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포스트 개발 이론의 관점에서 본 한국의 아세안 지역 개발협력: 연구 동향 분석을 중심으로

        연경심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20 아태연구 Vol.27 No.1

        This study analyzed the research trend on development cooperation of ROK in ASEAN region with the view of Post-Development Theory. It aimed at investigating the extent to which ROK has made a commitment to the partner country-oriented development cooperation from the experience of receiving aid support. In this context, this study targeted the ASEAN’s member states which are categorized as the partner countries in development cooperation and also recognized as the strategic partners of ROK. This study reviewed the key implications about the Post-Development Theory, which has been discussed as the alternative to existing donor-oriented development and presented an analytical principle for analyzing the perspectives and performance of development cooperation of ROK. With the proposed framework of content analysis, this study conducted the trend analysis on domestic research outputs in terms of development cooperation between ASEAN and ROK. In result, this study reached that ROK has implemented development cooperation policies and projects by emphasizing its national-level development goals and economic factors in ASEAN region. It hardly seemed that ROK’s approaches have embraced the positions and demands of the partner countries. However, the latest research trend revealed that the areas of development cooperation between ASEAN and ROK have been diversified and non-economic affairs such as social and cultural issues could get attention as well. Thus, this study suggested that ROK would encourage the partner countries to define their own concept of development, set the development goals and attain them from its experience as a partner country. It would be a way to highlight the ROK’s specialized approaches to conduct development cooperation. 포스트 개발 이론의 관점에서 한국의 아세안 지역 대상 개발협력 연구 동향을 분석했다. 협력국으로써 수원 경험이 있는 한국이 협력국 중심의 개발협력에 어느 정도 기여하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개발협력 협력국이자 전략적 파트너로 정책적 협력 관계에 있는 아세안 지역 국가들을 대상으로 했다. 포스트개발 이론의 관점에서 개발협력 인식과 실태분석을 위한 분석틀을 도출하고 한국의 아세안 지역 대상 개발협력에 관한 문헌 연구 결과를 토대로 내용분석 준거를 제시했다. 이 준거에 따라 본 연구는 한국의 아세안 지역의 개발협력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을 분석했다. 그 결과 한국은 국가 수준의 목표와 경제 중심 개발협력 정책과 사업을 추진해 오고 있어 협력국의 입장과 요구를 충분히 수용했다고 보기에는 미흡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최근 들어 한국과 아세안 지역 국가들 간의 협력 영역이 다양해지고, 사회문화적 이슈와 같은 비경제적 요소들에 대한 관심 또한 커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협력국으로서의 경험을 활용하여 한국이 협력국의 입장에서 개발을 정의하고 목표를 설정하여 달성할 수 있는 한국형 개발협력의 특성을 강조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남북협력 동향분석 : 중점 협력분야와 행위자를 중심으로

        연경심 한국동북아학회 2019 한국동북아논총 Vol.24 No.2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a trend of Inter-Korean cooperation focusing on prioritized sectors and actors of cooperation and proposing a future direction of policy in the foundation of conceptual and policy perspectives of cooperation. By applying the Contents Analysis and Keyword Network Analysis, it investigated the trends of laws and policies about Inter-Korean cooperation and the research, which served evidences and implementation approaches of the laws and policies, thus could reach to the results: first, Inter-Korean cooperation has been concentrated on economic cooperation and industrial sector by aids to North Korea in reality even though the laws and policies were open to various and extensive areas of cooperation. However, this study could capture currently changed atmosphere of Inter-Korean relations to diversify cooperative sectors. Second, the actors of cooperation span a variety of entities such as local governments, NGOs and private entities not limited to central governments of two Koreas. Also, as alternative options to direct conversation, cooperative works have been conducted b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cross-border cooperation in the borderland of North Korea, and bilateral or tripartite cooperation with China and Russia and tended to pursue multi-dimensional models with the entities as well. In this context, this study noticed the diversification of sectors and actors of Inter-Korean cooperation, thus proposed the necessities of settling a principle, structuring a governance and presenting a sustainable and long-term roadmap for carrying out effective Inter-Korean cooperation. 본 연구는 협력에 관한 개념과 정책 인식에 근거하여 남북의 주요 협력분야와 행위자의 유형과 특성에 입각한남북협력 동향을 분석하고 협력 정책 방안을 제시하였다. 내용분석과 주제어 네트워크 분석 기법을 통해 본 연구는남북협력에 관한 법제 및 정책, 정책 실행의 근거와 방안을 제시하는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했다. 첫째, 남북협력의 정책 및 법적 대상 범위가 다양하고 광범위하지만 협력분야는 대북지원의 형태로 경제협력과 산업 분야에 집중되었다. 다만, 최근 남북관계 변화에 따라 협력분야도 다각화되고 있다. 둘째, 중앙정부 외에지방자치단체, 비정부기관, 민간 영역에 걸쳐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남북협력의 행위자로 인식되고 있다. 또한 남북 정부 간 직접 대화를 우회하여 국제기구를 매개로 한 협력, 북한 접경지에서의 초국경협력, 인근 중국과 러시아와의 양자 또는 삼각협력 방식이 주요하게 이행되고 있고, 앞으로도 이들과의 다각적인 협력 모델을 모색하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남북협력 분야와 행위자가 다양해짐에 주목하고, 효과적인 남북협력을 위한 원칙수립, 거버넌스 구축, 중장기적이고 지속 가능한 협력 로드맵 도출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포스트개발이론의 관점에서 본 신흥 공여국의 개별협력사업 효과성 제고를 위한 투명성 기준 적용 방안

