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후설 현상학 형성의 理氣論的 解釋

        여종현(Yeo Jong-Hyun) 한국현상학회 2004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22 No.-

        본고는 후설의 논리학적 심리학주의 비판을 다룬 후, 그 비판의 성과와 그 성과로부터 그의 현상학이 형성되는 과정을 주자의 이기론(理氣論)에 따라 해석함으로써, 그의 이기론적 사유의 일면이 현상학적 ㆍ 지향적임을 보이려고 한다. 먼저 후설이 위 심리학주의 비판에서 그 성과로 얻은 것, 즉 논리법칙과 그 법칙이 현출하는 실재하는 심적 작용의 차이와 그 양자의 필연적 연관을 주자의 이기불상잡(理氣不相雜)과 이기불상리(理氣不相離)로 해석하고, 理氣의 그런 이중적 관계가 후설이 말한 심의 지향성으로 구성됨을 밝힌다. 그 다음 후설의 최초의 초월론적 현상학은 그의 심리학주의 비판에서 건립된 기술 심리학이 ‘확대’, ‘심화’된 것으로 보고, 그 ‘확대’와 ‘심화’의 의미를 밝힘으로써 그의 기술 심리학이 초월론적 현상학으로 전개되는 과정을 이기론적으로 해석한다. 마지막으로 주자에서 후설의 지향성 탐구의 방법인 형상적 환원과 초월론적 환원에 해당하는 것이 격물치지임을 제시하고 그것은 방법론적 미숙으로 주로 형상적 환원의 역할을 수행함을 지적하고, 그 미숙한 까닭을 밝힐 것을 과제로 남겨놓았다.

      • KCI등재

        후설의 현상학적 제일철학과 보편적 이성사관

        여종현(Jong-Hyun Yeo) 한국현상학회 2008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39 No.-

        본고는 후설의 초월론적 현상학을 해서함으로써 그가 주제적으로 다루지 않은 그의 현상학에 함축된 헤겔의 변증법적-현상학적 이성사관과 구별되는 지향적-현상학적 이성사관을 밝혀낼 것을 과제로 한다. 지향적-현상학적 이성사관은 후설의 현상학적 합리주의인 초월론적 현상학이 세계 역사, 즉 장래에로 열려 있는 세계의 시간(과거) 지평에 적용된 것이다. 그런데 합리주의에는 그 이념이 내재한다. 따라서 합리주의가 역사에 적용된 보편적 이성사관도 그 이념, 즉 역사의 이념을 갖기 마련이다. 그리고 이성사관을 구성하는 근본 개념이 세계 역사의 이념과 그 이념을 규정하는 이성인 까닭에, 본고는 후설의 현상학에 함축된 이성사관을 밝혀내기 위해 그의 현상학의 이념과 그 이념을 가능케 하는 현상학적 이성의 성격인 지향성의 관계를 고찰하는 데서 시작한다. 그 다음 세계의 명증적 인식의 관점에서 후설 현상학의 이념을 해석함으로써 그 이념에 함축된 세계 역사의 현상학적 이념을 이성의 자기 인식으로, 그리고 세계 역사의 현상학적 이념인 이성의 자기 인식에 함축된 이성의 ‘자기-자신 곁에-있음’이라는 이성의 자기(명증적) 존재(소여성) 방식, 즉 자유의 실현을 세계 역사의 현상학적 목적으로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후설에서 역사성의 3단계를 제시한 후, 이 3단계와 앞서 제시된 인류(세계) 역사의 이념과 목적의 관점에서 인류(세계) 역사의 각 시대를 해석하고, 역사의 종말을 이중적 관점에서 다룬다. I here aim to disclose the intentional-phenomenological rational view of history concealed in Husserl's transcendental phenomenology, which was not thematically treated by him and is different from Hegel's dialectic-phenomenological rational view of history. The intentional-phenomenological rational view of history is formed when his phenomenological rationalism(transcendental phenomenology) is applied to the history of world. And rationalism has its ideal in itself. Therefore, the rational view of history formed in applying of rationalism to the history of world, naturally, has its ideal, namely, the ideal of world-history. I think that fundamental concepts constituting the rational view of history are the reason and the ideal of world-history determined by the reason. In this view, to disclose the phenomenological rational view of history concealed in his transcendental phenomenology, I first consider the relation between his ideal of phenomenology and his phenomenological character of reason, ie., intentionality, which makes the ideal possible. After considering it, by interpreting his ideal of phenomenology in the terms of the evident knowledge of world, I show that the phenomenological ideal of world-history implicated in his ideal of phenomenology is the self knowledge of reason. Continually, I show that the phenomenological aim of world-history implicated in the phenomenological ideal of world-history is the realization of freedom, which means reason's Being-by-it-self, namely, reason's own mode of Being. Lastly, according to three steps of history offered by Husserl, and in the view of the ideal and aim of history disclosed by me, I interpret each age of world-history and understand the end of history by its twofold means.

