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의 수치심 관련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엄은혜,이영애 한국청소년학회 2020 청소년학연구 Vol.27 No.9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분석을 통해 청소년의 수치심과 관련 변인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생태체계모델을 이론적 기반으로 하여 개인변인 군, 가족변인 군, 사회변인 군으로 청소년의 수치심과 관련 변인들을 분류하고 그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이를 위해 2007년부터 2018년까지 발표된 국내 학술지 논문 및 석·박사 학위논문 등을 수집하였다. 총 94편의 분석 대상 연구물을 선정하여, 982개의 효과크기를 산출하였으며 27개의 관련 변인들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첫째, 청소년의 수치심과 관련 변인의 전체 효과크기(.349)는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둘째, 생태체계모델에 따라서는 개인변인 군(.420), 사회변인 군(.292), 가족변인 군(.262) 순서로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셋째, 개인변인 군에서는 죄책감(.545), 자살사고(.529), 정서표현 양가성(.501), 불안(.498), 완벽주의(.494), 우울(.479), 외로움(.444), 자기애(.440) 등의 순서로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사회변인 군에서는 대인관계문제(.495), 또래관계(.299), 학업지연행동(.276), 학교생활적응(.097) 순으로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가족변인 군의 관련 변인들로는 부모-자녀 의사소통(.362), 심리적 통제(.307), 학대경험(.298), 부모애착(.294), 부모화(.241), 부부갈등(.222), 부모양육태도(.206) 순으로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related variables of adolescents’ shame using a modified ecological model: individual factors, family factors, society factors and to analyze their effect sized comprehensively. For the meta-analysis in this study, published academic journals and master/doctoral dissertations from 2007 to 2018 were identified using data base. 94 research studies were sampled from these studies, it got correlation 982 effect size.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 total effect size among the factors related with adolescents’ shame was .349. It was the effect size mid. Second, the effect size on the variable related to adolescents’ shame sub factors was individual factors(.420), society factors(.292), family factors(.262). Third, the effect size on variable related to among the individual factors’s sub factors was guilt(.545), suicide ideation(.529),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501), anxiety(.498), perfectionism(.494), depression(.479), loneliness(.444), narcissism(.440) in order. The effect size on variable related to among the society factors’s sub factors was interpersonal problems(.495), peer relationship(.299), academic performance(.276), adaptations to school life(.097) in order. The effect size on variable related to among the family factors’s sub factors was parent-child communication(.362), psychological control(.307), abuse experience(.298), parental attachment(.294), parentification(.241), conflict(.222), parenting attitudes(.206) in order.

      •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의 지원 · 육성 현황 및 개선 방향

        미정(Um, M.J),김정호(J.H. Kim),은혜(E.H. Hwang)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21 STEPI Insight Vol.- No.283

