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고려말 유배지와 유배시의 양상

        어강석 포은학회 2018 포은학연구 Vol.22 No.-

        본고는 고려말 신진사류의 유배상황과 유배시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고려말의 유배시는 우리나라 유배문학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다. 이전에 존재하는 유배시들은 정치적인 원인에 의한 유배가 아니라 실책에 대하여 받은 실형이었기 때문에 일반적인 유배시와는 성격이 다르다. 따라서 본격적인 유배시로 논의할 수 있는 자료는 고려말 신진사류들이 남긴 시문들이 처음이라고 할 수 있다. 이들은 목은 이색을 중심으로 성균관에서 성리학을 가르치고, 연구하였던 인물들이 중심이 되었다. 포은 정몽주, 도은 이숭인, 척약재 김구용, 삼봉 정도전 등이며, 그 외 호정 하륜, 양촌 권근, 인재 이종학 등의 후학들도 포함되었다. 이들은 성리학 학습을 통해 형성된 의리와 대의명분을 중요하게 생각하였으며, 이것을 지키기 위하여 정치적인 유배형을 받게 되었다. 이들은 자신들의 의견이 받아들여지지 않는 현실에 대하여 강개한 심정을 토로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강개한 심정은 다시 자기반성으로 수렴되어 나타나게 되었다. 또한 어떠한 상황에서도 임금에 대한 원망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항상 임금을 그리워하고 태평성대를 이루어 백성들을 올바르게 이끌 수 있기를 꿈꾸었다. 이들 신진사류들은 대부분 성리학 학습을 통해 서로에게 강한 믿음이 있었으며, 정치적인 지향점도 비슷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지역은 달라도 같은 시기에 같은 이유로 유배되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서로를 안타까워하며 그리워하는 동병상련을 느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Neo-Confucian Scholars’ conditions of exile and the aspects of exile poems they wrote. The exile poems that existed before late Goryeo Dynasty had been written by the people exiled not by political reason but by crimes they committed. Therefore, the poetry and prose that Neo-Confucian Scholars wrote can be the first that can be discussed as genuine exile poems. Most of Neo-Confucian Scholars in late Goryeo were the ones, in the center of Mogeun, that taught and studied Neo-Confucianism in Sungkyunkwan, They conformed a just and great cause by studying Neo-Confucianism but were sentenced to political exile in the process of keeping the caus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etry that Neo-Confucian Scholars in late Goryeo left are as follows. First, Neo-Confucian Scholars expressed their regrets in their poems that their opinions had not been accepted by the country, which were represented again as self-reflection. Second, it is shown in their poems that they yearned for the King all the time, missed their parents and had a dream that they lead the people under a reign of peace. Third, the fact that they had a sympathy of missing and feeling sorry one another because they had a strong bond formed by studying Neo-Confucianism is found in their poems.

      • KCI등재

        牧隱 李穡의 蘇東坡詩 受容 樣相

        어강석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2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0 No.1

        Mogeun Lee-saek(1328~1396) had taken Su Dongpo(1036~1101) as a model of his studying poetry from the study period. Mogeun studied Su Dongpo's poetry bearing it in mind for his lifetime and often quoted it in his poems. Mogeun quoted one phrase or line as it was, had one or two words changed when quoting one phrase, or combined two phrases into one phrase. Even if there is only one example, he polished and revised phrased used in the long Gochesi and rewrote it into 오언율시. Doing so, probability and validity in his poetry increased. This shows how precisely Mogeun read Su Dongpo's poetry and how fully he understood them. However, Mogeun never forgot to reveal the origin of the poetry referring to Su Dongpo's name in the same poem even though he quoted his poetry so frequently. 牧隱 李穡(1328~1396)은 修學期부터 蘇東坡(1036~1101)를 學詩의 典範으로 삼아 공부하였다. 牧隱은 평생 소동파의 詩를 마음에 새겨 공부하였으며, 소동파의 詩句를 자신의 詩에 자주 인용하였다. 목은은 소동파의 시 중에서 하나의 詩句나 한 聯을 그대로 인용하기도 하고, 또는 하나의 語句를 引用하면서 한두 글자를 변화시켜 사용하기도 하였으며, 두 개의 句節을 合하여 하나의 句로 生成하기도 하였다. 유일한 例이기는 하지만 長篇의 古體詩를 대상으로 사용된 시구들을 깎고 다듬어 5言律詩로 再創作하기도 하였다. 그렇게 함으로써 시의 簡潔性과 含蓄性을 높여 주었다. 이것은 목은이 얼마나 소동파의 시를 精密하게 읽었으며, 충분히 이해하였는가를 말해 주는 것이다. 그러나 목은은 이처럼 소동파의 시를 빈번히 인용하면서 같은 시 내에 소동파의 이름을 함께 언급함으로써 시의 淵源을 밝히는 것을 잊지 않았다.