      • KCI등재

        도덕생명의 현상학에로(Ⅲ)

        여종현(Yeo Jong-Hyun) 한국현상학회 2006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31 No.-

        본고는 후설의 초월론적 현상학을 도덕생명의 현상학으로 승화시키려는 일련의 작업들 중 마지막 작업이다. 이 작업은 존재론적 작업과 방법론적 작업으로 이분된다. 여기서 우리의 작업은 그 존재론적 작업에 한정된다. 따라서 본 작업은 도덕생명의 현상학의 존재론적인 최종 정초작업이지 그 방법론적인 최종 정초작업은 아니다. 그리고 그 존재론적 정초 작업은 지행합일의 존재론적 주체를 현상학적으로 정초하는 작업이다. 그 주체의 현상학적 정초를 위해 우리는 Ⅱ장에서는 양명의 지행합일을 지향적으로 해석함으로써 지행합일의 존재론적 주체가 지녀야 할 형식을 제시한다. 그리고 Ⅲ장에서는 도덕생명의 현상학의 성립 요건과 성립 과정을 밝힌 후, 양명의 주자 비판이 지행합일의 존재론적 정초작업의 통로임을 제시하고, 양명이 주자의 비판을 통해서 확보한 그의 심이 Ⅱ장에서 제시한 지행합일의 존재론적 주체의 형식적 요건을 지닐 수 있는지 현상학적으로 검토한다. 결론에서는 Ⅱ장과 Ⅲ장의 논의를 바탕으로 형식과 내용을 동시에 지닌 지행합일의 존재론적 주체와 그 주체 속에 함축된 지행합일의 현상학적 존재론을 제시하고, 그와 함께 본 작업은 주자철학과 양명철학의 각 단점을 지양하고 그 장점들을 현상학적으로 종합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었음을 밝힌다. This thesis, which is made up of Introduction(chapter Ⅰ), Unity of Knowledge and Conduct and Intentionality(chapter Ⅱ), Ontological Subject of Unity of Knowledge and Conduct(chapter Ⅲ), and Conclusion(chapter Ⅵ), aims to found the ontological subject of Unity of Knowledge and Conduct through the considerations of relation between Husserl' concept of mind and Yangming's concept of mind In the chapter Ⅱ, in terms of Husserl's concept of intentionality, I interpret Yangming's Unity of Knowledge and Conduct, and, by doing so, present the form of the ontological subject of Unity of Knowledge and Conduct. In the chapter Ⅲ, first, I present that Yangming's critique against Zhuxi's concept of mind is a passage to ontological foundation of the Unity of Knowledge and Conduct, and, then, examine whether the mind that he has obtained by criticising Zhuxi's concept of mind can really satisfy the formal conditions of the ontological subject of Unity of Knowledge and Conduct that presented in the chapter Ⅲ. In the conclusion, on the basis of the discussions of chapter Ⅱ and Ⅲ, I present the form and contents which ontological subject of Unity of Knowledge and Conduct has to have.

      • KCI등재

        현상학적 지향성과 도덕교육

        여종현(Jong-Hyun Yeo) 한국현상학회 2005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24 No.-