        □ 연구의 배경과 목적 ● (연구의 배경) 과기정통부는 2014년부터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을 지정하고 이 직업들을 육성하기 위한 다양한 시책을 추진 중이나 시간이 지나 새로운 환경에 직면 - 지정된 직업별로 담당 부서가 있으나 전체 직업에 대한 통합적인 점검이 필요 * (’14년 8개 직업 지정) 연구실안전전문가, 연구장비전문가, 연구기획평가사, 소셜미디어전문가, 감성인식기술전문가, 빅데이터전문가, 인공지능전문가, 과학커뮤니케이터 * (’15년 2개 직업 지정) 미디어콘텐츠창작자, 3D프린팅운영전문가 ● (연구의 목적)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 육성의 현황, 성과, 한계 등을 점검하고 육성책의 개선 방향을 모색함으로써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의 지속적인 발굴과 전주기 지원을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 □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의 특징과 현황 ●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의 특징 - 각 직업에 필요한 지식의 난이도와 기술적 전문성의 수준에 따라 교육훈련을 통해 신직업을 육성할 수 있는 정도가 크게 차이 남 - 기술의 적용 범위가 확대되고 요구되는 기술적 전문성이 깊어질수록 신직업 종사인력에 대한 수요도 확대되고 이들의 활동도 활발해짐 - 기술과 산업의 변화가 빨라질수록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의 종류와 기대 역할도 빠르게 변화되므로 주기적인 모니터링과 지원사업의 탄력적 대응이 필요 ●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이 발생하는 메커니즘 - 기술과 산업 상황이 변하면서 새로운 과학기술기반 신직업이 발생하게 됨 1) 세부 직무로 전문화 : 관련 종사자 증가에 따라 세부 직무가 전문화되어 각 직무 담당자들이 독립적인 직업으로 주목받음 2) 기술 발전에 따라 세부 기술들로 분화 : 신기술이 개발되면서 세부 기술별로 직업이 세분화됨 *인공지능 전문가 → 인공지능 개발자 → 머신러닝 엔지니어 3) 산업의 가치사슬 확장 : 신기술이 연구개발 단계를 넘어 생산, 유통 단계로 확대됨에 따라 개발, 설계 직업에서 생산엔지니어, 유통 관련 직업이 새롭게 등장 * 바이오의약품 CMO기업 증가 - 바이오공정엔지니어, GMP 지식 보유자 4) 기술의 적용 분야 확장 : 인공지능, 신소재 등 여러 분야에 적용되는 기반기술들은 적용분야가 확대되면서 해당 적용분야에 특화된 전문직 수요도 증가 □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 육성의 성과 ●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은 공공수요기반형과 민간수요기반형으로 나눠서 살펴볼 수 있음 ● 공공수요기반형 신직업*은 주로 공공 R&D를 지원하는 전문서비스직으로 구성되며, 정부지원에 맞춰 발전하는 특징이 있고, 현재 상당한 가시적 성과를 거두고 있음 * 연구장비전문가, 연구실안전전문가, 과학커뮤니케이터, 연구기획평가사 등 - 공공부문에서 관련 업무를 따로 규정해서 의무적으로 채용하고 이 직업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도록 함에 따라 전문서비스 분야 신직업의 활성화에 기여 - 향후 신직업의 교육 · 훈련 수요 증가가 예상되나 지속적인 정부지원이 없으면 수요 기관이 자체적으로 교육 · 훈련 시스템을 유지하기 어려운 상황임 ● 민간수요기반형 신직업*은 직업 간 활성화 수준의 차이가 크고, 향후 인력의 수요 · 공급 수준도 유동적일 것으로 전망됨 * 3D프린팅운영전문가, 인공지능(AI)전문가, 빅데이터전문가, 감성인식기술전문가, 미디어콘텐츠 창작자, 소셜미디어(SNS)전문가 등 - 유관 산업이 존재하거나 기존 업무 종사자가 재교육을 통해서 신직업의 직무 역량을 습득할 수 있는 경우 신직업 종사자 수가 유의미하게 증가 -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에 대한 진입장벽(기술적 역량과 전문성)이 높을수록 단기간에 신직업 인력을 대규모로 육성하는 것이 어려움 □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 지원 사업의 한계와 문제점 ● 일정한 기준을 설정하지 않고 그저 관심이 증가하는 특정 기술분야에 개발자, 전문가등을 붙여 신직업으로 선정하고 있어 신직업의 기준과 범위가 임의적이고 모호함 - 신직업 개념이 불명확하여 지원 및 관리 방안 마련이 어렵고 변화를 수용하기도 여려움 - 범위가 명확하지 않아 신직업 종사자 현황 파악과 신규 인력 모니터링이 어려움 ● 각 신직업의 교육 난이도와 비용의 차이를 반영하지 않고 사업을 평가하는 문제 - 배출 인원, 취업률, 만족도 등의 일괄적인 기준으로 신직업 육성사업을 평가하여 소수인원을 대상으로 고난이도 교육과 실습이 필요한 고급인력 대상 신직업은 불리함 ● 신직업 선정 후 지원 성과를 모니터링하여 사업을 개선하려는 노력이 부족 - 직업 활성화 정도, 애로사항, 목적 달성 여부 등을 파악하여 지원책을 개선하려는 노력이 부족 □ 정책 제언: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의 단계별 지원 방향 과제 1.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의 발굴 및 육성을 위한 기준 명확화 ●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 정의(안) - 과학기술 기반의 제품 및 공정의 개발 · 활용 · 지원과 관련하여 과학기술 직무를 수행하는 직업 - 직무 수행에 있어서 과학기술 전문지식(STEM 지식)이 상당히 요구되는 직업 ●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의 선정 기준(안) 1) 전문성 : 해당 직무 수행을 위해 과학기술 전문지식이나 관련 학위 등이 진입장벽으로 작용함 2) 업무독립성: 직무 내용 · 범위의 구체화, 직무 독립성에서 기존 직무와의 차별성이 명확함 3) 일자리창출 기여도: 신직업 지정으로 직무 전문화가 이뤄지거나 생산성 제고가 기대되어 궁극적으로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직무 과제 2.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의 단계별 지원 · 육성책 [그림본문참조] ● (지원 초기 단계) 업무독립성 · 차별성, 인력수요, 기술적 진입장벽, 관련 기술 · 산업 수준 및 전망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을 발굴하고 지원 - 일정 수준 이상의 신규인력 양성과 유사 직업 재직인력에 대한 교육 · 훈련을 병행 지원하고, 기존 민간사업이 있는 경우 정부지원을 강화 * (공공 부문) 신직업 관련된 지원 예산 또는 지원 범위 확대, 신직업 종사자(재직자)의 재교육 지원 * (민간 부문) 신직업 전문인력 수요가 대폭 확대될 수 있도록 신직업의 기반이 되는 과학기술의 발전 · 산업화 적용 지원, 성공사례 발굴 ● (성장 · 지원 중기단계) 중급 이상 전문인력 양성 확대, 신직업 인력양성과 신직업 기반 기술의 고도화(연구개발) 및 적용(산업화)사업 연계 - 신직업 관련 통계체계 점검 및 현황을 파악하고, 모니터링을 강화함 ● (성숙단계) 정부지원 없이 신직업이 자생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제도적 토대 지원 - 신직업 종사 인력의 유형과 활성화 수준을 구분하여 정부지원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만 육성 · 지원하고 그렇지 않은 부분은 민간부문의 투자와 자발적 성장을 유도 - 신직업의 업무역량 체계와 훈련방법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진 경우 국가공인자격증 신설. 단 기반 지식을 확인하는 이론적 자격이 아니라 실무역량 향상을 지향하는 방향으로 국가공인자격증을 설계 과제 3.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 발굴 및 지원을 위한 기반 구축 ● 산업 및 연구현장에 대한 기술인력 직무 모니터링 확대 - 신직업의 대두에 따른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의 발굴 및 지원을 위해서는 산업 및 연구현장에서 기술인력의 직무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실태조사의 주기적 시행 필요 ●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 지원 · 육성 시 고려사항 - 대학(원) 교육과 비학위과정 교육(정부지원 인력 양성 · 훈련사업 포함)의 병행 필요 - 기술인력 양성과 기술개발 □ Introduction ● Since 2014, the Korean government has designated and fostered new jobs to create new jobs. 10 of the new jobs selected by the government are classified as ‘new S&T-based jobs’. ● This study intends to search policy implications by analysing the current situation of new S&T-based jobs and getting obstacles to prevent job expansion. □ Status of S&T-based New Jobs ● New S&T-based jobs are different in that they require expertise in STEM knowledge. It is also unique in that it changes rapidly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 According to the results of interviews with employees in new jobs and operators of governmental program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degree to which designated new jobs were settled down as new job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jobs in which the public sector is a major consumer, the government has supported new occupations through efforts such as compulsory employment, and the number of employees has increased. In the case of jobs mainly engaged in the private sector, there was a large difference depending on the development and degree of use of related technologies. □ Policy Implications ● It is evaluated that the criteria for selecting a new job are unclear and the government were unable to respond flexibly to labor market conditions. ● Therefore, the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were proposed. 1) New S&T-based jobs should be clearly defined and selection criteria should be established. New S&T-based jobs should b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level of expertise required in S&T knowledge. 2) A support policy should be prepared in stages according to the situation in which new jobs are activated. In the initial stage of new jobs, education and training should be emphasized to foster new manpower and convert incumbents. In the growth stage, support for market expansion and nurturing of middle-level or higher manpower should be expanded. Lastly, in the maturity stage, it is necessary to prepare an institutions so that jobs can be settled in the labor market. 3)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olicy infrastructure for discovering and supporting new S&T-based jobs. Surveys are needed to launch to observe changes in the jobs of scientists and engineers.

