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기 문해력 측정을 위한 간편 읽기 검사 개발

        엄훈 ( Um Hoon ),정종성 ( Jeong Jongseong ) 한국독서학회 2016 독서연구 Vol.0 No.40

        이 연구는 한국 아동의 초기 문해력 발달의 특성을 반영하여 1학년 아동들에 초점화된 초기 문해력 검사 도구를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초기 문해력 교육에 대한 현장 교사의 전문성과 통제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검사 실시와 채점, 결과 해석까지 교사가 주도할 수 있는 간명한 검사 도구를 개발하고 그 규준을 제공한다. 검사 도구는 한국 아동의 초기 문해력 발달 양상을 반영하여 자모 이름 대기, 단어 읽기, 읽기 유창성, 단어 받아쓰기라는 네 가지 하위 검사로 구성 되었다. 검사 도구를 실행하기 위해 대표적인 두 개의 중소 도시와 중소 도시를 둘러싼 두 개의 읍면 지역에서 중간 수준의 학교 4개를 표집하였으며, 각 학교별로 1학년 2~3학급씩 200여 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개별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는 7월과 12월 두 차례에 걸쳐 동일한 대상에 대해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함으로써 발달에 따른 규준의 정교화를 시도하였다. 연구 결과 1학년 시기 한국 아동의 초기 문해력 발달 양상을 반영한 검사 도구를 개발하고, 검사 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문항 내적 일치도와 반분 신뢰도를 산출하였다. 검정하였다. 검사 도구의 규준은 구분 점수로 환산하여 제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 또래의 평균 수준에 해당하는 초기 문해력을 습득하지 못한 아동을 조기에 발견하고 최대한 빨리 교육적 개입을 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test tools for early literacy focused on 1st graders in elementary schools. The tools provide clear and simple norm to which school teachers can determine their children``s test results, so that they reinforce their professionalism and control on early literacy education. The test tools consist of 4 sub tools: Korean alphabet naming, word reading list, reading fluency, and word dictation list. To collect data, researchers sampled two medium-sized cities and two rural provinces and selected 4 representative schools from sampled regions. From each school, approximately 50 1st graders were tested one-on-one, totally about 200. To follow the developmental continuum of children, the data were collected two times from the same students of the same schools; on July and December. The validity of the test tools was discussed and the reliability of the test tools were verified. The result was standardized and was provided in stanine scores. This result will provide a base to identify struggling readers earlier in their lst year of schools and start the early intervention to catch up average level of reading development.

      • KCI등재

        미국의 리딩 리커버리 프로그램 운영 실태에 대한 참여관찰적 연구

        엄훈 ( Hoon Um ) 한국독서학회 2015 독서연구 Vol.0 No.36

        이 연구는 학교 속의 기능적 문맹 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적 모델로서 미국의 리딩 리커버리(RR) 프로그램을 참여관찰하고 그 실태와 가능성을 확인하려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미국의 RR 프로그램은 뉴질랜드의 교육학자인 마리 클레이의 RR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미국 교육의 현실에 맞게 발전시킨 것으로 30년의 역사를 자랑한다. 미국 RR 프로그램의 출발지이자 총괄 대학인 오하이오 주립대학의 RR 센터 책임자를 비롯한 관계자들과의 인터뷰, 콜럼버스 남서부 교육구의 RR 교사 연수 코스에 대한 참여관찰, 그리고 윈드미어 초등학교 RR 교사의 학생 지도 과정에 대한 참여관찰이 이루어졌다. 관계자 인터뷰와 참여관찰을 통해 연구자는 미국 RR 프로그램의 운영 과정에 대한 맥락적 지식을 획득하였으며 미국 RR 프로그램의 성공요인을 분석할 수 있었다. 미국 RR 프로그램의 운영 과정에 대한 맥락적 지식은 4장에서 기술하였다. 미국 RR 프로그램의 성공 요인으로는 확고한 비전과 원칙 고수, 실행 연구 접근법, 협력의 세 가지 요인이 포착되었다. This study aims to give a description of Reading Recovery® (RR) in action in the U.S. and analyse the success factors of the program. The researcher interviewed the stake-holders of the program and performed participant observation of the RR teacher training course and a teaching case in a school. With the precise description of the routine course of RR teacher training and the routine course of teaching students, this study could reconstruct the context of the program. It analysed the success factors of the program: having firm vision and keeping principles, action research approach, and cooperation between stake-holders.