        연경심 동서대학교 일본연구센터 2016 次世代 人文社會硏究 Vol.12 No.-

        This study aimed at proposing ways to improve guidelines of Aid Transparency for enhancing the performance of emerging donors in terms of Aid Effectiveness following the Global Partnership in development cooperation because there is a critical issue that global governance of development cooperation is still controlled by tradition donor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To achieve these objectives, this study adopted the view of Post-Development Theory to review and analyze the existing guidelines and current evaluation results of Aid Transparency. It resulted that existing guidelines are meaningful for emerging donors to implement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based on the Global Partnership in development cooperation but the principles and methods of Aid Transparency are relevant to the favor and interests of traditional donor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n this respect,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global governance of Aid Transparency would be required to supplement technical terms and methods of Aid Effectiveness, guarantee a harmonized communication channel among the entities concerned and consider flexible policies for emerging donors due to their different background and conditions when setting up and applying the guidelines of Aid Transparency. 본 연구는 글로벌 파트너십에 입각한 개발협력사업의 효과성 제고 규범이 국제사회에서 제시되고 있으나 주요 선진 공여국과 국제기구에 의한 글로벌 거버넌스가 규범 설정 및 적용을 주도하고 있다는 문제인식이 있는 바 개발협력사업 효과성 제고를 위한 중요한 규범 중 하나인 투명성 기준을 신흥 공여국의 입장에서 글로벌 파트너십에 의거하여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포스트개발이론에 근거하여 기존의 투명성 및 투명성 기준 평가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개발협력사업의 투명성 기준은 신흥 공여국의 입장에서도 글로벌 파트너십에 의거한 개발협력의 관점에서 유의미하고 사업 효과성 제고를 위해서도 유용하지만 기준의 내용, 적용 방식 및 효과는 주요 선진 공여국과 국제기구의 개발협력사업의 목적 및 이해와 유관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투명성 기준 설정과 적용에 있어서 사업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사업 기술과 방식을 보완할 필요가 있고, 기준 설정 시 참여 주체 간 형평성 있는 참여와 협의를 보장하고, 주체 간 상이한 사업 수행 여건을 고려한 유연한 투명성 기준 적용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개발협력의 다층적 거버넌스와 지방정부의 글로컬ODA: 부산글로벌도시재단 개발협력 사례를 중심으로

        연경심 국립부경대학교 글로벌지역학연구소 2024 Journal of Global and Area Studies(JGA) Vol.8 No.1

        This study explored the role of local governments in conducting development cooperation actively by conceptualizing Glocal ODA. Recently, the global governance of development cooperation has been changed by the presence of various actors and their roles. In a spectrum of changes, it was witnessed that vertical connectivity between global and local aspects in development affairs. COVID-19 ignited horizontal relations for co-existence and solidarity. These were interpreted as multi-level governance which emphasized the role of connecting spatial hierarchy and horizontal relations in development cooperation affairs. Local governments could be an entity to materialize it. This study conceptualized it as Glocal ODA and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of ODA conducted by local governments. And then, it was reached to the implications for local governments on how to satisfy the required actions in the changed atmosphere of development cooperation. Traditionally, development cooperation has been regarded as a sector mainly led by nation states and their central governments. It is aligned with the newly discussed issues of decentralised development co-operation. This study carried out an analytical framework presenting the features of Glocal ODA and investigated the trends and cases of decentralized development co-operation by local governments in overseas countries. In order to present the implications for domestic local governments, these were compared with the status and cases of ODA condcuted by local governments in domestic areas. As results, domestic local governments were not critically away from the demands of Glocal ODA but still struggling with the limits. Thus, this study proposed three ideas: redefining the roles of local governments as a part of global society beyond domestic aspects, enhancing the intuitions, policies, resources and contents of development cooperation interventions by local government in pursuit of being active players and empowering the systems and capacities of local governments, the development cooperation actors in global society rather than the entity under the guidance of central governments.