      • 첨단·신기술분야 고급 인력의 육성 및 성장 지원방안

        미정(Mi-Jung UM),이혜선,백대현,조가원,홍성민,박정호,은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21 정책연구 Vol.- No.-

        This study focused on the attributes of the new emerging technologies(NET) which are recently received attention such as AI and new material. NETs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he old technologies, and the nature of NETs changes the demands of engineers’ skills. Therefore, the training of engineers should also change. The feature of NET that this study focused on is ‘enabling’ attribute, which is to create new value by combining with other domains or systems. Due to this feature, the demand for engineering workforce faces the following changes. First, the demand for domain knowledge, which NET applied to, increases. Due to rapid technological change, the companies preferred the engineers with NET knowledge and also the applied domain knowledge. Second, the demand for high-level engineers in NETs increases. Third, the demand of engineers changes rapidly and the uncertainty of changing direction grows. Because the period to train engineers s takes a long time, it is necessary to change policies for cultivating a new engineers. In response to the changed technological features, this report suggests the following policies. First, as an alternative to reinforcing domain knowledge, a business association (association, etc.) should prepare a place for students to experience each domain knowledge outside the university (or at the school center). Second, in order to foster high-level engineer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growth path of advanced engineers. Third, constant monitoring is required to respond to rapid changes and grown uncertainties of NETs.

