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가연금화 전략의 요구수익률 분석

        여윤경 한국재무관리학회 2012 財務管理硏究 Vol.29 No.1

        We derive the internal rate of return with respect to self-annuitization using life annuity payouts over time. The return called implied longevity yield (ILY), which is suggested by Milevsky(2005), is one of life annuity index to track and explain the benefits of life annuity payouts over time. A larger ILY value indicates a greater relative benefit from immediate annuitization. For this index, we use life annuity quotes from major life insurance companies in Korea. We obtain various levels of ILY values using 5 different age points, male and female retirees, and 5-year and 10-year time frame. We find that, for the case of 10 years of self-annuitization, the ILY varied from 4.60 percent to 6.26 percent for males and from 4.37 percent to 5.38 percent for females depending on their annuitizing age. The ILY results can help explain the benefit of annuitization by providing more measurable financial rate of return. 본 연구는 자가연금화(self-annuitization) 전략의 요구수익률을 도출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즉 은퇴시점에 은퇴자산을 연금화하지 않고 자가연금화 전략을 5년 또는 10년간 취할 경우 연금화의 경우와 동일한 현금흐름을 발생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내부수익률을 추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Milevsky(2005)의 ILY(Implied Longevity Yield) 모형이 이용되었고 국내의 생명보험회사에서 실제 판매중인 종신연금상품의 연금지급금액이 사용되었다. 그 결과 자가연금화 전략의 ILY는 개인의 연령, 성별, 기간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는데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여성보다 남성의 ILY가 더 높았으며, 10년 동안의 ILY가 5년 동안의 ILY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남성의 경우 특히 고연령층에서는 연금화 전략이 매우 높은 재무적 혜택을 제공한다는 것과 단기간이 아닌 장기간 자가연금화 전략을 취하는 것은 연금상품과 동일한 수준의 재무적 성과를 달성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음을 시사해 준다. 또한 자가연금화 전략의 ILY 수준은 국고채 투자를 고려한다고 해도 연령별, 성별로 그 현실성이 매우 달라짐을 발견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개인연금의 소득대체율에 관한 연구

        여윤경 이화여자대학교 경영연구소 2016 신산업경영저널 Vol.34 No.2

        This study analyzed personal pension replacement rates of pre-retired households using the most recent dataset. For this purpose, 7th NaSTaB (National Survey of Tax and Benefit) of Korea Institute of Public Finance in Korea was used. For theoretical model, simplified life cycle model was applied to retirement income replacement rate approach. This provides information regarding the living standard during retirement years, which is relative to the living standard during pre-retirement years. Three benchmarks were used in this study; pre-retirement income(rep1), poverty threshold in retirement(rep2) and total wealth at retirement(rep3). The averages of the rep1, rep2 and rep3 were 3.59%, 16.56%, and 8.99% respectively. Not controlling for other factors, income, non-financial wealth, total wealth, and net wealth wer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three personal pension replacement rates. On the other hand, large variations of the three replacement rates among sub-sample were found. After controlling for other factors, householders’ education level and occupation, and financial and non-financial wealth were crucial determinants of the three personal pension replacement rates.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useful implications for future personal pension system and tax policy in Korea. 본 연구는 한국조세재정연구원의 가장 최근 자료인 재정패널조사 7차 자료를 이용하여 개인연금의 소득대체율에 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개인연금소득이 은퇴 직전소득을 대체하는 rep1의 평균값은 3.59%, 개인연금소득이 은퇴 빈곤선을 대체하는 정도인 rep2의 평균값은 16.56%, 총자산에서 개인연금자산이 차지하는 rep3의 평균값은 8.99%로 각각 산출되었다. 다른 변수들을 통제하지 않은 상태에서 이러한 세 가지 소득대체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소득수준, 비금융자산, 총자산, 순자산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세부 집단 간 소득대체율의 변동성은 상당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변수들을 통제한 상태에서 소득대체율에 영향을 미치는 각 변수들의 독립적인 효과를 분석한 결과 rep1과 rep2는 가구주 직업, 금융자산, rep3은 가구주 교육수준, 소득수준, 금융자산, 비금융자산이 결정요인으로 추출되었다. 개인연금 소득대체율에 독립적 영향력을 미치는 이러한 요소들에 초점을 두고 개인연금 관련 정책 및 제도의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그 어느 국가보다 급속한 고령화를 겪고 있는 우리나라의 상황 하에서 본 연구는 사적연금정책 및 제도마련, 개인연금 상품 개발을 위한 유용하고 구체적인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이다.

