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취업모 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정영순(Young Soon Chung),어윤경(Yoon Kyung Auh),임유진(Yu Jin Im) 한국사회정책학회 2012 한국사회정책 Vol.19 No.3

        본 연구는 18세 이하의 자녀를 둔 배우자 있는 기혼여성 임금근로자를 전일제와 시간제로 구분하여, 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구조가 두 집단에 동일한지, 경로계수가 두 집단간 차이를 보이는지를 비교분석하였다. 복수모집단 동시분석 결과, 경로모형은 근무형태가 다른 두 집단에게 적합하나 경로계수는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실제로 직접효과를 보면, 본인소득, 사업장 규모, 남편 일지지, 일가정 대립은 두 집단의 일만족도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나 건강상태는 전일제 취업모의 일만족도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간접효과에서도, 가정일 대립은 공통적으로 두 집단의 일만족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나, 건강상태는 전일제에게만, 미취학자녀와 본인소득은 시간제에게만 일만족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자녀를 둔 기혼여성 임금근로자의 일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근무형태별로 차별화된 대책이 마련되는 것이 효과적임을 시사해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athways of factors that influence job satisfaction for full-time and part-time married female employees with children of 18 or under and to compare path coefficients for two groups. Simultaneously analyzing multiple populations, we found that the path model was appropriate for both groups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th coefficients. Income, workplace size, husband`s support for wife`s work, and work-to-family conflict had direct effects on job satisfaction for both groups whereas health had a direct effect only among full-time workers. Family-to-work conflict had an indirect effect for both types of workers, while health had an indirect effect among full-time employees only, and income and having children under school age among part-time employees only. The results indicate that differentiated approaches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for full- and part-time employees are needed.

      • KCI등재

        전일제와 시간제 기혼 취업여성의 이직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정영순 ( Young Soon Chung ),어윤경 ( Yoon Kyung Auh ),최인선 ( In Sun Choi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2 사회복지정책 Vol.39 No.3

        본 연구는 18세 이하의 자녀를 둔 배우자 있는 취업여성을 전일제와 시간제로 구분하여, 두 집단의 이직의사에 근로 특성, 개인가족, 일가정 인식이 독립적으로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비교분석하였다. 시간제 근로자의 이직의사는 37.7%로 전일제 근로자 18.7% 보다 훨씬 높았다.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전일제와 시간제 모두 일가정 인식 요인이 이직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주요한 예측요인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시간제의 경우 개인가족 요인이 전일제와 달리 주요한 예측요인으로 밝혀졌고, 근로 특성 요인도 전일제 보다 영향력 있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전일제와 시간제 취업모의 경력 단절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두 집단 모두에게 일가정 인식 요인에 중점을 둔 대책이 마련되어야 하나, 개인가족 요인과 근로 특성 요인에 대해서는 근무형태별로 차별화된 대책이 마련되어야 함을 시사해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factors influencing turnover intention of full- and part-time married female employees residing with children of 18 or under. Using data from the first wave of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collected in 2007, we found that 37.7% of part-time and 18.7% of full-time employees had turnover intention. Results from separ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by employment type with hierarchical entry of work, personal and familial, and work-family perception factors showed that the work-family perception factor was most useful in explaining turnover intention of both full-and part-time employees. Unlike full-time employees, the personal and familial factor was an important predictor for part-time employees` turnover intention. In addition, the work factor was more meaningful for part-time than full-time employees. The findings suggest that in order to prevent employment disruption among employed mothers, strategies need to have a common focus on the work-family perception factor for both types of employment with differentiated emphases on work, and personal and familiar factors for full- and part-time employe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