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SCIEKCI등재

        피개교합(overbite)양상에 따른 성인 Ⅰ급 부정교합자의 측모특성

        오권홍,남동석 대한치과교정학회 2000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0 No.5

        본 연구의 목적은 피개교합 양상에 따른 성인 I급 부정교합자의 골격적 특징과 수직부조화를 야기하는 치성 및 골격성 요인들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에 소장되어 있는 정상교합군 표본 중 40명을 정상교합군, 서울대학교병원 교정과에 내원하여 I급 부정교합으로 진단받은 성인 환자중 전치부 수직피개량이 -0.1mm 이하인 40명을 개방교합군, 4.0mm이상인 40명을 과개교합군으로 선정하여 측모 두부 X-선 계측사진을 촬영하였다. 46개의 계측항목을 선정하고 SPSS program을 이용하여 각 군별 ANOVA, 판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주로 하악골 형태와 하안면부의 치성, 골격성 요인이 수직부조화의 양상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2.개방교합군의 수직부조화 양상은 하안면부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하악골 형태와 하악하연평면 경사도와 관련이 있었고, 판별분석 결과 골격적 요인의 기여도가 높았다. 3.과개교합자의 수직부조화에는 주로 curve of Spee, 상악구치의 수직고경 등 치성 요인들의 기여도가 높았으며, 골격적 요인으로는 arcticular angle의 기여도가 높았다. 4.다중회귀분석 결과 I급 구치관계를 갖는 성인에서 overbite의 결정요인에는 주로 하악전치와 교합평면각, curve of Spee, 절치간 각도 등의 치성요인이 기여하였다.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evaluate the morphologic characteristics of openbite and deep bite in Class I malocclusion patients and to find skeletodental factors which contributed to vertical discrepancy in Class I malocclusion. The subjects were consisted of 40 control subjects (male 20, female 20) and 40 Class I openbite patients and 40 Class I deep bite patients. Lateral cephalograms in centric occlusion were taken, traced and digitized for each subjects. The computerized statistical analysis were carried out with SPSS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The pattern of vertical discrepancy in Class I malocclusion is mainly influenced by the skeletodental factors under palatal plane. 2.In openbite group, vertical discrepancy is prominent on anterior lower face and is closely related with skeletal factors such as mandibular form and inclination. 3.In deep bite group, dental factors such as curve of Spee, vertical height of maxillary molar and skeletal factor such as articular angle were contributed to the vertical discrepancy. 4.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overbite in Class I molar relationship was determined mainly by dental factors such as lower incisor to occlusal plane angle, curve of Spee, interincisal angle, and ODI.

      • SCOPUSSCIEKCI등재
      • KCI등재

        Lateral rhinotomy 접근법에 대한 증례보고 및 문헌고찰

        김성곤,오권홍,문진석,김기홍,조병욱,Kim, Seong-Gon,Oh, Kwon-Hong,Moon, Jin-Suk,Kim, Ki-Hong,Lee, Jung-Gu,Cho, Byoung-Ouck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2001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Vol.27 No.4

        The lateral rhinotomy signifies only an incision and not on operation and a lateral rhinotomy incision with osteotomy of the nasal bones provides access to the entire nasal cavity and maxillary, ethmoid, and sphenoid sinuses as well as the frontal sinus if the floor is removed, permitting removal of benign lesions at these sites and en bloc resection of the ethmoid labyrinth and the party wall between the nasal cavity and antrum with infiltrating tumors. The authors treated a tumor patient and a midfacial bone fracture patient via lateral rhinotomy approach and had a good result. So we report the cases with literature revie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