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중레벨 신호점에 대한 동시 블라인드 등화 기법

        오길남 에스케이텔레콤 (주) 2005 Telecommunications Review Vol.15 No.5

        본 논문에서는 비 동시 등화기가 갖는 알고즘 전환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판정과 경판정을 결합한 새로운 동시 블라인드 등화기를 제안한다. 제안한 동시 SSDD-HDD 등화기는 계산 복잡성을 개선한 단순화된 연판정의거(SSDD: Simplified Soft Decision-Directed) 알고리즘에 기초하며, SSDD 알고리즘에 사용되는 시그모이드 함수의 평균과 분산을 조절함으로써 동시 SSDD-HDD 등화기의 연판정(SSDD) 알고리즘과 경판정(HDD: Hard Decision-Directed) 알고리즘이 구현되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제안한 동시 등화 기법에서는 등화기 출력의 이동평균 제곱오차(moving-average squared error)에 기초하여 등화기의 수렴을 검출하고 동시 동작을 중지함으로써 정상상태 성능을 개선하였다. 제안한 동시 등화기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다중레벨 신호점에 대한 블라인드 등화 기법으로 최근에 소개된 동시 CMA-DD 등화기 및 동시 CMA-SDD 등화기와 모의실험을 통하여 비교하였다. 제안한 방법은 기존 방식에 비해 잔류 ISI 및 MSE 성능을 개선하였다.

      • KCI등재

        오차 제곱 가중치기반 랩 계수 갱신을 적용한 동시 등화기

        오길남,Oh, Kil-Nam 한국통신학회 2011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6 No.3C

        동시 등화는 통신 채널을 블라인드 등화 시 수렵 특성 개선에 유용하다. 그러나 동시 등화는 등화기가 정상상태에 수렴한 후에도 동시 적응을 계속함으로써 성능 개선이 제한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동시 등화의 수렴 특성과 함께 정상상태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가변 수렴상수와 가중치기반의 탭 계수 갱신을 적용하는 새로운 동시 등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동시 vsCMA+DD 등화는 가변 수렴상수 CMA(variable step-size CMA: vsCMA)와 판정의거 (decision-directed: DD) 알고리즘의 오차 신호를 사용하여 가중치를 산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두 등화기를 각각 가중 갱신한다. 제안 방법은 vsCMA에 의해 CMA의 오차 성능을 개선하고, 가중치기반의 탭 계수 갱신에 의해 수렴 속도와 정상상대 성능을 개선하였다. 모의실험을 통해 제안 방식의 성능 개선을 검증하였다. For blind equalization of communication channels, concurrent equalization is useful to improve convergence characteristics. However, the concurrent equalization will result in limited performance enhancement by continuing concurrent adaptation with two algorithms after the equalizer converges to steady-state. In this paper, to improve the convergence characteristics and steady-state performance of the concurrent equalization, proposed is a new concurrent equalization technique with variable step-size parameter and weight-based tap coefficients update. The proposed concurrent vsCMA+DD equalization calculates weight factors using error signals of the variable step-size CMA (vsCMA) and DD (decision-directed) algorithm, and then updates the two equalizers based on the weights respectively. The proposed method, first, improves the error performance of the CMA by the vsCMA, and enhances the steady-state performance as well as the convergence speed further by the weight-based tap coefficients update. The performance improvement by the proposed scheme is verified through simulations.

      • 계산 복잡성이 단순화된 비선형 추정기를 사용한 Bussgang 블라인드 등화

        오길남,Oh, Kil-Nam 대한전자공학회 2005 電子工學會論文誌-SP (Signal processing) Vol.42 No.6

        이 논문에서는 계산 복잡성이 단순화된 비선형 추정기를 소개하고, 이를 적용한 Bussgang 블라인드 등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베이즈 추정기가 눈 모형이 닫힌 등화 초기에는 시그모이드 추정기로 잘 근사화되며, 눈 모형이 열린 조건에서는 임계 추정기에 근사화되는 사실을 이용하였다. 제안 방법에서는 매 갱신 마다 채널 왜곡의 정도에 따라 시그모이드 추정기와 임계 추정기를 선택적으로 적용하고, 특히 시그모이드 추정기에 축소 신호점을 도입함으로써 고차 QAM 신호의 블라인드 등화에 적용 시 계산 복잡성을 극히 단순화하는 동시에 블라인드 수렴 특성과 정상상태 성능을 개선할 수 있음을 보인다. This paper introduces nonlinear estimators with reduced complexity, and proposes the Bussgang blind equalization algorithm employing the nonlinear estimators. The proposed algorithm utilized the facts that the Bayesian estimator is well approximated to the sigmoid estimator in initial stage of equalization with closed eye and is well approximated to the threshold estimator under open eye condition. The proposed method adopts selectively one of the two nonlinear estimators, i.e., the sigmoid estimator and the threshold estimator, according to channel distortion level at each iteration. As a result, by using the sigmoid estimator with reduced constellation, the proposed scheme, as it is applied to blind equalization of high-order QAM signals, simplifies the computational complexity extremely, and enhances the blind convergence capability and steady-state performance.