      • KCI등재

        상속동기를 반영한 주택연금의 평가와 가입전략– 주택연금의 역할 관점에서

        여윤경,양재환 한국리스크관리학회 2018 리스크 管理硏究 Vol.29 No.1

        Recently, the reverse mortgage loan system in Korea (JooTaek YeonKeum, JTYK) has attracted a lot of attentions as its number of opting-in cases increases dramatically. But, many Korean elderlies, who have strong bequest motive, are still avoiding the JTYK because opting-in the JTYK often implies less or no bequeathed wealth for their children. That is, the bequest is an important issue when opting-in the JTYK is considered. However, a lot of studies regarding the JTYK have analyzed benefits of the JTYK without considering the bequest feature included in the JTYK. In this study, we include the bequest motive in the expected utility evaluation model and examines the effects of the strength of bequest motive on the expected utility value earned from the JTYK. In details, we analyze the effect of the status change such as opting-in or not opting-in the JTYK and various opting-in age, value of house, value of general pension and net wealth value except for the house on expected utility value as the strength of bequest motive changes. Finally, we measure the benefit of opting-in the JTYK, which is defined as the longevity risk alleviation, with different strength values of bequest motive. As results, first if we include the bequest motive in the expected utility model, then the expected utility value is increased as expected. Also, in terms of utility rate increase the fixed payment scheme performs better than both the two-phased payment scheme and the preferential payment scheme. Second, in terms of total expected utility,it is more beneficial if people opt-in the JTYK as early as possible but in terms of utility rate increase, it is better if the opting-in timing is as late as possible. Finally, as the strength of bequest motive increases, the longevity risk alleviation effect by the JTYK decreases.

      • KCI등재

        가계의 순자산과 자산 배분에 관한 연구

        여윤경,주소현 한국산업경제학회 2009 산업경제연구 Vol.22 No.5

        고령화와 저금리의 환경 하에서 가계의 자산배분 결정은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음을 인식하여 본 연구는 우리나라 가계의 순자산과 자산배분과의 관계를 밝히기 위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 가계는 가구주 연령, 교육수준 등의 주요변수들을 통제한 상태에서도 위험자산과 투자 부동산의 비중이 크고 부채의 비중이 작을수록 순자산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순자산 수준은 실물자산, 위험자산, 부채의 비중에 모두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자산배분결정이 가계의 순자산의 증감에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는 것과 순자산 수준이 자산배분결정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모두 확인할 수 있었다. 우리나라 가계의 순자산과 자산배분과의 관계들 설명하는 최종모형은 위험자산의 비중, 즉 위험회피도의 감소가 순자산의 증가에 크게 기여함을 제시해 주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고령화와 저금리 시대에 우리나라 가계의 순자산 증식을 위한 자산배분의 변화방향에 대하여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다.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eholds' net worth and asset allocations using cross-sectional evidence from the 2006 Korean Household Asset Survey by KNSO. This study presents that high proportions of risky assets and non-residential real estate significantly increase households' net worth, and that the households' net worth also affects the shares of risky assets, real estate, and debt of the households' portfolio after controlling for household's characteristics. Thus, this study confirms that households' net determined by the asset allocation. Our final model suggests that the proportion of risky asset has a strong positive effect on increasing households' net worth. These result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improving asset allocation of Korean households in low interest and rapidly aging society.

      • KCI등재

        소비자의 주택 점유형태 선택의 결정요인

        여윤경,윤지영 대한가정학회 2003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41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on consumer's housing tenure status by various household's characteristics. This study used 1997 KHPS(Korea Household Panel Study) by Daewoo Economic Research Institute and used 1,997 households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re were major differences in household's characterlstics by consumer's housing tenure status, except for the household's monthly income and savings. 2. Fasctors affecting consumer's choice of 'owning' a house and taking a 'chonsei' system were very similar, but they affec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3. Factors affecting consumer's choice of taking a 'chonsei' system and 'renting' a house were much more similar, and they affected in the same direction. This study can be useful in developing housing service and design, and housing policy by consumer's choice of housing tenure statu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가계 투자자산 규모의 결정요인

        여윤경 한국소비문화학회 2003 소비문화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가구주의 연령 대에 따른 가계 투자자산의 규모를 살펴보고,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은 무엇인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1997년 한국가구패널조사 자료 중 자산관련 질문에 빠짐없이 응답한 취업가계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t-test, ANOVA 및 tobit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가구주의 연령 대에 따라 투자자산 규모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소득의 경우는 모든 연령에서 투자자산 규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가구주의 교육수준, 가구주의 건강상태, 가구주의 직업, 결혼상태, 주택자산은 연령 대에 따라 투자자산 규모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볼 때, 재무설계사나 재무상담가는 가구주의 연령 대에 따라 적절한 자산중식 행동전략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 고령화와 저금리 시대의 가계재무전략

        여윤경 이화여자대학교 생활환경대학 인간생활환경연구소 2004 인간생활환경연구소 논집 Vol.- No.2

        Korea's ratio of those over age 65 to those 14 or under, an indicator of the society's vitality, will jump from 23rd highest in the world to second highest by 2050. As the numbers indicate, Korea is by far the world's fastest aging society. In addition, the Korean economy has been caught in the snare of low growth. It caused continual low interest trend and unstable financial market. This, study investigated family financial strategy in aging society and depressed financial market. Specifically, this study showed the amount of retirement funds needed for dual-income couple and single-income couple. Also, this study suggested family financial strategies for pre-retired family and retired family separately. This study can help families to identify general guidelines for financial preparation for retirement in aging societyand in the poor economic situ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