      • KCI등재

        야은 길재의 행적과 찬영시(讚詠詩)에 나타난 평가

        어강석 포은학회 2023 포은학연구 Vol.31 No.-

        Yaeun Gil-jae did not respond to the call of the new dynasty, but lived in seclusion in nature, devoted filial piety to his parents, and fostered younger students to promote Neo-Confucianism. Yaeun had already guessed the fate of Goryeo and was determined to become a person of fidelity like Baek-i and Suk-jae. It was when Guam(龜菴) Nam-jae made two collections of poetry that he started composing poems praising Yaeun's achievements. In Guam's poems, many literary figures of the time, such as Yangchon Gwon-geun, Chunjeong Byeon Gye-ryang, Hojeong Ha-ryun, Yuljeong Park Seo-saeng, and Gyoeun Jeong I-oh, have left behind cha-un(次韻) poems. They recited Yaeun's fidelity as a poem and compared it to the achievements of Baek-i, Suk-je, and Eom Ja-reung. They compared Mt. Suyang to Mt. Geumo and compared Chilitan to Bonggye. With this, we praised Yaeun for not being afraid of death and not giving up on her will. However, there were also views that did not view Yaeun's activities positively. Saying that Yaeun's reputation was possible because the bright king of Joseon gave him great favor, he secretly criticized Yaeun for not appearing in the court of Joseon where such a bright king existed. In addition, it was said that the mission of a Neo-Confucian scholar was to assist him so that he could become a king like Yao and Shun, and it was evaluated that Yaeun did not perform this mission as a Confucian scholar and only raised his name by living in seclusion. 본 논문은 야은 길재의 시와 조선시대 문인들이 지은 시를 통해 야은의 행적과 후대의 평가 양상을 살펴보았다. 야은은 신왕조의 부름에 응하지 않고 초야로 은거하여 부모에 효성을 다하고, 후학을 길러 성인(聖人)의 학문을 진작시키는 행적을 남겼다. 야은은 이미 고려의 운명을 짐작하고 백이와 숙제처럼 절의를 지키는 인물이 되겠다고 다짐을 하고 있었다. 야은의 행적을 찬미하는 시를 짓기 시작한 것은 구암 남재가 두 개의 시축을 만들면서부터이다. 남재의 시에 양촌 권근, 춘정 변계량, 호정 하륜, 율정 박서생, 교은 정이오 등 당대의 문사들이 대거 참여하여 차운시를 남기고 있다. 이들은 야은의 절의를 시로 읊으면서 백이·숙제와 엄자릉의 행적에 비견하고 있다. 백이·숙제의 수양산을 금오산에, 엄자릉의 칠리탄을 봉계(鳳溪)에 비견하여 죽음도 두려워하지 않고 뜻을 굽히지 않은 야은의 모습을 찬미하였다. 그러나 야은의 행적을 긍정적으로 바라보지 않는 시각도 존재하였다. 야은의 명성은 조선의 밝은 임금이 큰 은혜를 베풀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고 하면서, 이렇게 밝은 임금이 있는 조선의 조정에 나오지 않았던 야은의 행적을 은근히 비난하였다. 또한 유자의 임무는 요순과 같은 임금이 될 수 있도록 잘 보필하는 것이라고 하면서, 야은은 유자로서 이러한 임무를 수행하지 않고 은거하여 이름만 높였다고 평가하기도 하였다.

