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처리 나물류 및 구근류에서 병원성 미생물의 성장예측모델 개발 및 검증

        엔크자갈 라왁사르나이(Lkhagvasarnai Enkhjargal),민경진(Kyung Jin Min),윤기선(Ki Sun Yoo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2 No.10

        본 연구에서 사용한 전처리 나물류 중 고사리 경우 13°C에서 B. cereus 영양세포 및 포자가, 8°C에서 S. aureus는 성장하지 않았다. 전처리 나물류 및 구근류에서 B. cereus 영양세포 및 포자의 성장특성을 비교한 결과, 도라지와 취나물에서 LT, SGR 및 MPD는 B. cereus 영양세포와 포자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 우엉은 13°C에 저장한 경우 B. cereus 영양세포와 포자의 유도기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고사리의 경우, 17, 24, 35°C 온도에서 B. cereus 포자의 유도기는 영양세포의 유도기 값보다 2배 연장된 것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24°C와 35°C의 상온에서는 모든 나물류 및 구근류에서 B. cereus 포자 유도기는 영양세포의 유도기보다 연장되었고, SGR 값은 포자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13°C와 17°C에서는 B. cereus 영양세포와 포자의 유도기가 고온에 비하여 연장되어 B. cereus 영양세포와 포자의 성장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13°C 이하의 온도 관리가 중요하다. 또한 B.cereus와 S. aureus 영양세포의 성장특성 비교 결과, 13°C이하에서는 B. cereus 성장이 관찰되지 않았으나 S. aureus는 8°C에서도 성장하였다. 전반적으로 13°C에서 모든 나물류 및 구근류는 B. cereus의 유도기가 S. aureus 의 유도기보다 3배 이상 연장되었다. 전처리 나물류 및 구근류에서 개발된 설사형 B. cereus 영양세포 및 포자 성장예측모델을 구토형 B. cereus 영양세포 및 포자의 실험값으로 검증한 결과, 도라지와 고사리의 LT 모델과 고사리의 SGR 모델을 제외한 모든 모델에서 Bf 값이 허용범위(0.07~1.15)에 속하여 설사형 B. cereus 영양세포, 포자 성장모델이 구토형 B.cereus 영양세포, 포자의 성장을 예측하는데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처리 나물류 및 구근류에서 8~35°C 사이에 개발된 S. aureus의 성장예측 모델을 실험에 사용하지 않은 온도(18, 30°C)로 적합성을 검증한 결과, 도라지의 SGR 모델을 제외한 모든 모델에서 Bf와 Af 값이 가장 이상적인 1에 가까운 값으로 나타나 실험값과 예측값 사이의 일치성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 개발된 전처리 나물류 및 구근류의 성장예측 모델은 병원성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는 기준과 규격 설정 시 활용 가능할 것이며, 전처리 나물류의 HACCP 공정의 CCP(critical control point) 및 CL(critical limit)을 설정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predictive growth models for Bacillus cereus (diarrhea type) vegetative cells, spores and Staphylococcus aureus in preprocessed Namul (bracken and Chwinamul) and root vegetables (bellflower and burdock). For validation of model performance, growth data for S. aureus in preprocessed vegetables were collected at independent temperatures (18 and 30°C) not used in the model development. In addition, model performance of B. cereus (diarrhea type) in preprocessed vegetables was validated with an emetic type of B. cereus strain. In primary models, the specific growth rate (SGR) of the B. cereus spores was faster than that of the B. cereus vegetative cells, regardless of the kinds of vegetables at 24 and 35°C, while lag time (LT) of the B. cereus spores was longer than that of the B. cereus vegetative cells, except for burdock. The growth of B. cereus and S. aureus was not observed in bracken at temperatures lower than 13 and 8°C, respectively. The LT models for B. cereus (diarrhea type) in this study were suitable in predicting the growth of B. cereus (emetic type) on burdock and Chwinamul. On the other hand, SGR models for B. cereus (diarrhea type) were suitable for predicting the growth of B. cereus (emetic type) on all preprocessed vegetables. The developed models can be used to predict the risk of B. cereus and S. aureus in preprocessed Namul and root vegetables at the retail markets.

      • KCI등재

        학교급식에 공급되는 전처리 나물류 및 가공업체에서의 공정별 미생물학적 위해요소 분석

        곽수진,윤기선,김수진,엔크자갈 라왁사르나이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12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27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levels of microbiological hazards of preprocessed Namuls,which were served at the school foodservice. 19 preprocessed ground or root vegetables were collected from 21schools in May to June of 2011. Heavy contamination of aerobic plate counts (from 3.39 to 8.42 logCFU/g) and total coliform groups (from 3.16 to 7.84 logCFU/g), enterobacteriaceaes (from 2.53 to 7.55 logCFU/g) were detected in preprocessed Namuls. In addition, the detection rates of Escherichia coli, Staphylococcus aureus and Bacillus cereus (emetic form) were 4.3%, 11.7% and 2.1%, respectively. In addition, sanitary indicative bacterium at preprocessing steps of root vegetables (lotus root, burdock root, bellflower root) and blanched Namuls (bracken, sweet potato vine,chinamul) were analyzed. Aerobic plate counts, coliform groups, and enterobacteriaceaes were not effectively removed during preprocessing including washing and soaking steps. In the case of blanched Namuls (bracken, sweet potato vine, chinamul), contamination levels increased more after drying process and no significant reduction effect on the levels of microbial contamination was observed during preprocessing steps. Thus, effect of preprocessing steps on the microbiological hazards in Namuls must be reevaluated to improve the microbiological quality of preprocessed Namuls at the school foodservice and retail market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