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음식점 변화를 통한 서울 삼청동길의 상업가로 활성화 단계 실증해석

        염지혜(Yeom, Ji-Hye),양승우(Yang, Seung-Woo) 한국도시설계학회 2014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5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상업가로가 활성화되기 시작하면, 음식점이 가장 많이 영향을 받는다는 가정하에, 활성화된 가로인 삼청동길의 음식점 변화와 활성화와의 관계를 밝혀내는 것이다. 신문을 통한 언급빈도분석을 기준으로 활성화 단계를 구분하였으며, 활성화 단계를 음식점변화와 비교분석을 하였다. 다음으로 음식점 변화를 통해 구간별 특징을 분석하였다. 분석해 본 결과, 첫째, 가로가 활성화될수록 음식점의 수가 증가하며, 특히 본격적으로 상업화가 진행될수록 카페의 수가 다른 음식점의 비해 상대적으로 많아졌다. 향후 상업가로활성화를 분석하는 표본으로 음식점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상업가로를 구성할 때, 음식업종의 종류가 활성화의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각 구간별로 주요시설의 입지 등에 따라서 구간별 특성이 상이했으며, 그에 따라서 음식점의 종류와 수도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입지에 특성에 따라서 상업가로 관리계획을 마련해야 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This paper aim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vitalization of commercialized streets and the changes in the restaurants of Samcheongdong-gil, one of the famous revitalized streets in Seoul. It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when the street gets revitalized, the biggest influence can be measured related to its restaurants. The stages of revitalization were distinguished based on the frequency of related newspaper articles published. Furthermore, a comparative analysis of revitalization stages and changes in restaurants was made.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sections was analyz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ly, as the street gets revitalized, the number of restaurants increases. The number of cafes, especially, increased more as compared to other types of restaurants when the street came under commercialization. The restaurants could be used as a standard to analyze the revitalization of commercialized streets in the future. It can also be interpreted that when the commercialized street is being construc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od industry influence its vitalization. Secondly, each section of the street had distinctive characteristics relative to the store being located as its major facility. Depending on this aspect, the number and the type of restaurants located varied. Therefore, it can be interpreted that it is essential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te when coming up with management plans for the streets.

      • KCI등재

        도시노인과 농촌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궤적에 대한 비교 연구

        염지혜(Ji Hye Yeom) 한국농촌사회학회 2013 農村社會 Vol.2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인구사회학적인 변인 및 건강행태, 신체 및 정신건강 변화가 도시노인과 농촌노인 두 집단의 주관적 건강상태 변화궤적에 어떠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가를 종단으로 고찰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해 고령화연구패널조사 (KLoSA) 1, 2, 3차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연구대상자는 2006년 1차 조사 시점을 기준으로 65세 이상의 노인 중 사망자패널 2차 155명, 3차 254명을 제외한 3746명(도시노인 n=2683명, 농촌노인 n=1063명)을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기술통계와 내생변수들의 변화궤적과 변인들 간의 관계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세 시점에서 측정된 활동제한, 우울, 주관적 건강상태를 시간의 경과에 따라 살펴보면 활동제한과 주관적 건강상태의 평균은 감소했으며, 우울점수 평균은 높아졌다. 둘째, 농촌노인이 도시노인보다 연령이 상승함에 따라 주관적 건강상태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이 더 크게 감소함으로써 도시노인에 비해 연령 상승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가 더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도시노인이 농촌노인 보다 우울의 변화율이 주관적 건강상태의 변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더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초기 우울점수가 높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의 초기값이 낮게 나왔으며 농촌노인이 도시노인에 비해 더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초기에 신체활동제한이 덜 할수록 우울 초기값이 낮았는데 도시노인이 농촌노인에 비해 유의미하게 더 낮은 우울 초기값을 보여 농촌노인이 도시노인에 비해 이 경로에 대해서는 더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도시노인과 농촌노인은 신체건강에서 우울, 우울에서 주관적 건강에 이르는 경로에 차이가 존재했으며 농촌노인이 더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를 줄이기 위해서는 농촌노인에게 신체 기능제한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해 노노(老老)케어와 같은 지역사회 자원을 연계시키고, 독거노인의 우울감을 낮추기 위해 안부전화서비스 등을 실시하는 등, 농촌노인의 건강증진에 보다 실효성 있는 정책이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ich factors determine self-rated health(SRH) and what induces health differences between urban and rural older adults in Korea.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tudy uses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KLoSA), wave 1 conducted in 2006, wave 2 in 2008, and wave 3 in 2010. It selects participants aged 65 from wave 1 and remove the deceased in wave 2 and 3 so that total number of cases is 3746(urban older adults 2683, rural older adults 1063). Exogenouse variables are age, sex, marital status, education, income, exercise, smoking, and drinking from wave 1. Endogenouse variables are SRH, activity limitation, CES-D10 from wave 1, 2, 3. In analyses, descriptive statistics and Latent Growth Modeling are conducted to examin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observed and latent variables. Result is that there are regional differences in link activity limitation to depressive symptom, and depressive symptom to SRH. Also, rural older adults are more likely to be unhealthy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s in those links. Therefore, to reduce the regional differences it needs to connect rural older adults with resources and social services such as the elderly-elderly care program and to provide them with psychological supports.