      • KCI등재

        발달지체 진단에서 CBCL 1.5-5 유아행동평가척도-부모용의 변별력

        은혜(Eun Hye Ha),김서윤(Seo Yun Kim),송동호(Dong-Ho Song),곽은희(Eun Hee Kwak),소용(So Yong Eom)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2011 소아청소년정신의학 Vol.22 No.2

        Objectives: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discriminant validity and the clinical cutoff score of Child Behavior Checklist 1.5-5 in the diagnosis of developmental delayed infants. Methods:The participants were screened by Denver II which includes 156 developmental delayed infants and 288 normal infants. Chi-squared test, t-test, ROC curve analysis, odds ratio analysis were performed on the data. Results:Only 47 items out of 99 items among the CBCL 1.5-5 of total groups, 36 items of boys and 48 items of girls, discriminated developmental delayed infants well. Discriminant validity was confirmed by mean differences on the subscales of Withdrawn, Sleep Problems, Attention Problems, Internalizing Problems, Externalizing Problems, Total Problems, DSM Pervasive Developmental Problems and DSM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Problems between the two groups. Additionally, ROC analyses demonstrated that Withdrawn, Attention Problems, Internalizing Problems, Total Behavior Problems and DSM Pervasive Developmental Problems significantly predicted developmental delayed infants compared to normal infants. Also, the clinical cutoff score criteria adopted in the Korean CBCL 1.5-5 for subscales of Withdrawn, Attention Problems, Internalizing Problems, Total Behavior Problems and DSM Pervasive Developmental Problems were shown to be valid. Conclusion:The subscales of Withdrawn, Attention Problems, Internalising Problems, Total Behavior Problems and DSM Pervasive Developmental Problems significantly discriminated in the diagnosis of developmental delayed infants well.

      • KCI등재

        Clinical Manifestations of Superior Mesenteric Venous Thrombosis in the Era of Computed Tomography

        조준휘,최재정,엄은혜,정성민,신용찬,정성원,김재일,최평화,허태길,이명수,전흥만 대한혈관외과학회 2018 Vascular Specialist International Vol.34 No.4

        Purpose: Thrombosis of the portal vein, known as pylephlebitis, is a rare and fatal complication caused by intraperitoneal infections. The disease progression of superior mesenteric venous thrombosis (SMVT) is not severe.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clinical features, etiology, and prognosis of SMVT.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41 patients with SMVT from March 2000 to February 2017. We obtained a list of 305 patients through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9 code system and selected 41 patients with SMVT with computed tomography. Data from the medical records included patient demographics, comorbidities, review of system, laboratory results, clinical courses, and treatment modalities. Results: The causes of SMVT were found to be intraperitoneal inflammation in 27 patients (65.9%), malignancy in 7 patients (17.1%), and unknown in 7 patients (17.1%). Among the patients with intraperitoneal inflammation, 14 presented with appendicitis (51.9%), 7 with diverticulitis (25.9%), and 2 with ileus (7.4%). When comparing patients with and without small bowel resection, the differences in symptom duration, bowel enhancement and blood culture were significant (P=0.010, P=0.039, and P=0.028, respectively). Conclusion: SMVT, caused by intraperitoneal inflammation, unlike portal vein thrombosis including pylephlebitis, shows mild prognosis. In addition, rapid symptom progression and positive blood culture can be the prognostic factors related to extensive bowel resection. Use of appropriate antibiotics and understanding of disease progression can help improve the outcomes of patients with SMVT.

      • 과학기술의 일자리 영향 분석에 기반한 좋은 일자리 창출 전략

        홍성민(Seongmin Hong),미정(Mijung Um),이윤준(Yoonjun Lee),은혜(Eunhye Hwang),양현채(Hyunchae Yang),박기범(Kibeom Park),송충한(Choonghan Song),이세민(Saymin Lee),심정민(Jungmin Shim),박가람(Garam Park),김종엽(Jongyeob Kim)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9 정책연구 Vol.-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impact of science and technology on jobs, and to lay the foundation for future technological developments to lead to the creation of decent jobs. First of all, this paper analyzes the employment impact mechanisms of science and technology, focusing on recent literature analysis, and summarizes the stages and major types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or innovation activities that affect the employment of firms. Second, we analyze key industry cases by type of corporate response strategy to the employment impact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 Cases focused on improving process efficiency due to digitalization: logistics industry - Examples of business model innovations, such as manufacturing services or entering new businesses: New Space - Collaboration between Humans and Machines: Changes in Healthcare Jobs Third, we analyze the effects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in the domestic labor market and draw policy implications through the analysis of job changes in Korea centered on science and technology profession and the employment impact of corporate R&D investment. Lastly,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and limitations of Korea’s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response policy, we draw implications for policy improvement direction, and suggest strategies and comprehensive policy plans to promote the creation of decent jobs throug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