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발달장애인서비스에서 보호자 신뢰형성과 신뢰행동 선택기제 연구

        염태산(Yeom Tae san)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18 한국장애인복지학 Vol.42 No.42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 자녀를 둔 보호자가 발달장애인서비스에서 신뢰를 형성하는 과정과 맥락을 탐구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 연구에서는 Strauss와 Corbin의 근거이론방법을 활용하여 발달장애인을 자녀로 둔 어머니 19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여 인터뷰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개방 코딩 과정에서 18개 범주와 65개의 코드가 발견되었다. 이를 통하여 도출된 축 코딩 패러다임은 ‘서비스 기대갖기(인과조건)’, ‘직원과 기관의 신뢰성 판단(맥락조건)’, ‘불균형한 신뢰 경험(현상)’, ‘권력불평등을 경험함(중재조건)’, ‘맡김과 떠남의 행동(작용과 상호작용)’, ‘서로 다른 이용자 역할 맡기(결과)’로 수렴되었다. 이야기 윤곽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발견된 중심범주는 ‘불균형한 신뢰 경험, 권력관계 경험에 따라, 맡김과 떠남의 행동을 하며 직원 및 기관과 관계를 맺어가기’였다. 이어 진행된 과정 분석에서는, 보호자가 ‘기대와 불안의 서비스 진입단계 – 불균형한 신뢰성 평가와 경험 단계 – 맡김과 떠남의 대처와 이용자 역할 결정 단계’를 경험한다는 점이 정리되었다. 보호자의 신뢰형성은 특정한 신뢰/불신이 형성되는 사례를 중심으로 정리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보호자가 경험한 다양한 서비스 상황을, 중심범주에 따라 신뢰성, 신뢰경험, 신뢰/불신행동 등으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정리된 73개의 사례를 중심으로 유형분석을 실시하여 9가지의 유효한 유형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유형이 나타나는 상황을 검토하기 위하여 상황모형을 구성하였으며, 이러한 검토를 거쳐 ‘신뢰행동의 선택기제’를 설명하는 실체이론을 발견하였다. 제안 이론은, 발달장애인서비스를 이용하는 보호자가 직원 및 기관의 신뢰성과 지역사회의 서비스 대안조건을 고려하고, 직원/기관 동일시, 예상되는 사후가정사고 등의 인지적 과정을 통해 다양한 내용과 수준의 신뢰행동을 선택하는 기제를 설명한다. 상기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자는 사회복지실천관계에서 사회복지사의 신뢰성뿐만 아니라 이용자의 관계 경험, 특히 ‘마지못해 순응하는 이용자’의 신뢰행동에 주목해야 할 이유에 주목한다. 사실 발달장애인서비스를 이용하는 보호자는 각기 다른 내용과 수준의 신뢰행동을 선택하지만, 이들의 취약성은 신뢰행동의 선택으로만 해결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서비스 대안 조건을 우호적으로 바꾸고, 신뢰를 협력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실천 및 정책 대안을 제안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rocesses and contexts of parents’ trust-building in developmental disability services. For these aims, the grounded theory methodology was used to analyse the interviews from the 19 mothers of th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8 subcategories, 65 codes were found during open coding process. Subsequently, axial coding results were ‘expecting services(causal condition)’, ‘judging trustworthiness of staffs/service agency(context condition)’, ‘experiencing unbalanced trust(phenomena)’, ‘experiencing the power inequality(intervening condition)’, ‘entrusting or refusing behaviors(actions and interactional strategies)’ and ‘determining various user roles(result).’ The core category of this study is “according to trustworthiness judging and the power inequality experiencing, mothers display entrusting and refusing behaviors and have relationships with service providers.” The trust-building processes in developmental disability services are ‘service entry with expectation and anxiety’ phase, ‘trust judging and experiencing’ phase, and ‘entrusting–or–refusing and user–role-determination’ phase. By the matrix of behavior strategies/entry opportunities and user roles, 9 valid types are discovered from 73 trust/distrust cases of mothers’ data. Based on the findings, ‘the trust-behavior selection mechanism theory’ is discovered. This substantial theory explains the various service users’ trust behaviors according to trustees’ trustworthiness judging, the alternative conditions calculation, the identification with trustees or services, and the anticipated counterfactual thought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or the equality of social work relationship, user vulnerability and uncertainty should be more concerned. The choices on trust behaviors cannot solve the vulnerability problems of mothers. Therefore the practice and policy efforts were presented to make their choice alternatives more favorable.

      • KCI등재후보

        사회복지전문가 자기효능감척도 타당도 연구

        최소연(So Yun Choi),염태산(Tae San Yeom)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09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22 No.-

        이 연구는 사회복지전문가-자기효능감 측정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사회복지사의 전문성이나 효능감과 관련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와 관련하여 엄격한 평가 없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외국척도를 번역하여 사용하는 과정에서 지표를 변형하는 등 사회복지의 전문성과 관련된 신뢰할만하고 타당한 측정도구가 제시되고 있지 못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복지직의 전문성을 측정하기 위한 타당한 척도가 제시될 필요성에 대한 인식하에 사회복지전문가자기효능감척도(SWSE)의 국내 사회복지영역적용을 위한 타당화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충청권에서 일반주의실천(지역사회복지관, 장애인복지관, 노인종합복지관)을 주로 담당하고 있는 사회복지사 537명과 실습을 이수한 사회복지전공학생 105명을 포함, 총642명을 대상으로 실천방법,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정책과 조사연구, 지지, 치료기법, 사례관리, 평가로 개념 구성된 52개 문항의 사회복지전문가 자기효능감을 측정하였다. 연구 조사된 내용에 대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동질적 문항으로 분류되지 않은 지표를 제외하고 사회복지전문가의 최종자문을 통해 28개 지표로 구성된 한국판 사회복지전문가 자기효능감척도(SWSE)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validity of Social Work Self-Efficacy (SWSE) measure. Even though special studies of social work profession and self-efficacy are now under investigatio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easure are being used without strict evaluations. In addition, there have been some cases of transforming the indicators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foreign measures in a Korean version.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validity of applying the Social Work Self-Efficacy(SWSE) measure to the field of Korean social work, recognizing that it is critical to provide the valid measure of social work profess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642 respondents, including 537 social workers working for generalist social work practice in the community agencies in Seoul, Kyong-Gi, and Choong-Chong provinces, and 105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ork. This study measures the self-efficacy of social workers through 52 items which consists of ESSW(i.e., social work practice, human behavior and social environment, social policy and research) and PSI(i.e., psychotherapeutic, case management, and evaluation). This study excludes 24 items which are not grouped as homogeneous through factor analysis. Finally, this study provides a Korean version of Social Work Self-Efficacy (SWSE) measure which is composed of 28 items, after the final consultation of social work professionals.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