      • KCI등재

        한국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변화가 자녀로부터의 지원 제공 변화에 미치는 영향

        염지혜(Yeom Ji hye),전미애(Chun Mi ae) 한국노년학회 2016 한국노년학 Vol.3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가 변화함에 따라 자녀로부터의 지원 즉, 만남빈도(정서적), 금전지원(경제적), 돌봄시간(도구적)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고찰하고 이러한 변화가 노인의 성별에 따라 차이가 존재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한국고령화패널연구(KLoSA), 2006년 1차부터 2012년 4차까지를 활용하였으며 1차 시점에서 65세 이상이면서 4차까지 생존한 패널, 남자 1252명, 여자 1850명 총 3102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고 잠재성장모형(Latent Growth Modeling)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남성노인의 경우 첫 시점의 주관적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첫 시점의 만남빈도가 유의미하게 낮았으며 남녀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첫 시점의 주관적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자녀로부터의 금전지원이 낮았으며 이는 남녀 간 차이가 없었다. 첫 시점의 주관적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돌봄시간 초기값은 높았으며 이 경로는 남녀차이를 보였다. 주관적 건강상태가 시간에 따라 악화되는 변화율이 자녀로부터의 돌봄제공 시간 변화율을 증가시켰지만 여성노인의 경우 남성노인 보다 자녀로부터의 돌봄제공 시간 증가율이 훨씬 높았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남성노인이 여성노인에 비해 자녀로 부터의 지원에 취약성을 보이기 때문에 남성노인에 대한 세심한 지원과 관심이 필요하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change in the self-rated health of older adults affects the support from their children, such as frequency of meeting (emotional), financial support (economic), and hours of caregiving(instrumental), and if these changes differ by gender of older adults. For this study, we used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d(KLoSA), from the 1st wave in 2006 to the 4th wave in 2012, selected a total of 3102 (1252 males and 1850 females) study subjects who were 65 year-old and older in the 1st wave and who were in the survival panel through the 4th wave, and used the Latent Growth Curve Model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worse the self-rated health of older men at the initial point, the significantly lower the frequency of meeting at the initial point among older men; and i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gender groups. Older adults with worse self-rated health at the initial point received significantly less financial support; no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genders. Also, the worse the self-rated health was at the initial point, the higher the hours of caregiving at the initial point; this path showed a difference by gender. In both older male and female groups, the declining rate of the self-rated health over time significantly affected the rate of increase in the hours of caregiving. However, the female group showed a much higher rate of increase in the hours of caregiving than that of mal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older males should be given thoughtful consideration and support as they are shown vulnerable in the support from their children compared to older females.

