육하기 시작하였으나 l000㎍/ml의 농도에서는 완전히 생육이 저해되었다. Use of chemical preservative for controlling harmful microorganisms in food products has been debated due to public concerns about food quality because of perceived toxic and carcinogenic potential. Thus, use of non-toxic natural antimicrobial agents has become essential.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determine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water or ethanol extract of commercially available tea, and of solvent fractionated ethanol extracts obtained from steamed green tea. Both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green tea(steamed or roasted), oolong tea and black tea exhibited strong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gram positive and negative bacteria, but not effective against yeast and mold. Also, antimicrobial activity of ethanol extract of 4 different kinds of tea was stronger than that of water extract. Among 4 different tea, ethanol extract of steamed green tea was further fractionated. One thousand ㎍/disk buthanol extract had the strongest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bacteria and mold. The concentration of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buthanol extract in tested microorganisms ranged from 125~1000㎍/disk except for Rhizopus javanicus. Antimicrobial activity of buthanol extract of steamed green tea was not destroyed by heating at 100℃ for 60 min and at 121℃ for 15 min, which is very stable over heat treatment. The inhibitory effect of the buthanol extract on the growth of Listeria monocytogenes and Staphylococcus aureus was investigated. Growth of both strains was started in the presence of 250 and 500㎍/ml after 12 and 24 hour respectively, whereas complete inactivation of both strains was occurred in the presence of 1000㎍/ml.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각종 변이원들에 의해 유도된 돌연변이원성에 대한 수리취 추출물의 억제작용

        함승시(Seung-Shi Ham),한홍식(Hong-Sik Han),최근표(Kun-Pyo Choi),오덕환(Deoghwan Oh)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6 No.3

        본 연구는 Trp-P-1, 2-AF 및 4-NQO에 의하여 유발되는 변이원성에 대한 수리취 추출물의 억제효과에 대하여 Ames방법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수리취 생즙, 가열즙 및 에탄올 추출액 자체는 돌연변이원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수리취의 생즙은 50μl/plate의 농도에서 Trp-P-1에 의해 유도된 TA98 균주의 변이원성에 대하여 약 90%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가열즙과 에탄올 추출액은 각각 37%와 28%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2-AF에 의해 유도된 TA98 균주의 변이원성에 대한 수리취 생즙, 가열즙 및 에탄올 추출액은 200μl/plate의 농도에서 80%, 60% 및 58%의 억제효과를 각각 나타내었다. 위 두 변이원에 의해 유도된 변이원성에 대한 수리취 추출물의 억제효과는 모든 농도에서 TA100 균주가 TA98 균주 보다 훨씬 민감한 반응을 나타냈다. 반면에 수리취 생즙, 가열즙 및 에단올 추출액 모두 4-NQO에 의하여 유도된 변이원에 대하여는 TA98과 TA100 균주 모두 매우 미약한 억제반응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는 수리취 생즙이 Trp-P-1이나 2-AF에 의해 유도되는 변이원성에 대하여는 가장 강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나 4-NQO에 의해 유도되는 변이 원성에 대하여는 모든 추출물에서 억제효과가 매우 미약하였다.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the antimutagenic effects of Synurus deltoides extracts on the mutagenesis induced by 3-amino-1,4-dimethyl-5-H-pyrido[4,3-b]indol(Trp-P-1), 2-aminofluorene(2-AF) and 4-nitroquinolin-1-oxide(4NQO) using Ames test. Raw juice, heated juice, and ethanol extract from Synurus deltoides itself did not induce mutagenesis. The raw juice, heated juice and ethanol extract of 5μl/plate showed approximately 90%, 37% and 28% inhibitory effect on the mutagenesis induced by Trp-P-1 against TA98 strain, while 80%, 60% and 58% inhibition was observed on the mutagenesis induced by 2-AF at the concentration of 200μl/plate, respectively. TA100 strain was more sensitive than TA98 strain by raw juice, heated juice and ethanol extract on the mutagenesis induced by Trp-p-1 and 2-AF. Meanwhile, the raw juice, heated juice, and ethanol extract showed very limited inhibitory effects on the mutagenesis induced by 4-NQO against TA98 and TA100 strai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raw juice had the strongest inhibitory effect on the Trp-P-1 or 2-AF induced mutagenesis, but all of the extracts had a little antimutagenic effects on the 4-NQO induced mutagenesis.

      • SCOPUSKCI등재

        굼벵이의 섭취가 에탄올 투여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강일준(Il-Jun Kang),김하경(Ha-Kyung Kim),정차권(Cha-Kwon Chung),김수진(Soo-Jin Kim),오덕환(Deoghwan Oh)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9 No.3

        흰쥐에 에탄올을 투여해 간 손상을 유도한 후 굼벵이를 투여해 굼벵이가 혈청과 간의 지질대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조사하였다. 혈청지질 중 에탄올에 의해 증가된 triglyceride, 총 cholesterol은 굼벵이를 섭취시킴으로써 이의 수치를 감소시켰으며 HDL-cholesterol은 굼벵이의 섭취로 증가되었다. 이의 결과 굼벵이의 섭취로 동맥경화지수는 36% 감소되었다. 간 지질대사에서는 굼벵이의 섭취로 triglyceride함량은 감소되었다. GOT와 GPT의 활성은 에탄올 투여시 정상식이에 비해 유의적인 증가를 보인 반면, 굼벵이의 섭취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p<0.05). 에탄올 투여군의 간조직 세포는 세포질에 지방소적의 축적으로 세포질의 부분적인 괴사현상이 나타났으며 조면소포체와 mitochondria의 형태적 변형이 관찰되었다. 에탄올과 굼벵이의 병용투여군은 지방소적의 크기 및 양적 감소와 세포질의 괴사현상이 약간 회복되었으나 조면소포체와 mitochondria의 수적인 증가는 미미하였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Protaetia Orientalis larva (Gory et Perchlon) on the in vivo lipid metabolism in Sprague Dawley rats administered with ethanol to induce damage in the liver. The administration of ethanol resulted in the increase of serum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atherogenic index, serum GOT and GPT, and liver triglyceride of the experimental rats. On the other hand, those parameters of the rats fed in combination with ethanol and Protaetia Orientalis larva (Gory et Perchlon) have decreased. Ethanol feeding resulted in decrease of HDL-cholesterol, whereas that of the rats fed in combination with ethanol and Protaetia Orientalis larva (Gory et Perchlon) was increased. Ultrastructural examination of hepatocytes of ethanol administered rats showed increased lipid droplets. However, lipid droplets of those fed in combination with ethanol and Protaetia Orientalis larva were reduced in number and the siz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