      • KCI등재후보

        포스트개발이론의 관점에서 본 신흥 공여국의 개별협력사업 효과성 제고를 위한 투명성 기준 적용 방안

        연경심 ( Kyung Sim Yeon ) 동서대학교 일본연구센터 2016 次世代 人文社會硏究 Vol.12 No.-

        본 연구는 글로벌 파트너십에 입각한 개발협력사업의 효과성 제고 규범이 국제사회에서 제시되고 있으나 주요 선진 공여국과 국제기구에 의한 글로벌 거버넌스가 규범 설정 및 적용을 주도하고 있다는 문제인식이 있는 바 개발협력사업 효과성 제고를 위한 중요한 규범 중 하나인 투명성 기준을 신흥 공여국의 입장에서 글로벌 파트너십에 의거하여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포스트개발이론에 근거하여 기존의 투명성 및 투명성 기준 평가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개발협력사업의 투명성 기준은 신흥 공여국의 입장에서도 글로벌 파트너십에 의거한 개발협력의 관점에서 유의미하고 사업 효과성 제고를 위해서도 유용하지만 기준의 내용, 적용 방식 및 효과는 주요 선진 공여국과 국제기구의 개발협력사업의 목적 및 이해와 유관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투명성 기준 설정과 적용에 있어서 사업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사업 기술과 방식을 보완할 필요가 있고, 기준 설정 시 참여 주체 간 형평성 있는 참여와 협의를 보장하고, 주체 간 상이한 사업 수행 여건을 고려한 유연한 투명성 기준 적용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at proposing ways to improve guidelines of Aid Transparency for enhancing the performance of emerging donors in terms of Aid Effectiveness following the Global Partnership in development cooperation because there is a critical issue that global governance of development cooperation is still controlled by tradition donor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To achieve these objectives, this study adopted the view of Post-Development Theory to review and analyze the existing guidelines and current evaluation results of Aid Transparency. It resulted that existing guidelines are meaningful for emerging donors to implement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based on the Global Partnership in development cooperation but the principles and methods of Aid Transparency are relevant to the favor and interests of traditional donor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n this respect,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global governance of Aid Transparency would be required to supplement technical terms and methods of Aid Effectiveness, guarantee a harmonized communication channel among the entities concerned and consider flexible policies for emerging donors due to their different background and conditions when setting up and applying the guidelines of Aid Transparency.

      • KCI등재

        해외봉사활동 참여 대학생의 진로개발 지원 사전교육 방향 탐색

        이지연(Lee Ji yon),연경심(Yeon Kyung sim) 한국비교교육학회 2017 比較敎育硏究 Vol.27 No.6

        본 연구는 진로발달의 중요한 시기에 있는 대학생들의 해외봉사활동이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이들의 보다 긍정적인 진로개발을 지원할 수 있는 해외봉사활동 사전교육 프로그램의 구성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해외봉사활동 관련 문헌과 해외봉사단 파견 주요 기관의 사전교육 프로그램 및 대학생 대상 진로개발 프로그램을 조사 분석하였다. 우선 문헌 탐색을 통해, 해외봉사활동과 대학생 진로발달 간 다음과 같은 긍정적인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첫째 해외봉사활동이 단순히 개인의 노력이나 재능을 기부하는 자선적, 전통적 개념을 넘어서는 활동으로 변화하고 있고, 둘째 해외봉사활동 참여 대학생들은 그 활동 과정을 통해 자신의 진로 방향설정이나 진로 탐색의 시야를 넓힐 수 있는 계기를 얻게 되며, 셋째 해외봉사활동을 통해 이들은 일과 관련된 경험과 기술, 취업에 필요한 일반적인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를 가진다는 점이다. 다음으로, 현재 해외봉사활동 수행 기관 및 단체의 사전교육 내용을 탐색한 결과, 내용적인 측면에서 봉사 활동 수행에 필요한 정보와 기술, 소양교육, 안전교육 중심으로 사전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결과적으로 해외봉사활동이 참여 대학생의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때 사전교육에 진로개발을 지원할 수 있는 내용 요소가 포함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해외봉사활동과 연계하여 대학생의 진로발달을 지원하기 위한 사전교육 내용 구성 방향으로, 첫째 자기이해 과정 제공, 둘째 현지 활동과 연계한 진로설계 기회 제공, 셋째 자신의 전공 또는 관심영역과 관련한 현지 활동 프로그램 기획 기회 제공, 넷째 봉사활동 전 과정을 포괄, 누적할 수 있는 포트폴리오 개발 경험 제공 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at searching for a direction in organizing prior training programs of overseas volunteering activities for university students who are at critical moment of career development and increasingly participate in overseas volunteering activities. In this context, this study researched the literature on overseas volunteering activities and investigated prior training programs organized by overseas volunteering organizations and career development programs targeting university students. For a start, the literature review of this study found out a positive relation between overseas volunteering programs and career development of university students. First, overseas volunteering programs have presented the progress from traditional charitable concept of volunteering such like contribution of personal efforts or talents. Second, university students could have opportunities to set a direction of career path and have a wider view on career exploration. Third, the students were able to get work- related experience and expertise and exposed to have more opportunities to improve capacities required for employment. Next, this study revealed that existing prior training programs of overseas volunteering organizations and agencies mainly dealt with information and techniques required for implementing volunteering activities, elementary abilities and safety issues.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overseas volunteering activities to career development of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reached that prior training programs should contain contents and educating items supporting career development of the students. Thus, this study proposed the directions in designing prior training programs for career development of university students in connection with overseas volunteering activities. Thus, the prior training programs should set a process of self-understanding, provide an opportunity of designing a career path in relations with local activities, enable the students to plan a local program based on their majors and interests and give a chance to develop a portfolio accumulating activities of the whole process of overseas volunteering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