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신중 수술처치한 자궁부속기 종괴의 임상적 , 병리학적 그리고 예후적 특징

        이현주 ( Hyeon Ju Lee ),정기성 ( Ki Sung Chung ),지병주 ( Byung Ju Ji ),정희웅 ( Hee Woong Jeong ),이용호 ( Young Ho Lee ),엄상탁 ( Sang Tak Eu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4 No.7

        N/A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retrospective data concerning patients with adnexal masses that were managed surgically during pregnancy and their effect on fetal outcome. Methods :Data were reviewed concerning pregnant women who requited surgery at our hospital from January 1991 to December 2000 for an adnexal mass. Results :In the recent 10 years at our hospital a total of 47 pregnant women aged 27.9±3.6 years were diagnosed with adnexal masses that required surgery. The masses were removed at 12.3±3.7 weeks of gestation and maximum diameter was 8.4±2.3 cm. The pathologic features of the 47 lesions were as follows : 17 mature cystic teratomas, 14 epithelial origins (12 serous cystadenoma, 2 mucinous cystadenoma), 9 functional cysts, 4 endometriotic cysts, 2 paraovarian cysts, 1 malignant neoplasm. Of the 41 patients for whom the outcome of pregnancy was available, 2 (4.2%) gave preterm birth befare 37 weeks, while 4 (8.5%) experienced spontaneous abortion. There were not any perinatal death for the 43 infants. Conclusion .Although our studies are smaller for confinnation, so larger studies are required, but our results suggest that an adnexal mass may be associated with an adverse fetal outcome. Surgical intervention at<22 weeks of gestatian might not have been related to the advem fetal outcomes.

      • KCI등재

        자궁외임신의 임상적 고찰

        이용호 ( Yong Ho Lee ),권민정 ( Min Jeong Kwon ),송은정 ( Eun Jeong Song ),엄상탁 ( Sang Tak Eu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7 No.9

        목적 : 자궁외임신은 가임 여성에 있어 여전히 흔히 발생하는 응급질환중의 하나로써, 최근 5년간의 임상 통계학적 고찰을 통해 자궁외임신의 조기진단 및 치료에 기여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 방법 : 1998년 1월 1일부터 2002년 12월 31일까지 마산 삼성병원에 입원하여 치료받고 임상 및 조직병리학적으로 자궁외임신으로 진단받은 401예를 대상으로 임상 통계학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결과 : 조사된 기간동안 자궁외임신의 발생 빈도는 1:16.5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ssist in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of ectopic pregnancy. Methods : We analyzed clinical statistics of 401 patients, who visited Masan Samsung Hospital from January 1, 1998 to December 31, 2002, received t

      • KCI등재

        자궁비대가 있는 여성에서의 질식자궁적출술

        정철권 ( Chul Gwon Chung ),주장오 ( Jang Oh Joo ),김창운 ( Chang Woon Kim ),엄상탁 ( Sang Tak Eum ),박경도 ( Kyung Do Park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7 No.6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질식자궁적출술을 시행함에 있어 자궁무게와 수술성적간의 관계를 평가함으로서 자궁비대가 있는 여성에서의 질식자궁적출술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밝히고자 함에 있다. 연구 방법 : 2001년 2월부터 2003년 11월까지 본원에서 질식자궁적출술을 시행한 170명의 환자들을 자궁 무게가 300 gm에서 1000 gm 사이인 40명 (Group I)과 자궁무게가 300 gm 미만인 130명 (GroupsII)으로 나누어 분류하여, 각각 의무 기록지를 통해 연령, 분만력, 자궁무게, 수술기왕력, 동반수술, 수술 후 입원기간, 출혈량, 수술 전 후 헤모글로빈 변화, 수술시간, 합병증을 비교분석 하였다. 결과 : 임상적 분석의 결과 두 집단간의 연령, 분만력, 수술기왕력, 수술 후 입원기간, 동반수술, 출혈량, 수술 전 후 헤모글로빈 변화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수술 합병증 발생률의 비교에서도 Group I에서 12.5%, GroupII에서 13.1%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660). 수술시간의 비교에서는 Group Ido서 GroupII에서 보다 평균 16분 가량 수술시간이 더 소요되었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Group I 78.4±27.1분; GroupII 62.9±22.7분) (p=.176). 결론 : 자궁무게가 300 gm과 1000 gm 사이로 자궁비대가 있는 여성에서의 질식자궁적출술은 자궁무게가 300 gm 미만인 경우와 비교하여 안정성 및 효율성에 차이가 없었으며, 자궁비대가 질식자궁적출술의 금기증이 되지 않으며, 자궁세절술 (morcellation)을 능숙하게 사용함으로서 수술시간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더욱 안전하게 질식자궁적출술을 시행할 수 있을 거라 사료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uterine size and surgical outcomes in women undergoing total vaginal hysterectomy. Methods : We revieres the medical records of the 170 patients who underwent total vaginal hysterectomy from February 2001 to November 2003. These patients were stratified into two groups; Group I, patients with uterine weight of between 300 gm to 1000 gm; GroupII, patients with uterine weight of <300 gm.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for ages, parity, uterine weight, previous abdominal operations, concurrent surgical procedures, postoperative discharge day, bleeding amount, perioperative hemoglobin concentration change and operative time. Results : 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ith respect to postoperative discharge day, concurrent surgical procedures, bleeding amount and perioperative hemoglobin concentration change. 2. The rate of surgical complications were similar in the two group (Group I 12.5%; GroupII 1301%) (p=.660). 3. Operative time for vaginal hysterectomy was slightly longer for women in Group I than Group II (Group I 78.4±27.1 minutes; GroupII 62.9±22.7 minutes) (p=.176),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operative tim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 The vaginal hysterectomy is as safe and effective for the woman with enlarged uterus (300-100 gm) as for the woman with uterine weight of <300 gm. Uterine enlargement (Uterine weight>300 gm) is not an absolute contraindication to vaginal hystrectom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