      • KCI등재

        高麗歌謠 <雙花店>의 再解釋

        어강석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20 고전과 해석 Vol.30 No.-

        고려가요 <쌍화점>은 고려는 물론 조선 궁중의 연회용 악장이었으며, 상류층 사대부나 유학자들도 즐겨 향유하였던 노래이다. 따라서 지금까지 논의된 바와 같이 <쌍화점>을 대표적인 음사로 볼 수 있을 것인가 의문을 제기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처럼 제기된 의문을 바탕으로 <쌍화점>은 억울한 소문으로 고통을 받는 주인공 여인의 언술을 통해 고려 사회의 혼란한 일면을 보여주고 있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쌍화를 파는 가게’, ‘삼장사’, ‘우물’, ‘술집’ 등은 여인들이 자주 왕래할 수밖에 없는 곳이다. 그러나 이곳은 외부인들이 접근할 수 없는 공간이 많았기 때문에 일반인들의 호기심을 크게 자극하게 되었다. 더구나 이곳에서는 이미 성적인 사회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였기 때문에 이곳을 특별히 자주 왕래하는 여인들을 자연스럽게 의심하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주인공 화자 여인은 삼장사 등의 장소에 가서 충실하게 자신의 할 일을 하였다. 그러나 후에 주인과 손을 잡았다는 추문이 난 것을 알게 되었으며, 이것이 전혀 사실이 아님을 강하게 항변하고 있다. 그러나 소문은 점차 증폭되어 퍼져서 같이 잠을 잤다는 데까지 이르게 되었다. 이에 화자는 자신에 대한 황당한 소문에 대하여 진실을 해명할 수 없는 상황을 답답하게 여기고 있는 것이다. <쌍화점>을 억울한 소문에 대한 여인의 강한 한탄으로 이해하였던 예는 이미 조선 후기의 문인인 서포 김만중의 악부시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고려사』에서 <삼장>과 함께 한역되어 있는 <사룡>이 독립된 두 개의 작품이 아닌 내용상 서로 연결되어 있는 관계에 있다는 점에서도 확인 할 수 있다. One of Goryeogayo, Sang Hwa Jeom was banqueting Ahkjang played in the royal court of the Goryeo and the Joseon Dynasty and a type of songs that the high-class literary noblemen and Confucian scholars often enjoyed. Thus, this study raises the question of whether Sang Hwa Jeom should be regarded as obscene lyrics as discussed up to date. Based on the question raised as such, this study demonstrates the fact that Sang Hwa Jeom shows one aspect of Goryeo in a state of confusion through the heroine troubled with unacceptable rumors. Women at that time often visited the places like stores selling Sang Hwa, temples, wells and pubs. However, these places were not likely to be visited by strangers, so common people were very curious about what happened in them. Moreover, those places had a reputation for sexual problems, people were apt to be suspicious of the women visiting there. The woman who is the main character in this story had done her best sincerely in the places like the Temple of Samjang but later she was aware of the scandal she held hands with the store owner. Though she made a strong protest that it was not true at all, the rumor had been circulated and amplified and finally people said she slept with the man. Therefore, the narrator felt frustrated by the situation impossible to uncover the truth against the embarrassing rumor. Moreover, in the works of Seopo Kim man-jung, literary man of the late Joseon, it finds out that he understood Sang Hwa Jeom is about the woman lamenting the unjust rumor and the fact that Samjang and Saryong in Goryosa were translated by Chinese also proves the argument.