      • KCI등재후보

        읽기 부진 개선을 위한 보충학습반 운영의 경험

        엄훈 ( Hoon Um ) 한국교육인류학회 2006 교육인류학연구 Vol.9 No.1

        이 글은 2004년 1년간 서울 소재 K 중학교에서 이루어진, 읽기 부진 학생들의 읽기 능력을 개선하기 위한 실행 연구의 보고서이다. 연구자는 계획 - 실행 - 관찰 - 반성 - 수정된 계획의 반성적 사이클을 통해 K 중학교에서 읽기 부진 개선을 위한 보충학습반 운영의 성공적인 모델을 만들어내었으며 연구자 스스로도 읽기 부진 학생을 보는 안목의 성장을 경험하였다. 연구자는 초기의 시행착오를 통하여 적절한 읽기 부진 보충학습반의 규모를 경험적으로 알게 되었고, 자기주도적 그림책 읽기 프로그램이 효과적임을 알게 되었다. 자기주도적인 그림책 읽기 활동을 통하여 연구자는 학생들의 읽기 행동을 면밀하게 관찰하고 적절한 피드백을 할 수 있었으며, 학생들은 독해 능력과 독서에 대한 태도를 점진적으로 개선할 수 있었다. 연구자는 K 중학교에서의 국지적 경험을 다른 국면으로 확산이 가능한 매개적 지식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성찰적 글쓰기의 과정을 거쳤으며 이 과정을 통하여 실행 연구의 타당성에 대한 새로운 성찰을 하게 되었다. This is an action research report on the experience of running a reading recovery class in K middle school in Seoul in 2004. As a teacher-researcher, I developed a successful model for running a reading recovery class in K middle school through reflectional cycle, and recognition of learners` potential as well as weaknesses. I came to realize that the appropriate number of members was 4 to 5 and that self-directed picture book reading program was very effective. During this program I was able to observe students` reading behaviour and send appropriate feedback to them. As a result,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and reading attitude improved gradually and evidently. Reflectional writing on the experience of this action research provided a new cognition on the validity of action research. Through the ongoing reflectional writing, local experience can be converted into mediational knowledge which can be diffused into another context.

      • KCI등재
      • KCI등재

        일반 논문 : 지식으로 수업 보기, 그 관점과 방법

        엄훈 ( Hoon Um )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1 국어교육 Vol.0 No.135

        This paper proposes ``class criticism from a perspective of knowledge``(in short, ``knowledge criticism``), as a new viewpoint and method of class criticism. The knowledge criticism focuses on the revelation of teacher`s knowledge during the class. Therefore, the critic follows up and appreciate the teacher`s behaviour, and then represents the quality and meaning of it. There are several methodological codes in knowledge criticism; connoisseur of connoisseurship, teacher as a main agent, unit and context, experience and reconstruction of knowledge, and selection of representation forms. These methodological codes are useful for perceiving, appreciating and evaluating the revelation of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during a class. To demonstrate the reality of knowledge criticism, this paper analyzes two class criticism cases, Ahn`s and Suh`s. The knowledge criticism can provide educational practitioners a new method in representing and transacting teachers` professional.

      • KCI등재

        고전 논변의 교육적 재발견

        엄훈 ( Hoon Um ) 국어교육학회 2013 國語敎育學硏究 Vol.46 No.-

        조선시대의 고전 논변은 당대에 살아있는 장르로서 실용적으로나 교육적으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근대에 접어들면서 이루어진 정전의 전환 이후 고전 논변은 실용적으로뿐 아니라 교육적으로도 죽은 장르가 되었다. 우리나라의 근대 정전 전환은 서구 열강의 침략을 동반한 서구 문명의 급격한 도래와 이에 대한 대응으로서의 자기부정과 수용을 통해 매우 급박하게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 해방 이후의 정전은 민족 문학을 중심으로 재편되었다. 우리나라의 근대적 정전 전환은 점진적·성찰적·계승적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급진적·배제적·단절적으로 이루어진 것이었으며, 민족주의 적이고, 반중세적이며, 서구지향적이라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정전 전환 과정에서 조선시대에 정전으로서의 확고한 지위를 차지하고 있던 고전 논변은 정전의 지위를 잃었으며 우리의 고전 교육에서 전통적인 논변 문화는 빈자리로 남게 되었다. 고전 논변의 빈자리 현상이 개선되기 위해서는 우리의 정전 전환의 과정에 대한 성찰과 함께 그것이 현재의 교육에서 지니는 의의와 가능성이 입증되어야 한다. 고전 논변이 현대에도 지니고 있는 교육적 가치는 문화적 텍스트로서의 가치이며 그 교육적 가치를 실현하는 접근 방법은 문화 읽기로 서의 고전 교육이다. This research aims to reveal the educational value of Korean classic argumentation in light of classic education. The classic argumentation in Joseon dynasty had been a communicative genre which had important function practically and educationally. But afterward from the modern times, the classic argumentation genre was dead in both practical and educational meaning. This phenomenon is worth inquiring from the viewpoint of canon shift. In the modern times of Korean history, the medieval canon had been shifted to modern canon very abruptly. In the process, the educational value of Korean classic argumentation has been denied without serious deliberation. This research inquires the process of the classic argumentation genre`s losing its status of canon and proves the incompleteness of modern canon shift. This research also discusses the meaning and potentialities of the classic argumentation. It has the value of cultural text in which students can read cultures as part of the cultural education.

