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토리노의 수의’를 통한 앙드레 바쟁의 사진적 지표성 개념 재고

        여문주 한국기호학회 2022 기호학연구 Vol.72 No.-

        This paper is an extension of various attempts of ‘Re-reading Bazin’ made in the context of the generational shift to digital movies that had brought opportunities of further re-examination of A. Bazin’s realism. The ‘indexicality’ implied in his famous text, “L’ontologie de l’image photographique” requires, differently from the critical stance on the ‘Index Theory’, a very close examination in that it is not only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cepts for understanding his thinking about photography, but also it forms the basis of his realism of film critics. This paper proposes to approach this concept of indexicality-still remained at the heart of the so-called ‘index argument’-more flexibly, considering its organic relationship with his realism aesthetics. Therefore this paper will try to interpret i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hroud of Turin’, because it could be an important clue to reveal the complexity inherent in his thinking of photography itself as well as the richness of his realism aesthetics. And the debate over the authenticity of the shroud, heated with the release of its photography, will be reviewed again as an interesting example showing that the signification of index takes place in an uncertain and non-deterministic manner in a complex and multi-layered relationship with the referent. 본고는 디지털 영화로의 전면적인 세대교체와 맞물려 이루어지고 있는 바쟁의 리얼리즘 영화미학의 재조명 작업들 가운데 ‘바쟁 다시 읽기’의 연장선에서 쓰인 것이다. 본고는 바쟁의 「사진적 이미지의 존재론」에 함축되어 있는 사진의 ‘지표성’ 개념은 기존의 ‘지표 이론’에 대한 비판적 관점과는 달리, 그의 사진론을 이해하는 데 매우 핵심적인 개념에 해당될 뿐만 아니라, 그의 리얼리즘 미학의 토대를 이루고 있다는 생각에기초하고 있다. 이에 본고는 이른바 ‘지표 논쟁’의 중심에 놓여있는 바쟁의 지표성 개념을 그의 리얼리즘 미학과의 유기적인 연관관계 속에서 보다 유연하게 접근할 것을제안한다. 본고는 특히 바쟁 자신이 언급한 ‘토리노의 수의’가 그의 사진론 자체에 내재된 복잡성뿐만 아니라, 그의 리얼리즘 미학의 풍부함 또한 드러낼 수 있는 단서가된다고 보고, 이 토리노의 수의를 중심으로 「존재론」 다시 읽기를 시도한다. 이때 수의의 사진 공개와 함께 가열됐던 진위공방은 지표의 의미작용이 지시대상과의 복잡하고다층적인 관계 속에서 불확실하고 비결정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짐을 보여주는 흥미로운 사례로 다시 검토될 것이다. 아울러 바쟁 자신이 추상적 언어로 내비쳤던 리얼리즘사진의 예술성은, 지표성에 내재된 사진의 존재론적 패러독스를 존중하는 사진가의‘적극적’ 실천을 통해 현실의 ‘애매성’을 드러내고 관객의 능동적 참여를 유도하는 데있음을 논구할 것이다.

      • KCI등재

        디디 위베르만의 변증법적 몽타주를 통한 민중들의 형상화와 미술의 역사 다시 쓰기

        여문주 프랑스문화예술학회 2022 프랑스문화예술연구 Vol.79 No.-

        디디 위베르만은 민중들의 상실과 종말이라는 동시대의 비관적 담론들을 비판하며, 억압받는 민중들의 전통을 다시 노출시키는 것을 예술가와 역사가의 책임이라고 말한다. 그가 미술사의 전제조건으로 언급하고 있는 역사철학과 예술철학은, 역사를 기술하고 작품을 제작할 때 민중이라 호명될 수 있는 모든 사람들에게 그들의 이름을, 그들의 목소리를, 그들의 얼굴을, 그들의 몫을, 그리고 인간으로서 그들의 존엄성을 되돌려주는 일을 가장 중요한 과제로 삼는다. 미술사가로서 디디 위베르만은 이렇게 기존 미술사에서 배제되어 왔던 민중들을 새롭게 논의의 중심에 둠으로써, 16세기 바자리가 정립한 순수 미술사의 거대서사에 의해 자신의 영역을 제한하게 된 문헌학적 미술사의 흐름에 역행하여 인류학적 차원의 미술사로 전환할 필요성을 역설하고 있다. 이에 본고는 미술사의 인류학적 전환의 중심에 놓여있는 그의 민중 개념과, 바르부르크와 벤야민에 기초한 ‘이미지로의 사유’와 변증법적 몽타주의 글쓰기 방법의 분석을 통해 그 전환이 갖는 의미를 규명하고자 한다.