      • 다이내믹 다중경로 채널에서의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신호에 대한 블라인드 등화

        오길남 대한전자공학회 2004 電子工學會論文誌-SP (Signal processing) Vol.41 No.5

        지상파 디지털 TV 신호를 등화하기 위한 이중모드 블라인드 판정귀환 등화기(dual-mode blind decision feedback equalizer)를 제안한다. 제안한 이중모드 판정귀환 등화기는 채널 상태에 따라 판정의거 모드 또는 블라인드 모드에서 동작한다. 등화기의 탭 계수 갱신에 사용될 오차 신호를 판정의거 모드 또는 블라인드 동작 모드에서 발생시킴으로써 탭 계수 갱신의 신뢰도를 높일 뿐만 아니라, 채널의 왜곡 정도에 따라 등화기의 동작이 판정의거 모드와 블라인드 모드 간을 자동 전환함으로써 채널 특성의 변화를 추적할 수 있다. 모의실험을 통해 다양한 정적 및 다이내믹 다중경로 채널 하에서 8-VSB(vestigial sideband) 변조된 디지털 TV 신호에 적용하여 제안한 등화 기법과 종래의 방법에 의한 성능을 평균 자승 오차(mean square error: MSE)와 심벌 오율(symbol error rate: SER) 관점에서 비교, 제안한 방법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In this paper, proposed is the dual-mode algorithm of blind decision feedback equalizer (DFE) for digital terrestrial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channel impairments, the proposed dual-mode algorithm for blind DFE operates in decision-directed mode or in blind mode of operation. The error signals being used in tap update of the equalizer are generated in the best mode of operations, so that the confidence of equalizer tap coefficient update is more accurate.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track the channel characteristics variations by automatic switching over between two modes of operations. For 8-level vestigial sideband modulated digital television signals, the mean square errors and symbol error rates of the proposed algorithm are compared with those of conventional methods. And the usability of the proposed scheme is assessed by computer simulations under various static and dynamic multipath channel environments.

      • KCI등재

        두 오차 추정 함수에 의해 가중 갱신되는 병렬 등화 알고리즘

        오길남 大韓電子工學會 2012 電子工學會論文誌-TC (Telecommunications) Vol.49 No.7

        다중경로 전파에 의한 수신 신호의 심벌간 간섭을 제거하기 위해, 두 오차 추정 함수를 사용하는 병렬 등화(parallel equalization)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 알고리즘에서는 다치레벨 이차원 신호를 등가 이진 신호로 간주하고, 등화 초기에 효과적인 시그모이드 함수와 정상상태 성능이 우수한 임계 함수를 사용하여 각각 오차를 추정한다. 이때 두 오차 추정의 상대적 정확도에 따라 두 오차를 가중 처리하여 두 필터를 서로 다르게 갱신하도록 하였다. 결과적으로 결합된 두 필터의 출력이 최적한 값이 되도록 하였으며, 두 동작 모드를 완만하게 결합하는 효과로 등화 초기의 빠른 수렴과 정상상태에서의 낮은 오차 레벨을 동시에 달성하였다. 제안 알고리즘의 유용성을 모의실험을 통해 기존 방식과 비교, 검증하였다. In this paper, to eliminate intersymbol interference of the received signal due to multipath propagation, a parallel equalization algorithm using two error estimation functions is proposed. In the proposed algorithm, multilevel two-dimensional signals are considered as equivalent binary signals, then error signals are estimated using the sigmoid nonlinearity effective at the initial phase equalization and threshold nonlinearity with high steady-state performance. The two errors are scaled by a weight depending on the relative accuracy of the two error estimations, then two filters are updated differentially. As a result, the combined output of two filters was to be the optimum value, fast convergence at initial stage of equalization and low steady-state error level were achieved at the same time thanks to the combining effect of two operation modes smoothly. Usefulness of the proposed algorithm was verified and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method through computer simulations.

      • 광대역 접속 시스쳄에 대한 블라인드 등화 기법 분석

        오길남 광주대학교 2001 産業技術硏究 Vol.15 No.-

        본 논문에서는 최근에 급속히 확장되고 있는 광대역 접속 시스템에 대한 블라인드 등화기법을 기술하였다. 먼저, 다양한 블라인드 등화 알고리즘의 개념을 소개하고, 오차 신호 발생을 위해 적용한 비선형 추정기의 특성을 분석하여 알고리즘의 성능과 장단점을 비교하였다. 다음, 현재 DSL 방식 중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ADSL과 차세대 초고속 가입자 접속 기술인 VDSL 등에 적용하기 위한 블라인드 등화 기법에서 요구되는 특성을 조사하고, 이를 만족시키기 위한 대책을 논의하였다. 또한 블라인드 등화 알고리즘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점을 기술하고, 이에 대한 새로운 연구 결과 등을 함께 제시하였다. This paper discusses the blind equalization techniques for emerging broadband access applications. First, the general concepts of the various blind equalization algorithms are introduced and their performance and properties are compared via the analysis of nonlinear estimators used for error signals generation. Next, investigated are the requirements of the blind equalization for its use in the dominant DSL technology of today (ADSL) and the next and highest-speed generation of DSL (VDSL), and the methods to cope with the requirements are discussed. The considerations for performance improvements of the blind equalization algorithms are described, and new results obtained recently for these applications are also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