      • KCI등재후보

        순명효황후 언간의 작가문제와 작성시기 고찰

        어강석 청계사학회 2023 청계사학 Vol.25 No.-

        This study newly defined the issue of the author and the writing period for the Eongan written by Empress Sunmyeonghyo of Emperor Sunjong of the Korean Empire. As a result, the eongan of Empress Sunmyeonghyo was confirmed as 12 pieces in total. In the first discussion introducing Empress Sunmyeonghyo's writings, a total of 10 pieces were presented, and in the later discussions, the letter of <평일존명만> was added and presented as 11 pieces. However, when the initial data was collected and printed in 古文書集成 8, the separate letters were edited and presented as one, and the letter beginning with <나라의경츅이>, where the two letters were treated as one because the original was not accurately confirmed. was confirmed as an independent letter. In addition, the letter beginning with <규리소찰이> had the contents on the back as well as the front. However, in 古文書集成 8, <규리소찰이> and <향니로가시면> were recognized as one piece because the latter part was not recorded. Therefore, this too was confirmed as an independent letter again. Lastly, <평일존명만>, which was added as a letter to Empress Sunmyeonghyo, proved that it was not a letter from Empress Sunmyeonghyo based on the fact that the shape of the letters and the vocabulary used were different. As for t he writ ing period, t he details writ t en f rom Oct ober 1894 t o the summer of 1904 were newly confirmed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12 Eongan of Empress Sunmyeonghyo. 본 논문은 대한제국 순종황제의 비 순명효황후가 쓴 언간을 대상으로 작가문제와 작성시기를 비정하였다. 그 결과 순명효황후의 언간은 모두 12편으로 비정되었다. 처음 순명효황후의 언간을 소개한 논의에서는 모두 10편으로 제시하였으며, 이후의 논의에서 <평일존명만>의 편지를 추가하여 11편으로 제시하였다. 그러나 최초 자료를 수집하여 고문서집성 8에서 영인할 때 별개의 편지를 하나처럼 편집하여 제시하였으며, 원본 확인을 정확하게 하지 않은 이유로 두 편의편지가 하나로 취급되었던 <나라의경츅이>로 시작하는 편지를 독립된 하나의 편지로 비정하였다. 또한 <규리소찰이>로 시작하는 편지는 앞면에 이어 뒷면에도 내용이 있었다. 그러나 고문서집성 8에서 뒷부분을 영인하지 않고 <향니로가시면>을 이어서수록하였기 때문에 <규리소찰이>와 <향니로가시면>이 한 편으로 인식되었다. 이것도 다시 독립된 한 편의 편지로 확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순명효황후의 언간으로 추가되었던 <평일존명만>은 글자의 모양과 사용된 어휘가 서로 다르다는 것을 근거로 순명효황후의 편지가 아님을 증명하였다. 작성시기의 비정에서는 12편의 순명효황후 언간의 내용을 분석하여 1894년10월부터 1904년 여름까지 작성한 것으로 새롭게 비정하였다.