      • KCI등재

        1970년대 행위미술에 나타난 사진의 위상 전환- ‘지표성’ 개념을 중심으로

        여문주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2022 한국예술연구 Vol.- No.3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oint out the unprecedented use of the photographic medium in 1970s Korean performance art, and to discuss its aesthetic aspects and philosophical meanings which has not received special attention in existing historiography on Korean contemporary art. For this purpose, we will examine the artists of the 'S.T' group, especially Lee Kun­Yong, Sung Neung­Kyung who have explored most vigorously the artistic possibilities of photography based on their own serious reflection on this medium. We will verify that the ‘indexicality’ appears very clearly in their works, and then analyse this indexicality as it operates as a kind of conceptual model, making a complex and interlayered relationship with art. We read this emergence of indexical symptoms in terms of their attitude toward time. 본고의 목적은 1970년대 한국 행위미술에서 사진 매체의 증가와 그 위상 전환의 과정을 확인하고, 기존 현대사진의 역사 기술에서 특별한 주목을 받지 못했던 이 시기 미술 내 사진의 미학적, 예술적 의미를 논구하는 데 있다. 이에 본고는 사진을 행위미술과 결합하거나 독립적인 표현매체로 광범위하게 사용했던 ‘S.T’ 그룹 작가들을 중심으로 살펴보되, 특히 사진 매체에 대한 진지한 성찰을 바탕으로 그 예술적 가능성을 탐구했던 이건용과 성능경의 작업을 중점적으로 검토한다. 본고는 이들의 작업에서 ‘지표성’이 단계적으로 부각돼 나타나고 있음을 드러내고, 그것이 미술과의 중층적 관계를 만들어내는 일종의 ‘개념적 모델’로 작동하고 있음을 분석함으로써, 이러한 지표적 징후의 부상의 의미를 읽어내고자 한다.

      • KCI등재

        이승택의 ‘행위적 사진’ 연구

        여문주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2023 한국예술연구 Vol.0 No.40

        Most evaluations of Lee Seung-Taek’s art have focused on his sculptures, objects, installations, and performances produced within the context of the Korean experimental art movement in the 1970s. However, as an artist constantly exploring new materials and experimenting with new forms through his concept of ‘non-sculpture,’ he also actively utilized photography in various ways earlier than his contemporaries. He delved into the artistic possibilities of photography, not solely as a means of documenting artwork, but as an integral process in completing its meaning.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aesthetic and artistic significance of Lee Seung-Taek’s photography in the history of Korean contemporary art by closely examining the changes and defining characteristics of his photography over different periods. Furthermore, by approaching his works through the prism of photography, an aspect that has received limited attention in prior research, this paper seeks to uncover a new facet of Lee Seung-Taek’s art. 이승택에 대한 기존의 미술사적 가치 평가는 대부분 70년대 실험미술 내에서 전위적 형식으로 제작됐던 조각, 오브제, 설치, 퍼포먼스 등의 작품을 중심으로 논의되었다. 그러나 그는 자신의 ‘비조각’ 개념을 통해 부단히 새로운 소재를 찾아 새로운 조형성을 실험하는 가운데, 누구보다 이른 시기에 매우 다양한 방식으로 사진을 적극 활용했던 작가이기도 하다. 그는 사진을 단순히 작품을 기록하는 수단이 아니라, ‘작품의 의미를 완성하는 중요한 과정’으로 간주함으로써 사진의 예술적 가능성을 지속적으로 탐색해왔다. 이에 본고는 이승택의 사진 활용 방식과 형식에 나타나는 시기별 변화의 양상과 특징을 면밀히 분석하고, 사진이 그의 작품을 구성하는 제 요소들과 복잡하고 중층적인 관계를 이루고 있음을 논구한다. 아울러 그의 사진 작업이 한국 현대사진의 역사에서 갖고 있는 미학적, 예술적 의미를 논구하고, 이를 통해 선행 연구에서 드러나지 않았던 그의 예술의 새로운 면모를 살펴본다.