        본고는 교육의 본래적 의미를 도덕교육에서 찾고, 도덕교육의 가능성의 존재론적(철학적) 토대가 현상학적 지향성임을 입증한다. 이 과제를 위해 먼저 지향성의 현상학적 개념을 해명한 후, 가치와 사실의 관계에 관한 자연주의, 비자연주의, 비인식주의에 대한 지향적 비판을 수행하여, 지향적 의식이 도덕적 가치의 존재론적 근거임을 밝힌다. 그 후 위 이론들은 또한 도덕교육의 존재론적 근거가 될 수 없음을 밝힌다. 그 까닭은 도덕교육이 가능하자면 가치가 주관성과 객관성을 동시에 지녀야 하는데, 심리학주의(자연주의)에서는 가치의 주관성만이, 비자연주의(형이상학적 객관주의)에서는 객관성만이 획득되기 때문이다. 이어서 가치가 주관성과 객관성을 동시에 지닐 수 있는 존재론적 근거를 의식의 지향성에서 찾는다. 가치의 주관성은 의식의 내실적 내재에 속하는 평가 작용의 가치 구성적 작용(지향작용)에서, 가지의 객관성은 평가작용을 초월한 가치의식의 선험성(지향대상)에서 유래한다. 이로써 도덕교육의 가능성의 존재론적 근거가 지향적 의식임을 입증한다. 결론에서는 근대 이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도덕교육은 주로 그에 합당하지 않는 실증주의(심리학주의)를 그 존재론적 근거로 함에 따라, 인간성이 상실된 사실 인간만을 양성하였으며, 그 결과 인간성의 위기, 교육의 위기가 야기되었음을 지적하고, 교육이 그 위기를 극복하려면 도덕교육이 그에 합당한 존재론적 근거, 즉 지향적 의식에 기초한 현상학적 철학들에로 귀환해야 함을 지적하고, 현상학적 철학이 도덕교육에 중대한 의의를 지니는 것은 바로 그 귀환에 있음을 지적한다. In this essay, I try to prove that phenomenological intentionality is the ontological base of possibility of moral education in which the original sense of education is hidden. To prove it, I disclose the phenomenological concept of intentionality, and explain briefly the theories on relation of value with fact, namely naturalism or psychologism, unnaturalism or metaphysical objectivism, emotivism as preliminary date to search the ontological base of moral value, and find the base in the intentional consciousness through the intentional criticism on the theories. Continually, I analyze the frame of intentional consciousness by explaining the processes that the moral value is constituted in the intentional consciousness identified as the ontological base of moral value, and discuss the character of the value in above theories from viewpoints of the frame of intentional consciousness, and discuss the essential character of the moral value which is required to the moral education. The result of the discussion is as follows The moral education can be only performed, if the moral value can have both subjectivity and objectivity, but naturalism can have only the subjectivity of the moral value, unnaturalism only it's objectivity. Therefore, they can't be ontological basis of moral education. I present the intentional consciousness forming necessary correlation of intentional act with it's object as ontological base which the moral value can have both subjectivity and objectivity. The subjectivity of the moral value originates in the intentional act which belongs to the real[reel] immanence of the intentional consciousness and constitutes the value, it's objectivity in the apriority of the value, namely intentional object that transcends intentional act and belongs to immanent transcendence of intentional consciousness. From this is proved that the intentional consciousness is the ontological base of possibility of the moral education. Lastly, I think that the moral education has made merely fact-minded people and has brought about the crisis of the humanity and the crisis of the education because it has taken positivism, namely naturalism or psychologism which is not suitable to it as it's ontological base from the modem age down to the present, and that it must return from the positivism which forgets intentionality into the phenomenological philosophy which finds it and takes it as it's base if it try to overcome it's crisis, and that it is just in the returning that the phenomenological philosophy has it's significance in the moral education.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후설과 주자에서 심의 이중성

        여종현(Jong-Hyun Yeo) 한국현상학회 2013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58 No.-

        본고는 1) 주자의 심의 이중성, 즉 인심과 도심이 근대 인간성 위기에 관한 후설의 현상학적 사유의 한 조잡한 원시적 모델일 수 있음을 보이고, 2) 그렇게 함으로써 도의 현상학에로의 예비적인 길을 탐색할 것을 시도한다. 본고의 이러한 과제 설정의 근거는 그들 심의 이중성 사이에, 즉 후설의 심리학적 심과 주자의 인심, 후설의 초월적 심과 주자의 도심 사이에 어느 정도의 유사성이 존재하는데 있다. 이 유사성을 보이는 과정에서 그들 두 철학자의 장단점을 발견하고, 일방의 단점이 타방의 장점을 통해서 보완되어야만 하는 필요성을 밝히며, 그 상호 보완의 결과로서 인간성에 관한 새로운 현상학, 즉 도의 현상학의 출현의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다. This essay aims to show that the mind’s duality in Zhuzi, renxin and Daoxin, can be a crude primitive model of Husserl’s phenomenological thinking with respect to the crisis of modern humanity, and by doing so, attempts to open a preliminary road to the phenomenology of Dao. The decisive reason that Zhuzi’s theory of the mind’s duality could be such a model is that there could, to some degree, be a parallel between Zhuzi and Husserl with respect to the mind’s duality, between Husserl’s psychological subjectivity and Zhuzi’s renxin, and between Husserl’s transcendental subjectivity and Zhuzi’s Daoxin. In the processes showing this, I identify merits and demerits in the thoughts of both Husserl and Zhuzi and explicate why the weaknesses of one should be replaced or complemented with the strengths of the other. As a result of the inter-complementarity, we could anticipate a possibility of the appearance of a new phenomenology for humanity, which is called the phenomenology of Dao.