      • KCI등재

        농촌노인의 삶의 만족도 변화에 관한 종단연구

        염지혜(Ji Hye Yeom) 한국농촌사회학회 2016 農村社會 Vol.2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간경과에 따라 결혼상태 변화와 친구ㆍ이웃과 만남 변화가 삶의 만족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이 농촌노인과 도시노인 간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 고찰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 2006년 1차부터 2012년 4차까지 네 시점의 자료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1차조사 시점을 기준으로 65세 이상 노인들을 추출하였으며 이 중 2, 3, 4차 각 시점 사망자패널 155명, 254명, 270명을 제외한 2,839명(농촌 n=853, 도시 n=1,986)을 최종분석에 활용했다. 분석방법으로는 기술통계를 사용했고, 결혼상태 변화, 친구ㆍ이웃 만남 변화, 삶의 만족도 변화 간의 관계성 검증을 위해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했다. 또한 도시와 농촌 두 집단의 경로계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다집단 분석을 수행했다. 연구결과로는 첫 시점에서 배우자가 있을 경우 농촌노인이 도시노인보다 친구ㆍ이웃 만남빈도가 낮았으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배우자였던 도시노인의 친구ㆍ이웃 만남빈도는 천천히 증가했지만 유배우자였던 농촌노인의 친구ㆍ이웃 만남빈도는 빠른 속도로 증가했다. 첫 시점에서 배우자가 있을 때 삶의 만족도는 농촌노인이 도시노인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더 높았다. 친구·이웃 만남빈도 초기값이 높을수록 농촌노인이 도시노인보다 삶의 만족도가 더 높았다. 농촌노인의 경우 도시노인보다 배우자가 있을 때 친구ㆍ이웃 만남빈도는 더 낮고 삶의 만족도는 더 높은 배우자 중심적인 삶을 살고 있었으나 친구ㆍ이웃과의 만남빈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도시노인 보다 더 컸다. 이러한 연구결과로부터 농촌노인과 도시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정책적 제언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ich factors determined life satisfaction and what induced life satisfaction differences between urban and rural older adults in Korea. To achieve these purposes, the study used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KLoSA). Wave 1 was conducted in 2006, wave 2 in 2008, wave 3 in 2010, and wave 4 in 2012. The study selected 65 year old and over participants from wave 1; in wave 2, 3, and 4, the deceased was removed - numbers 155, 254, 270 respectively. The total number of cases in the study was 2,839 (urban older adults 1,986 and rural older adults 853). Exogenouse variables from wave 1 were age, sex, education, household income, and self-rated health. Endogenouse variables from wave 1, 2, 3, 4 were marital status, frequency of meeting friends,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analyses, descriptive statistics and Latent Growth Modeling were conducted to examine causal relationships; multi-group analysis was conducted to reveal the differences of the coefficient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there were regional differences that linked marital status to life satisfaction. Further more, when rural older adults had spouses, their frequency of meeting friends was less than that of their counterparts. Also, as frequency of meeting friends increased among rural older adults, their life satisfaction became greater than that of their counterparts.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concluded that rural older adults were more likely to live in a family-centered system, particularly when they were involved with their spouses. However, at the same time, when rural older adults interacted with their friends and neighbors, their life satisfaction increased compared to that of their counterparts. From these conclusion, policy implications were suggested.

      • KCI등재

        추가출산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염지혜(Yeom, Ji-Hye)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3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75

        본 연구의 목적은 지난 몇 년간 출산율이 매우 낮았었던 강남구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추가출산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0년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실시한 25-44세 강남구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한 조사 자료를 이용해, x² 검증 혹은 t-test, 현재 자녀수 0명이상(N=518)과 이로부터 현재 자녀수 1명이상(N=463)을 추출하여 각각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현재자녀수가 0명이상일 경우는 연령이 높을수록, 자녀수가 많을수록, 자녀 1인당 보?교육비가 높을수록 추가출산을 하지 않으려는 경향이 있었으며, 대학원졸업이상이 대학졸업보다, 이상 자녀수가 많을수록 추가출산을 하려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자녀수 1명 이상을 대상으로 분석했을 때도 유사한 결과가 나왔으나 자녀 1인당 보?교육비는 추가출산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구 낮은 출산율은 보?교육비의 지출문제 때문이 아니라 모의 높은 연령, 높은 교육수준, 출산장려정책 수혜의 무의미한 영향 등이 원인임을 인지하고 낮은 출산율을 해소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정책이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actors which affect additional childbirth intention by focusing on Kangnam-gu case. To achieve the purpose, the study used the data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KIHASA) in 2010. Respondents were married women who were 25 years old and over and less than 45 years old and living in Gangnam-gu. For those who had zero or more children and those who had one or more children, logistic regressions were run. For those who had zero or more children, those who were higher in age, the number of children, and caring and educational cost per child, they were less likely to have additional childbirth intention. Those who had graduate degree were more likely to have additional childbirth intention compared to those who have bachelors degree. As the ideal number of children was higher, they were more likely to have additional childbirth intention. For who had one or more children, the results were similar to those analyzed for respondents having zero or more children except that the effect of caring-educational cost was not significant.