      • KCI등재

        1980년대 ‘비판적 리얼리즘’ 미술의 사진 담론: 벤야민의 매체미학 수용을 중심으로

        여문주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비교문화연구소 2023 비교문화연구 Vol.70 No.-

        This paper examines how new perceptions and discourses on photography emerged within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Minjung Art’s contemporary texts. If the 1970s exposed only the mass culture allowed under the control of fascist totalitarianism, the 1980s marked an era of ‘image excess’ disseminated by mass media as fascism receded into the background and full integration into the consumer capitalist world order occurred. This radical shift in visual culture profoundly influenced the contemporary art’s perspective on photography. Photography, which shares a specific plastic language with art in terms of aesthetics, occupies a unique position, serves as both a key ideological medium that shapes a new visual culture environment and a medium that reveals hidden realities. This paper, as an ideological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the aesthetic positions and attitudes of the time towards the transformed reality of visual culture, examines various Western theories of photography as it was introduced in Korea during that period. It analyzes how these theories were embraced, with a special emphasis on the reception and influence of Benjamin’s theory that played a prominent role in shaping perceptions of the relationship among art, media, and reality within the photographic discourse.

      • KCI등재
      • KCI등재

        살가도 사진에 대한 프랑스 저널리즘의 비판적 수용과 포토저널리즘의 키치화 문제에 대한 고찰

        여문주 한국프랑스학회 2013 한국프랑스학논집 Vol.84 No.-

        Contrairement à un accueil unilatéral en Corée qui loue avec enthousiasme la photographie de Salgado considérant ce dernier comme un grand photoreporter humaniste, ou comme un artiste véritable, celui de la France s’avère différemment. Divisée en deux parties, d’abord, celle qui partage le même enthousiasme qu’en Corée, ensuite, celle qui critique sévèrement le travail de Salgado en le qualifiant de spectacle, de cliché, voire même de kitsch, la polémique française soulevée tout particulièrement lors de l’exposition de ce photographe à la MEP en 2001, nous montre l’acceptation des idées différentes ou même opposées sur les mêmes pages de journaux français concernant un phénomène artistico-culturel. Cette présente thèse s’intéresse plutôt à cette acceptation critique pour savoir pourquoi ce photoreporter mondialement reconnu a été mal reçu en France. Ce qu’une photographie enregistre n’est qu’une des multiples facettes du réel coupée du continuum spatio-temporel ; le réel n’est jamais « épuisable » si nous empruntons l’expression de Mikel Dufrenne, ni par la perception de l’oeil ni par la prise de vue. Certes, le photoreporter projette son regard sur le monde au lieu de transmettre l’information brute. Or cela ne veut pas dire pour autant que son acte photographique soit complètement détaché du réel pour faire de la « fiction ». Il ne faut pas non plus se laisser emporter totalement par les faits bruts à partir desquels la photographie peut créer « des formes d’expressions visuelles autonomes ». Il semble, néanmoins, que Salgado a perdu cet équilibre entre ce que Siegfried Kracauer appelle « la tendance créatrice » et « la tendance réaliste ». Certaines photos de Salgado abusent de cette possibilité interprétative alors que la photographie de presse a le devoir déontologique, contrairement à la photographie d’art, de donner des informations exactes et de témoigner des événements pour faire l’Histoire. Ce n’est donc pas par hasard si le travail de Salgado évoque l’un des quatre protagonistes principaux du roman de Milan Kundera L‘insoutenable légèreté de l‘être, roman qui tente d’ailleurs d’élaborer les différents types de l’homme vis-à-vis de la réalité et du kitsch. C’est l’idéaliste romantique, Franz (professeur de renom) qui cherche le sens de la vie dans les révolutions, dans les projets utopiques et dans les cortèges. Il est donc séduit, bien que conscient de son danger, par l’idée de la « Grande marche ». Or, cette dernière ne tolérant pas l’individualité, la différence, ou la déviation au nom de l’Égalité, de la Justesse, et du Bonheur, ne s’avère, contrairement à la croyance de Franz, dit Kundera, « qu’un spectacle, qu’une danse, qu’une fête, autrement dit : un rêve ». Nous retrouverons cette même conviction pour l’humanité et ce même espoir pour l’avenir de l’homme dans la photographie documentaire de Salgado, alors qu’elle frôle à tout moment l’idéalisme en rose du kitsch.

