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반(反)광산 지역운동과 다중 스케일적 연대

        엄은희(Eom, Eun-Hui) 한국공간환경학회 2008 공간과 사회 Vol.30 No.-

        이 글은 외부에서 주어진 대규모 광산개발 프로젝트가 일으킨 환경악화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생계형 저항이 새로운 사회운동의 유형으로 진화하는 과정을 필리핀의 라푸라푸 섬의 사례를 통해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스케일의 행위자들이 경쟁하거나 지지하는 담론과 실천들을 검토했으며, 각 행위자들이 귀속되는 스케일별 특성을 밝히고, 나아가 스케일 간의 상호작용을 통한 담론의 변화과정을 추적했다. 라푸라푸 프로젝트는 필리핀에서 100% 외국인 소유의 기업에게 주어진 첫 번째 광산개발 허가 사업이다. 라푸라푸 섬은 대규모 광산이 위치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장소이나 다국적 기업과 중앙정부의 공세적 광산개발이 이루어졌으며, 2005년 10월에는 두 차례의 광산 폐기물 유출사고가 발생해 주민들은 생계상의 곤란에 직면하게 되었다. 유출사고 직후 라푸라푸 섬의 반광산 지역운동은 지역 주민들의 생계형 저항으로 시작되었다. 하지만 이후 다양한 스케일의 행위자들이 가담하면서 복잡하고 역동적인 다중 스케일적 저항으로 진화했다. 투쟁의 과정에서 각 행위자들 간의 상호작용은 담론과 실천의 변화를 만들어냈고, 광산폐쇄를 위한 연대가 강화되었다. 저항 진영은 스케일의 정치학을 통해 아래로부터의 지구화의 가능성을 보여준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describe and interpret the evolutionary process of the community people’s protest from a simple resistance for subsistence to the new type of social movement by the case of anti-mining movement in RapuRapu Island. For this purpose, I have traced the discourses and practices of various actors from multiple scales, clarified the properties of each scalar actor, and analyzed the changes in their narratives and discourses through scalar interactions. RapuRapu Mining Project is the first one acquiring the mining permit as 100% foreign ownership in the Philippines. The project has been initiated by Australia based mining firm named Lafayette with two Korean companies in 2004. Actually RapuRapu Island is a small fishery community and wasn’t suitable as a mining site because it is located in the pathway of tropical typhoon. However, central government and mining TNC have persisted the mining in this island, and mining spills has broken two times in October 2005. After accidents, most of RapuRapu people faced the difficulties in their livelihood because of the polluted marine ecosystem. RapuRapu struggle was started on the conflict between neoliberal central state and mining TNC and powerless community people as victims. After mining spill, however, it has evolved toward complex, dynamic, and multi-scalar protests since many agencies and group in various scales have involved in. Because each agency or organization has different interests involving RapuRapu mining project, their starting points and mobilized discourses were also different. However, they had closely interacted with each other inside protests, in turn, had made changed their discourses and practices positively, and had strengthened their solidarity for shutting down mining development. In this process, opposite camp has showed the possibility of globalization from below through engaging in scale-politics.