      • KCI등재

        ‘男女相悅’의 含意와 고려가요 <雙花店>의 性格

        어강석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18 고전과 해석 Vol.25 No.-

        본 연구는 고려가요의 대표적인 성격으로 논의 되고 있는 ‘남녀상렬’이 지니는 본래 의미가 무엇인가와 ‘남녀상렬지사’라는 용어가 ‘남녀 간의 정사를 담고 있는 가사’를 의미하였는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관련된 다양한 용례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현재 ‘음사’로 이해되는 일반적인 의미와 좀 다르게 사용되었음을 밝혔다. 현재 전해지고 있는 고려가요가 모두 고려의 왕실과 조선의 궁중에서 연행되었던 것임을 생각해 보면, 그 내용의 음란성에 대하여 논할 수 있는 근거는 희박하다. 실제로 그동안 사용된 용례를 살펴보면 ‘남녀상렬지사’는 말 그대로 ‘남녀 간에 서로 좋아하는 이야기’, 즉 ‘남녀 간의 사랑’을 노래한 것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그 용어 속에 ‘淫辭’라는 의미가 포함하여 사용한 예도 보이지 않았다. 조선시대 보이는 고려가요에 대한 개작도 궁중의 연회라는 성격에 맞지 않는 가사를 고친 것일 뿐이었다. 이어서 대표적인 ‘남녀상렬지사’이며, ‘淫辭’로 평가되고 있는 <쌍화점>을 분석하여 <쌍화점>이 가지는 성격을 살펴보았다. <쌍화점>은 기본적으로 ‘남녀 간에 서로 좋아하는 내용’이 아니며, 믿지 못할 소문에 고통 받는 여인이 자신의 행동이 정당한 것이었음을 노래한 것으로 볼 수 있었다. The study demonstrates the original meaning of 'Namnyeosangyeol' discussed in the representative character of Goryeogayo and investigates if the term of 'Namnyeosangyeoljisa' meant ​​'lyrics containing love affair between men and women'. For this purpose, various related examples had been collected and analyzed and it was found that the term had been used differently from the general meaning understood as 'obscene lyrics'. Considering that all the Goryeogayo were sung in the court of the Goryeo and the Joseon dynasty, there is little basis for discussing the lewdness of the Goryeogayo. In fact, examining the examples of referring to 'Namnyeosangyeoljisa' that have been used in the past, the term was used literally as a term referring to 'a love story between men and women' and any examples are not found that the term was used of meaning 'obscene lyrics'. Next, the characteristics of Sang Hwa Jeom(雙花店) that is a representative 'Namnyeosangyeoljisa' is investigated by analyzing it. The story of Sang Hwa Jeom(雙花店) is not about a love affair but it could be seen that the woman who suffered from unreliable rumors sang that her actions were legitimate.

      • KCI등재

        고려말 소악부 창작과 고려가요의 정서

        어강석 국문학회 2017 국문학연구 Vol.0 No.35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way and intention of composition of Soakbu written by Ikjae Geupam, and the propriety of the meanings of Um(淫) and Ran(亂) referred to as the representative sentiment of the Goryeo songs(gayo). Soakbu in the late Goryeo period was written with Goryeoga andyo and folksongs and in the form of a quatrain with seven-word lines in the short Akbu. It is one part of the compositon of Dongkuksi written by poets who stayed long in Won dynasty. As the viewpoints of the pluralism that Haw(華) and Lee(夷) are not different were getting widespread in the late Goryeo, the intention that culture of Goryeo can be the center of the word led Soakbu to be created. Also, as Goryeo songs that are the themes of Soakbu were used Akjang in Joseon court, they were adapted or replaced by words of Hanja for the reason of Namnyeosangyeoljisa. Studies on the Goryeo songs have focused on the sentiment of ‘lewdness’ so far. However, this paper shows that Um(淫) and Ran(亂) were the musical terms indicating the opposite concept of the right music(Jungak) and referred to the speed and the high and low of the music. 본고는 고려말 익재와 급암에 의해 창작된 ‘소악부’의 창작 방식과 의도를 알아보고, 소악부 창작의 소재가 된 고려가요가 음(淫)과 란(亂)의 정서로 언급되는 것이 과연 올바른 해석인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 논문이다. 고려말 <소악부>는 우리말로 불리는 가요와 민요를 소재로 악부소시의 7언절구의 형태로 창작되었는데, 주로 원나라에서 오랫동안 체류하였던 문사들 중심으로 이루어졌던 새로운 시형식이다. 고려말 화(華)와 이(夷)가 다르지 않다는 다원주의적 관점이 보편화 되었고, 다양한 문화에 관심을 가지던 원의 문사들이 고려의 시문을 보고 싶어 하였다. 아울러 고려의 문화도 세계의 중심을 이룰 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하는 의도를 가지고 <소악부>를 창작하였다. 또한 <소악부> 창작의 소재가 되었던 고려가요가 조선시대 조정에서 악장으로 사용되면서 남녀상열(男女相悅之詞), 음사(淫詞), 음성(淫聲) 등이라는 이유로 개작되거나 한문가사로 대체되었다고 보고, 이에 대한 고려가요의 정서를 음란성(淫亂性)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하였다. 그러나 ‘음’과 ‘란’이라는 용어는 바른 음악(正樂)의 상대 개념을 나타내는 용어로 사용되어서 악곡의 빠르기와 높낮이를 지칭하는 것으로 보는 것이 더 타당할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