      • KCI등재

        3D 기술 복제가 예술작품의 수용방식에 미치는 영향 : 벤야민의 아우라 개념을 중심으로

        여문주 한국미학회 2019 美學 Vol.85 No.3

        본 논문의 목적은, 과거의 생산방식에 혁신적인 전환을 가져올 차세대 신기술로 각광 받고 있는 3D 프린팅의 현실적 성과들과 복합적인 잠재력을 예술의 장으로 끌어들여와 이 복제 기술이 전통적 예술작품의 수용방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고찰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미술의 영역에서 3D 프린터가 활용됐던 구체적이고 실증적인 사례들을 살펴보고, 그 안에서 기존의 디지털 매체 기반의 예술과 변별되는 주목할 만한 특징들로서 물질성의 회복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원본과 복제의 관계는 어떻게 새롭게 재편되고 있는지, 또한 (여기서 작동되고 있는 미적, 예술적, 심리적, 경제적, 혹은 정치적 계기들을 드러냄으로써) 예술작품의 수용방식에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지를 벤야민의 가장 중요한 미학적 개념 가운데 하나인 ‘아우라’를 중심으로 논의해 보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influences of 3D printing technology in association with experience in artwork. Examining the realistic achievements and complex potential of this new reproduction method, which incidentally has been regarded as the next generation technology for an innovative transformation of the past production system, we will reconsider one of Walter Benjamin's most important concepts of 'Aura', on the basis of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his media philosophy. For this purpose, we analyze concrete and empirical cases in which 3D printing has been used in the field of art. We then try to answer the questions such as : 1) How the resurgence of materiality is proceeding as a remarkable distinguishing feature in comparison to existing digital media art ; 2)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iginal and the reproduction is being reorganized and : 3) How the general acceptance of artwork is being changed, by revealing the aesthetic, artistic, psychological, economic or political factors that are playing on these every changes.

      • KCI등재후보

        1970년대 한국의 실험미술에서 사진의 활용과 지표적 징후들

        여문주 조선대학교 문화예술산업연구소 2022 문화예술산업연구 Vol.22 No.2

        사진은 동시대 미술과 교차하고 중첩하면서 미술의 지평을 확장시켰을 뿐만 아니라 스스로의 모습 또한 변화시키며 발전했던 매체이다. 사진과 미술의 이러한 역동적 상호관계는 ‘전위’ 또는 ‘실험’의 이름으로 매우 다양한 매체와 형식들이 시도됐던 1970년대 한국미술에서 본격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한다. 본고는 일회적 작업의 기록 매체로서의 사진으로부터 애초에 미술작품의 형태로 소통될 것을 염두에 두고 제작된 사진에 이르기까지, 이 시기 미술 내 사진의 위상이 전환되는 과정을 재구성한다. 이를 위해 사진을 오브제, 설치, 행위미술 등과 결합하거나 독립적인 표현매체로 광범위하게 사용했던 김구림, 이승택, 이강소의 작업을 중심으로 당시 미술 내 사진의 수용을 가능케 만들었던 계기들을 살펴보고, 특히 미술과 결합한 이들의 사진적 작업에서 발견되는 지표적 징후들이 갖는 미학적, 철학적 의미에 대한 해석을 시도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