      • KCI등재

        초기 문해력 측정을 위한 2학년용 검사 도구 개발

        정종성 ( Jeong Jongseong ),엄훈 ( Um Hoon ) 한국독서학회 2018 독서연구 Vol.0 No.49

        이 연구는 한국 아동의 초기 문해력 발달 특성을 반영하여 초등학교 2학년에 초점화된 표준화된 초기 문해력 검사 도구를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초기 문해력 검사는 음절글자 읽기, 구절 읽기, 읽기 유창성, 문장 받아쓰기라는 네 가지 소검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7월과 다음해 2월 두 차례에 걸쳐 동일한 대상에게 동일한 방법으로 검사를 실시함으로써 각 영역별로 문해력 발달을 반영한 규준을 산출하였다. 검사 실시를 위해 중소 도시 두 곳과 이 중소 도시를 둘러싼 읍면 지역 두 곳에서 사회경제적 수준과 학력이 중간 정도인 초등학교 4개를 표집하였으며, 각 학교별로 2학년 두세 학급을 선정하여 대략 200여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개별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7월과 이듬해 2월 간 소검사 별로 평균의 변화가 유의하게 나타났고, 특히 읽기 유창성 검사에서의 점수 변화가 두드러졌다. 검사 시점 별로 네 가지 소검사에 대한 점수 분포를 구분점수로 나타내었는데 구분점수에 따른 원점수 분포의 차이가 뚜렷하여 이 연구에서 사용한 초기 문해력 평가 도구는 2학년 아동의 문해력 발달 양상을 측정하기에 적절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 또래의 평균 수준에 해당하는 초기 문해력을 습득하지 못한 아동을 조기에 발견하고 교육적 개입을 앞당기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standardized test tools to assess second graders' early literacy by applying Korean children's features in the development of early literacy. The early literacy assessment consists of 4 subtests: syllable reading, phrase reading, reading fluency, and sentence dictation. The test was administered one on one on July and February of the next year with the same children following the same procedures. To collect data, researchers sampled about 200 students at 4 elementary schools, 2 from medium-sized cities and 2 from rural provinces. The schools were considered in the middle in terms of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and children's academic abilities. Mean scores significantly changed between July and February. In particular, the mean change was noticeable in reading fluency. Stanine scores were provided in the four subtests. The raw scores in each interval differed between the two points, which supports the validity of the test tools in assessing development in second graders' early literacy.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be useful to identify struggling readers in their 2nd year of schools and to expedite their early intervention.