      • KCI등재

        팜오일의 정치생태학

        엄은희(Eom Eun hui) 한국공간환경학회 2017 공간과 사회 Vol.27 No.1

        2007년 이후 석유정점과 기후변화의 위기 그리고 국제유동성 위기가 맞물리면서 광물 및 농상품과 같은 원자재에 대한 국제적 수요와 투자가 급증하였다. 팜오일은 식용수요 급증 이외에도 바이오연료로 전용가능성이 높은 유지종자라는점에서 주요 투자대상으로 선택되어 지난 10년간 생산면적과 생산량이 비약적으로 증대되어왔다. 하지만 팜산업은 다양한 사회적ㆍ경제적ㆍ환경적 논쟁에 직면하고 있다. 본 연구는 팜오일을 둘러싼 다양한 논쟁의 지형을 정리하고, 팜산업에 대한 정치경제학적 이해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분석의 출발은 팜오일을 사회-자연으로 이해하며 이를 둘러싼 국제적ㆍ국가적 특성이 구성되는 과정을 살피는 것이다. 팜산업은 독특한 동남아시아적인 현상 이다.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는전 세계 팜오일 생산의 대다수를 담당하며,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는 팜오일 관련 투자와 기술의 중심지이자 국제 팜오일시장의 주요 무역 허브로 기능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동남아 팜산업 성장을 주도해 온 동남아시아의 두 국가(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의 정책을 검토함으로써, 국가-자연으로서 팜오일이 정당화되는과정에 대한 맥락적 이해를 제공한다. From the early 2000s, international investment in primary commodities (mineral and agricultural commodities) increased drastically as the threat of climate change, oil peak, and liquidity problems coincided in a global scale. At the time, crops with high potential for use as biofuels emerged as major investment targets, and palm oil, one of the most productive oilseed plants with flexible utility, has received big attention. Due to the surge in investment, the cultivation area and production & consumption volume of palm oil have grown rapidly worldwide. Palm oil industry has large and diverse socio-economic and environmental impacts and has created sharp controversy. However, in spite of intense social and environmental debate, the cultivation area of oil palm and its size of industry are continuously increasing. Palm oil industry is very Southeast Asian phenomenon from a geographical point of view. Indonesia and Malaysia account for the vast majority of palm oil production and Singapore is a major trading hub for the palm oil investment and the international palm oil market. Therefore palm oil controversy could be deserved to be an interesting topic in political ecology approach. This study aims to provide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context of socio-economic disputes surrounding palm oil. The starting point for this is to identify the nature of palm oil as the socio-nature and the multiple controversy arising therefrom. This study, especially, stresses on the role of the national state in the building of growth-dependency of the palm oil industry and provides a critical view point to understand the complexity of palm oil worl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변화하는 농촌성과 지역 귀농운동조직의 대응

        엄은희(Eun Hui Eom) 한국농촌사회학회 2012 農村社會 Vol.22 No.1

        2011년 귀농귀촌 가구가 1만 가구를 넘어서면서, 오늘날 한국사회에서 귀농귀촌은 간과하기 어려운 향촌형 인구이동의 흐름이 되었다. 그러나 지금까지 귀농귀촌에 관한 연구와 정책보고서들 상당수는 이론적 뒷받침 없이 현상에 대한 연구에 집중되어 있었다. 또한 영농을 주목적으로 하지 않는 귀촌자들에 대한 적절한 설명이 결여된 것 역시 문제로 지적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산주의에서 포스트생산주의로의 농촌성의 변화라는 개념틀에 기초하여 귀농귀촌을 준비하는 사람들의 귀농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을 이해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사례로 지역의 귀농운동 조직인 부산귀농학교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이 조직의 구성과 그 구성원들의 인식의 변화과정을 추적함으로써 민간의 귀농운동조직에서 훈련 받은 예비 귀농인들이 변화하는 농촌성에 대응하는 양태를 묘사하고 그에 대한 해석을 제공할 것이다. As the total number of household conducting back-to-the-land was over 10 thousand in 2011, back-to-the-land becomes the visible trend as an in-migration phenomenon in current Korea society. Most academic studies or governmental policies on back-to-the-land or in-migration in Korea have lacked theoretical frameworks and failed to offer the relevant explanation on the persons going back countryside without the intention for Agricultural works on farm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ontexts affecting in-migrants-to-be based on the frameworks of the rurality in transition. This study studies Pusan Refarm School, which is the organization dedicating to offer specialized education programs for back-to-the-land as a social movement in Pusan region. Focusing on the transforming process of the organization and its membership, this study will offer the interpretation and understanding on the responses of in-migrants-to-be educated in non-governmental organization to the changing ruralities.

      • KCI등재

        중등학교 환경교과 선택현황에 기초한 환경교육 확산방안

        엄은희(Eun-Hui Eom),이수종(Su-Jong Lee),강유정(You-Jeong Kang) 한국환경교육학회 2004 環境 敎育 Vol.17 No.1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ways in spreading and maturing of environmental Education(EE) in secondary school. To deal with this issue, researchers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of EE and grope for the ways in spreading and maturing of EE. According to<br/> investigation, the selecting rate of environment subject in secondary school is about 3%(compared selecting rate of other subject matters) in 2003.<br/> Based on the result, this study suggests followings. First, sequencing strategy of EE curriculum will be expected very efficaciously. Secondly, there is need to empasize daily<br/> experiences of EE beyond the formal subject matter. Thirdly and ultimately, thers is need to reform school curriculum centered EE. Moreover, there is need to empasize teacher education<br/> for the environment not only pre service but also in-service teacher training.