      • KCI등재

        농촌노인과 도시노인의 사망 결정 요인에 대한 비교 연구

        염지혜(Ji Hye Yeom) 한국농촌사회학회 2014 農村社會 Vol.2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인구사회학적인 변인 및 건강상태, 건강행태에 따라 농촌노인과 도시노인 각 집단 내에서 생존과 사망에 차이가 있는지 고찰하고, 이러한 변인 들이 사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메카니즘을 밝혀내는것이다. 더 나아가 각 집단의 사망에 미친 독립변인들의 영향 중,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변 인들을 밝혀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고령화연구패널조사 (KLoSA) 1차부터 4차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연구대상자는 2006년 1차 조사 시점을 기준으로 65세 이상의 노인으로 추출하였다. 이차에서 4차까지의 사망패널 685(농촌 275명, 도시 410명)을 포함, 총 4,114명(농촌 n=1,391명, 도시 n=2723명)을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기술통계, 로지스틱 회귀분석, 회귀계수 지역차이를 검증하기 위 해 Wald X2을 실시했다. 연구결과는 첫째, 농촌노인은 연령, 결혼상태, 주관적 건 강, 뇌졸중, 우울증상, 체질량 지수에 따라 생존과 사망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도시노인은 연령, 성별, 교육수준, 질병들, 우울증상, 체질량 지수, 흡연경험에 따라 생존과 사망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변수만 통제했을 때 는 도시노인에게서만 중졸이상이 중졸미만보다 24% 사망 오즈가감소했다. 건강 상태와 건강행태 관련 변인을 통제했을 때 농촌노인은 질병 중 뇌졸중만 사망에 유 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저체중, 비만은 표준체중 보다 사망 오즈가증가했으며, 과 체중은 낮아졌다. 반면 도시노인은 건강상태와 건강행태를 통제했을 때 사망에 대한 교육의 효과가 사라졌고, 질병, 우울, 저체중과 흡연경험은 준거집단에 비해 사망 오즈를 증가시켰다. 셋째, 우울과 비만을 제외하고 농촌노인과 도시노인 두 집 단의 사망에 유의미한 차이를 낳는 독립변수는 존재하지 않았다. 농촌노인에게는 건강과 관련된 적극적인 교육을 통해 뇌졸중, 저체중, 비만 예방에 힘쓰고, 도시노 인에게는 우울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사망에 이르는 위험 요인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ich factors determine mortality and what induces significantly coefficient difference between urban and rural older adults in Korea.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tudy used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KLoSA), wave 1 conducted in 2006, wave 2 in 2008, wave 3 in 2010, and wave 4 in 2012. It selected participants aged 65 from wave 1. All variables were from wave 1, except for dependent variable, the deceased, from wave 2, 3, and 4. The total number of cases is 4,114(rural older adults 1391, urban older adults 2,723). The number of the deceased is 685(rural 275, urban 410). Since dependent variable is death or not, logistic regressions are conducted to examin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death. Result is that education and death are statistically dependent(p<.01) in urban older adults. The mean of self-rated health for the deceased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ir counterparts among rural and urban older adults. For rural group, stroke, depression, body mass index are significant , but for urban group, all of variables related to health and body mass index and smoking experience are significant in chi-square test. In the result of logistic regression, for urban group, itis evident that education did significantly affect the death through variables related to health. In addition, only depression(p<.10) and obesity(p<.05) did statistically differently affect death in rural and urban older adults. 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urban older adults to support psychological welling and for rural older adults to control body weight.