      • KCI등재

        수업의 과학성과 예술성 논의와 수업 비평

        이혁규(Lee Hyugkyu),엄훈(Um Hoon),정정인(Chung Jungin),신지혜(Shin Jihye) 한국열린교육학회 2012 열린교육연구 Vol.20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수업 비평의 전제가 되고 있는 ‘수업은 예술’이라는 은유와 그 은유의 대립항을 이루고 있는 ‘수업은 과학’이라는 두 가지 은유에 대하여 그 함의를 수업의 본질과 교육학의 역사에 비추어 고찰하고, 이 두 가지 은유가 수업 비평과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수업의 예술성에 대한 본격적인 언급은 듀이에게서 찾을 수 있으나 19세기 말 이후 교육학계를 휩쓴 과학주의의 조류에 휘말려 퇴조하다가 아이즈너 등의 교육학자들에 의해 새롭게 논의되었다. 교육계를 휩쓴 과학주의는 실증주의에 경도된 흐름으로 교육의 과학을 확립하려 노력한 일련의 심리학자들에 의해 주도되었으나 교육에 대한 질적 연구의 흐름 속에서 변화가 모색되게 되었다. 수업의 예술성과 수업의 과학성은 교육학의 역사에서 대립하는 패러다임으로 출발하였으나 최근의 교육 연구 및 현장 교사의 위상 변화에 따라 대립이 지양되고 상호보완하는 관계로 변화하고 있다. 수업 비평은 수업을 총체적으로 조망하고 그 의미를 드러내는 과정이므로 수업의 과학성과 수업의 예술성이 상호참조적으로 검토되어야 한다. 수업 비평이 수업의 과학성과 예술성 모두를 감식의 대상으로 삼을 때 수업의 과학성이 지닌 맥락 타당성이 확인되기도 하고 예술적 실천의 과학적 의미가 조명되기도 하면서 수업을 보는 안목의 지평이 확장될 것이기 때문이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 two opposite pair metaphors ‘teaching as art’ and ‘teaching as science’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teaching and history of educational research. Additionally the study considered the two metaphors’ implication in class criticism. The academic consideration on the ‘art’ of teaching can be found in the work of John Dewey, but his concern for the ‘teaching as art’ has been ignored in the flood of positivist science of education. Following on from that, Elliot W. Eisner and other scholars began to discuss the artistic aspects of education. The trend of positivist science of education had been led by a company of psychologists who had intended to establish the ‘science of education’ by the methodology of physical science. However, recently some qualitative researchers are searching for new trends in educational science. The metaphors ‘teaching as art’ and ‘teaching as science’ have been used as an opposite pair in the opposite paradigms through the last century, but recently they began to consider the pair as complementary in the trends of the qualitative researches and the status change of school teachers. The class criticism, which is a process of seeing the class as a whole and finding meaning within it, should make cross-reference to the ‘art’ and the ‘science’ of a teaching. When the class criticism shows off its connoisseurship on the scientific and artistic aspects of a teaching altogether, it can reveal the contextual validity of the educational science and shine a light on the scientific meaning of the artistic practices in a class, and it will lead to the expansion of the horizons of educational connoisseurship.

      • KCI등재후보

        교사의 자기주도적 수업전문성 신장을 위한 온라인 수업비평 시스템 구축

        신지혜 ( Ji Hye Shin ),이혁규 ( Hyng Kyu Lee ),엄훈 ( Hoon Um ),정정인 ( Jung In Chung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1 한국초등교육 Vol.22 No.2

        좋은 수업과 수업 개선에 대한 요구로 수업비평이 주목을 받고 있는 가운데 수업비평을 비롯한 수업컨설팅, 수업멘토링 등에서 수업동영상이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정부와 시·도 교육청, 연구기관에서 제공되는 온라인 수업동영상은 다양한 관심과 수업 관찰의 목적에 맞게 제공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수업동영상이 기존의 온라인 수업동영상 사이트의 내용과 형식에 대한 분석을 통해, 그 장점을 이어받고 한계를 보완하여 수업비평과 결합된 온라인 수업동영상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업동영상의 내용적 특성과 수업동영상 관찰 및 분석을 위한 지원 체계를 분석하였으며, 수업비평의 개념과 방법 및 절차를 고려한 온라인 수업비평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온라인 수업비평 시스템은 기존 사이트와 비교하여 두 가지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 기존 우수 수업동영상의 정형성을 탈피하여, 다양한 유형의 수업 사례를 발굴하여 탑재함으로써 우수 수업의 개념을 재구축하기 위한 논의의 장으로 활용될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둘째, 수업동영상이 수업에 대한 깊은 질적 분석을 하는 비평문과 결합되어 제시되도록 하여, 수업 관찰자가 수업동영상과 비평문을 비교하면서 수업의 특질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게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온라인 수업비평 시스템은 온라인을 통해서 수업에 대한 연구와 소통이 이루어지는 21세기 정보화 사회의 수업전문성 신장의 한 중요한 사례로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build on-line database of teacher instruction video with class critique. In order to make up for the weak points of the existing online sites, this study has established a new teacher instruction video site combined with class critique. When compared with existing websites, the online system of class critique had two different characteristics. One wa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mounted class videos differed somewhat from existing outstanding videos. The researchers participating in this research suggested a concept and method of class critique based on a theoretical reflection of what constituted a class that was appropriate, in an educational environment, in the information age of the 21st century. Building on this, they sought to reconstruct the concept of an ``outstanding class`` by discovering cases on good classes of various forms. The second characteristic was that the class video was labeled after being combined with class critique that qualitatively analyzed a class in depth. The online class video that had been combined with critique, in this manner, could be said to present one important case study for enhancing class professionalism in a space and time where research and communication on class instruction takes place onli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