      • KCI등재

        중도좌파 정부 집권기 로마시의 ‘다른 경제’ 실험

        엄은희(Eom, Eun-Hui) 한국공간환경학회 2011 공간과 사회 Vol.21 No.1

        저성장과 사회 양극화가 심화되는 가운데, 최근 한국사회에서도 사회적기업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한국은 아시아 최초로 사회적기업 관련 법령을 정비했으며, 최근엔 중앙정부의 몇몇 부처에서도 사회적기업에 관한 다양한 지원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하지만, 사회적기업이 실제로 활동하게 되는 공간적 수준이 지방과 지역사회라는 점을 고려할 때, 사회적기업에 관한 정책과 지원은 지방정부 수준으로 내려올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의 원형을 제공한 이탈리아를 사례로 사회적기업이 발전할 수 있는 역사적ㆍ제도적 맥락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개혁적 성향의 정부 집권기 로마시 정부가 실시한 ‘다른 경제’의 실험의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의 지방자치단체들의 사회적기업 정책에 대한 몇 가지 제언을 제공하고자 한다. Given the low growth and deepening social polarization, recently, there are increasing concerns on social enterprise in South Korea. Korean government established the act and policies on social enterprise firstly among Asian countries and some departments in central government have launched the specific supporting plans related on social enterprise respectively. However, the policies and supporting plans of social enterprise should be scaled down on local government, considering the spatial scale of social enterprises running substantially. This studies examines the historical and institutional contexts of Italy, which the origin of social enterprise stemmed from. Especially, focusing on experiences of ‘Another Economy’ in Rome under the left/reformative local government, this study will give Korean LGUs some implications for the policies on social enterprise.

      • KCI등재

        대안교육의 눈으로 재발견하는 환경교육

        엄은희(Eun-Hui Eom),김종욱(Jong-Wook Kim) 한국환경교육학회 2003 環境 敎育 Vol.16 No.2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a new perspective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investigating of alternative education.<br/> Environmental education is introduced by needs of society for an effective way of solving environmental problems. But it also has a meaningfulness which is internal need of education for proposing and fostering ecological human corresponds with crisis of modernism. In spite of excessive rhetoric, vision of 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s very negative. Formal environmental<br/> education is restricted to optional course. So, its potential isn't fulfil.<br/> Education is both part of the problem and the solution. Education is proclaimed at high level as the key to a more sustainable society and yet it daily plays a part in reproducing an<br/> unsustainable society. If environmental education is to fulfil its potential as an agent of environmental problem solution, it becomes both part of the ideal and the practice of education.<br/> In this point, alternative education is a model of what environmental education ought to be.<br/> Environmental education and alternative education have a common ground in end of education and critical position to the modern education system.

      • KCI등재

        유럽 소비자협동조합의 기후변화 대응

        엄은희(Eun-Hui Eom) 한국환경사회학회 2010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14 No.2

        본 연구는 오늘날 인류가 직면한 가장 심각한 과제인 기후변화 문제에 대해 소비 측면의 대응의 중요하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기존의 소비관련 연구는 개인 단위의 행태주의 모델에 근거한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대안적으로 ‘소비를 통해 차이를 만들어 내는 능력’을 현실에서 구현하고 있는 집합적 시민-소비자들의 ‘윤리적 소비’에 대한 사례연구가 최근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집합적 시민-소비자의 전형적 예로 유럽의 소비자협동 조합들을 제시하며, 최근 이들이 펼치고 있는 다양한 기후변화 대응활동을 소개하고 이를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들은 특히 2007년 이래로 유럽 차원에서 자발적 문제의식과 실천을 통해 의미있는 기후 변화 대응 실천을 선도하고 있다. 그러나 협동조합 운동이 가진 내적 긴장과 유사하게 이들의 기후변화 대응 활동도 잠재력과 한계를 동시에 드러낸다. 결론에서 저자는 잠재력과 한계를 동시에 포착하기 위해 변증법적 절합의 사유와 구체적인 사례 연구의 실천을 제안하고자 한다. This study starts on the premise that the responses of consumption dimension are quite important against climate change as one of the most urgent problems faced by human-being. Most existing studies concerning consumption have fundamental limits due to the research approach based individual behavior model. Alternatively, there is the trend of case studies focused on collective civil-consumers’s capacities making a difference through consumption. These activities are called ethical consumption as a current consumerism wave. This study aims to present Europe consumer cooperatives as the typical example of collective civil-consumers and to introduce various responses by them against climate change. They has been leading significant activities through voluntary consciousness and various practices since 2007. Their responses, however, have both potentials and limits corresponding to the internal intention within cooperative movement. Concludingly, I suggest the praxis of dialectical articulation between the concrete and the abstract as the way for overcoming the internal limi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