      • KCI등재
      • KCI등재

        비코와 후설의 비교연구

        여종현(Jong Hyun Yeo) 철학연구회 2010 哲學硏究 Vol.0 No.88

        Descartes reformed the sciences by trying to rightly use reason according to his philosophical methods. In my opinion, both Giambattista Vico (1668-1744) and Edmund Husserl (1859-1938) realized that reason in Descartes began to be used wrongly and to deviate from its right way to go. So they criticized and tried to overcome Descartes, by using reason according to their philosophical methods that are different from Descartes`s philosophical methods. In overcoming Descartes, Husserl was completely successful, but Vico was partially successful, and his thinking leaves uncompleted. Even though Vico was unsuccessful in completely overcoming Descartes, we can here see that Descartes is criticized by both Vico and Husserl. For that reason, I think that Descartes can serve as a medium for a comparative study of Vico and Husserl. I aim to attempt the same in this paper.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how that first, Vico`s thinking is phenomeno- logical in Husserl`s sense, and that he can be a pioneer of Husserl`s phenomenology. Second, Husserl`s transcendental ego is possibly the root of Vico`s thinking not found out by him; thus, his transcendental phenomenology can be seen as a completed form of Vico's thinking.

      • KCI우수등재

        전일의학을 위한 대체의학에로의 현상학적 접근

        여종현(Jong-Hyun Yeo) 한국철학회 2011 哲學 Vol.0 No.108

        본고가 정초하고자 하는 전일의학은 현대의학과 대체의학이 산술적으로 통합된 의학이 아니라 WHO에 의해 규정된 건강, 즉 “단순히 질병 없는 상태가 아니라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그리고 영적으로 정상인 상태”를 충족시키는 의학이다. 이러한 전일의학은 현대의학을 중심으로 정초될 수 없고, 대체의학을 중심으로 정초될 수 있다. 그 까닭은 현대의학은 그것이 기초해 있는 철학의 성격상 대체의학이 그 안에 통합될 수 있는 전일성을 가질 수 없고, 대체의학은 그것이 기초해 있는 철학의 성격상 현대의학이 그 안에 통합될 수 있는 전일성을 갖기 때문이다. 현대의학이 심신이원론적인 데카르트적 철학에 기초한다면, 대체의학은 그러한 이원론적 철학을 극복한 철학에 기초한다. 데카르트적인 이원론적 철학을 극복한 철학들 중의 하나가 후설의 초월 현상학이다. 본고는 후설의 초월 현상학이 현대의학이 그 안에 통합될 수 있는 대체의학의 전일성의 철학적 기초임을, 다시 말하면 대체의학의 전일성은 후설의 초월 현상학에서 의해서 정초됨을 보이고자 한다. ‘Holistic medicine’ in the sense for which I will here try to provide a foundation is not a mathematical combination of modern medicine and alternative medicine, but an approach to medicine that can meet the concept of health defined in 1998 by the WHO: “a state of complete physical, mental, social, and spiritual well-being and not merely the absence of disease or infirmity.” This holistic medicine should be founded with not modern medicine but alternative medicine as its central approach. (This is one reason that alternative medicine is getting a spotlight as a new medicinal approach for the 21st century.) The reason is that modern medicine is strongly influenced by a philosophy in which alternative medicine cannot be involved, a Cartesian philosophy of mind?body dualism, while alternative medicine is based on or amenable to philosophies in which modern medicine can be incorporated, philosophies that overcome this Cartesian, dualistic philosophy. One such philosophy is Husserl’s transcendental phenomenology.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how transcendental phenomenology may be an appropriate philosophical basis for an alternative medicine in which modern medicine can have a pl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