      • KCI등재

        한국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대한 종교의 영향:

        염지혜(Yeom Ji Hye) 동양사회사상학회 2015 사회사상과 문화 Vol.1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노인의 종교유형과 각 종교집단별 모임 참석 빈도가 우울과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고찰하고 우울이 두 변인들 간에 매개효과를 갖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2년에 실시된 제 4차 고령화연구패널조사 (KLoSA)를 활용했으며 조사 시점을 기준으로 생존패널 중 65세 이상 노인 4,015명(무교 1924명, 개신교 854명, 천주교 355명, 불교 882명)을 연구대상자로 추출하고 기술통계와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해 분석했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준거집단 인 무교에 비해 불교만이 유의미하게 우울을 낮췄으며 삶의 만족도를 유의미하게 높였다. 무교에 비해 불교만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때 우울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개신교집단에서만 종교모임 참여 빈도가 높아질수록 유의미하게 우울이 낮아지고 삶의 만족도는 높아졌다. 개신교집단에서만 종교모임 참여빈도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때 우울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천주교집단과 불교집단에서는 두 변수간에 우울의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불교를 믿는 다는 것 자체는 무교에 비해 우울을 낮추고 삶의 만족도를 높이지만 불교를 믿는 노인들의 종교모임 참석빈도는 매우 낮고 종교모임활동은 실질적으로 우울과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불교의 교리 상 개인의 수행이 중심이 되지만 불교를 믿는 노인들의 우울을 낮추고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종교모임을 노인들이 참여하기 쉽도록 활성화하고 경축일을 중심으로 한 모임이 아니라 자주 정기적인 종교모임을 갖도록 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certain religions affect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compared to having no-religion and whether depression mediates between the religion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older Korean adults. Also, it attempts to explore for which religion the frequency in participating in religious meetings affects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and whether depression mediates between the frequency and life satisfaction.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tudy used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wave 4 conducted in 2012. It selected participants aged 65 and over from wave 4 so that the total number of cases was 4,015 persons (no-religion 1,924, Protestant 854, Catholic 355, Buddhist 882). To analyze the data,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tilize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nly Buddhism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ffecting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mediated between Buddhism and life satisfaction compared to having no-religion. Secondly,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of Protestant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in religious meetings and depression mediated between the frequency and life satisfaction. In conclusion, the study suggested that religious group meetings should be more frequent and regular in Buddhism in order to reduce depression and increase life satisfaction.

      • KCI등재

        중도 지적장애학생의 통합교육 연구 동향 및 중재방법 고찰

        염지혜(Yeom Ji-Hye),이숙향(Lee Suk-Hyang)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6 특수교육 Vol.15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중도 지적장애학생의 통합교육과 관련된 국외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중도 지적장애학생의 통합교육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국내의 중도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중재방법 및 향후 연구 과제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00년부터 2016년까지의 중도 지적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한 국외 통합교육 연구 총 51편을 선정하고 연구주제에 따라 다음과 같이 6가지 연구 주제로 분류하였다: (1) 중도 지적장애학생의 통합교육의 실태 및 연구동향, (2) 중도 지적장애학생의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 학부모, 비장애또래의 인식, (3) 통합교육환경에서 중도 지적장애학생의 사회성 증진, (4) 통합교육환경에서 중도 지적장애학생의 문제행동 감소, (5) 중도 지적장애학생의 일반교육과정 접근(수업참여행동 및 학업성취) 증진, (6) 기타(2가지 이상 주제 중복). 각 연구 주제별로 발표연도와 연구방법에 따른 연구동향을 살펴보았으며 분석대상 논문 중 실험연구 20편을 대상으로 실험대상, 실험설계, 실험중재자, 독립변인 및 종속변인의 각 요인별로 세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분석결과 국외의 최근 연구들은 중도 지적장애학생의 사회성 증진, 문제행동 감소, 일반교육과정 접근에 초점을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연구 20편에서 중도 지적장애학생의 통합교육을 위해 사용한 중재방법에는 자기점검, 삽입교수, 교수적 수정, 또래 지원 및 협력적 팀이 포함되었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국내 중도 지적장애학생의 통합교육 활성화를 위한 현장 적용과 향후 연구의 방향을 위한 제언들이 제시되었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research trends regarding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ies along with appropriate interventions for them by analyzing precedential abroad studies related to inclusive education of students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ies. Method: Of relevant articles published abroad from 2000 to 2016, a total of 51 articles were identified using specific criteria, and were categorized into six research themes as follows: (1) current situations and research trends, (2) perceptions of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3) improving social interaction and skills, (4) reducing problem behaviors, (5) promoting access to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and (6) others including more than two themes. This study analyzed the trends, by year, of each research theme and conducted analyses per research method (literature research, investigative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and experimental research). In addition, 20 experimental research themes were analyzed in detail by factor: experimental subject, experimental design, intervener,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Results: The findings show that studies abroad mainly focused on improving social intervention and skills, reducing problem behaviors, and promoting access to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Several interventions were frequently used for the students including self-monitoring, peer support, curriculum modification and team teaching.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omoting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ies.

      • ‘장애인의 날’이 포함된 4월 신문기사에 나타난 장애인 이미지의 30년(1990-2020)간 변화추이

        박승희(Seung Hee Park),염지혜(Ji Hye Yeom),이현주(Hyun Joo Lee) 한국특수교육학회 2020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20 No.-

        연구목적: 1990-2020년의 30년간 5년 간격의 7가지 허위시기별 주요 4가지 신문의 4월 신문기사에 나타난 장애인 이미지를 분석하고 그 장애인 이미지의 변화 추이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방법: 연구자료는 1990-2020년 총 30년간 7가지 시점(1990, 1995, 2000, 2010, 2015, 2020)에서 4가지 주요 신문인 조선일보, 한겨례신문, 동아일보, 중앙일보의 4월 20일 ‘장애인의 날’이 포함된 4월 기사에서 신문사별로 1건씩 선정하여 총 25건의 신문기사이다. 분석 방법으로 비판적 담론분석 방법을 활용하였고, 분석을 위한 틀로 선행문헌에서 도출한 장애인의 11가지 주요 이미지를 사용하여, 텍스트 분석, 담화 관행 분석, 사회문화적 관행 분석 순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장애인 이미지별로 1990-2020년 간 변화 추이를 최빈도를 기준으로 나열하면 ‘사회의 부담’, ‘시민구성원’, ‘동정과 시혜의 대상’, ‘혐오 혹은 격리의 대상’, ‘슈퍼 장애인’, ‘영원한 아이’, ‘아픈 사람’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30년간 장애인 이미지의 변화 추이를 살펴보면, 1990년대에는 ‘혐오 혹은 격리의 대상’, ‘사회의 부담’ 이미지가 주로 나타났다. 2000년대에는 다양한 이미지들이 혼재되어 나타났고, ‘사회의 부담’과 ‘시민 구성원’ 이미지가 주로 나타났다. 2010년대에는 ‘시민구성원’, ‘사회의 부담’ 이미지가 주로 나타났다. 2020년에는 ‘동정과 시혜의 대상’ 이미지가 다시 나타났다. 논의 및 제언: 첫째, 신문기사는 사회의 현상을 반영하는 자료로 기사 작성자의 장애 이해 양상과 수준이 반영되는데, 비장애중심주의 이데올로기가 신문기사에 반영되어 장애인 이미지로 나타났다. 둘째, 1990년대에는 비정상인으로의 부정적 이미지가 팽배했고, 2000년대에는 장애의 사회적 모델이 반영되어 ‘시민 구성원’이라는 이미지가 나타났지만, 새로운 변화의 흐름에서 발달장애인이 제외되었다. 2010년대에는 인간의 다양성을 존중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장애인 이미지에 반영되었고, 2020년에는 ‘동정과 시혜의 대상’ 이미지가 다시 부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