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Variations of the Superficial Brachial Artery in Korean Cadavers

        양희준,길영천,정원석,이혜연 대한의학회 2008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Vol.23 No.5

        The superficial brachial artery (SBA), a branch of the axillary artery, is one of the most common arterial variations in this area. While it is more vulnerable to accidental arterial injection or injury, it could be useful for the nourishment of a medial arm skin free flap.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BA of axillary origin and segmental variation of the axillary artery, we dissected 304 arms of Korean cadavers. We found an SBA of axillary origin in 12.2% of cadaveric arms. Unilateral occurrence was detected in 16 cadavers and bilateral in 10. SBAs gave rise to radial and ulnar arteries in the cubital fossa (8.9%), continued in the forearm as the radial artery (2.3%), or ended in the upper arm (1.0%). The SBA ended as ulnar artery was not found in any of the cadavers. The bifurcation of the SBA into the radial and ulnar arteries, presence of an SBA that ends in the upper arm, and the lack of continuation as the ulnar artery are characteristics of SBAs in Korean cadavers.

      • 해양플로터의 자유항주 예인안정성 시험

        양희준,이영진,김세은 대한조선학회 2011 대한조선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11 No.11

        본 연구에서 해양플로터의 예인안정성 평가를 위한 자유항주 예인안정성 시험법을 개발하였다. 자유항주 가능한 예인선의 장치 및 운용을 통하여 보다 실제 현상에 가까운 모형 시험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예인 방식에 따른 예인안정성 시험 결과를 비교하고 방식에 따른 특성을 고찰하였다. 또한 RC 예인 시스템 등 시험 평가법의 고도화가 이루어져 보다 면밀한 시험 평가를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취득된 연구 자료는 향후 예인 안정성 평가 관련 연구에 소중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외상성 후방 견관절 불안정성에 의한 겨드랑신경 작은원근 가지 단독 손상

        양희준,김준순,김지은,안석원,김성민,성정준,이광우 대한신경과학회 2010 대한신경과학회지 Vol.28 No.4

        We describe a case of a 23-year-old man who presented with posterior instability of the right shoulder following trauma. Focal neuropathy of the axillary nerve branch to the teres minor muscle was diagnosed electrophysiologically. A shoulder magnetic resonance image revealed fatty atrophy of the teres minor muscle with sparing of the deltoid,supraspinatus, infraspinatus, and subscapularis muscles.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case of selective injury of the branch of the axillary nerve to the teres minor muscle to be described in Korea.

      • KCI등재

        교육정보공개법의 정책 목표에 대한 비판적 검토

        양희준 한국교육사회학회 2014 교육사회학연구 Vol.2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olicy goal of the Education Information Posting Act (EIPA) in South Korea. In this paper, an educational policy is considered as specific solution for specific educational problem that policy makers recognized from particular point of view. So,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olicy goals in the context of policy produ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Considering the bills accompanied by EIPA and preceding discourses, substantial goal of EIPA bill was disclosure of school achievement for inducing school competition. The claimed goals were articulated in the language of general public good such as ‘right to know’, ‘right to learn’, ‘elimination of education gap’ etc. However the real meanings of these claimed goals have a thread of connetion with the substantial goal.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re the existence of ‘hidden educational policy goal’ and the importance of linguistic strategies in the policy process. The passage of EIPA implies that basic structure of neo-liberal educational reform, including deregulation, expanded right of choice, and active flow of information is completed. Nevertheless, to apply neoliberal principles to educational reform should be carefully reconsidered because it can lead to side effects much more than positive effects. 본 연구는 교육정보공개법의 정책 목표를 비판적으로 검토해 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교육정보공개법안의 정책 목표를 맥락적으로 파악해 본 다음, 이를 명시적으로 표방된 정책 목표의 실제 의미와 비교해 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육정보공개법안의 정책 목표를 동반 발의 법안과의 관계 속에서 파악해 본 결과, 그것은 학업성취도평가 결과의 공시를 통한 학교 간 경쟁 유발로 나타났다. 교육정보공개에 관련된 선행 담론을 통해 볼 때, 교육정보공개법안이 전제하고 있는 교육 문제는 교육에 대한 ‘규제’나 ‘평준화 정책’ 같은 비시장적 질서였다. 한편, 교육정보공개법안의 표방된 정책 목표는 ‘국민의 알 권리 보장’, ‘학생의 학습권 신장’, ‘교육격차의 해소’ 등과 같이 공공선의 언어로 진술되어 있었다. 이러한 정책 목표들은 실제로는 부차적인 성격의 정책 목표이거나 ‘학교선택권’의 신장, ‘경쟁을 통한 학업성취도 격차의 해소’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결국 맥락적 정책 목표와 일맥상통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가려진 교육 정책 목표’의 존재와 교육 정책의 결정 과정에 사용되는 언어 전략의 유효함을 보여준다. 교육정보공개법의 제정은 규제 완화, 선택권 확대, 정보흐름 활성화라는 신자유주의적 교육개혁 기본 구조의 완성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신자유주의 이념을 교육에 적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신중한 재고가 필요하다.

      • KCI등재

        Subtypes of Sleep Disturbance in Parkinson’s Disease Based on the Cross-Culturally Validated Korean Version of Parkinson’s Disease Sleep Scale-2

        양희준,김한준,고성범,김중석,안태범,천상명,조진환,김윤중,마효일,박미영,백종삼,이필휴,정선주,김종민,송인욱,김지영,성영희,권도영,이재혁,이지영,김지선,윤지영,김희진,홍진용,김미정,윤진영,김지선,오응석,윤원태,유수연,권겸일,박형은,이수연,김연수,김희태,김상진 대한신경과학회 2020 Journal of Clinical Neurology Vol.16 No.1

        Background and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clinimetric properties of the Korean version of Parkinson’s Disease Sleep Scale-2 (K-PDSS-2) and whether distinct subtypes of sleep disturbance can be empirically identified in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PD) using the cross-culturally validated K-PDSS-2. Methods The internal consistency, test–retest reliability, scale precision, and convergent validity of K-PDSS-2 were assessed in a nationwide, multicenter study of 122 patients with PD. Latent class analysis (LCA) was used to derive subgroups of patients who experienced similar patterns of sleep-related problems and nocturnal disabilities. Results The total K-PDSS-2 score was 11.67±9.87 (mean±standard deviation) at baseline and 12.61±11.17 at the retest. Cronbach’s α coefficients of the total K-PDSS-2 scores at baseline and follow-up were 0.851 and 0.880, respectively. The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over the 2-week study period ranged from 0.672 to 0.848. The total K-PDSS-2 score was strongly correlated with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measures and other corresponding nonmotor scales. LCA revealed three distinct subtypes of sleep disturbance in the study patients: “less-troubled sleepers,” “PD-related nocturnal difficulties,” and “disturbed sleepers.” Conclusions K-PDSS-2 showed good clinimetric attributes in accordance with previous studies that employed the original version of the PDSS-2, therefore confirming the cross-cultural usefulness of the scale. This study has further documented the first application of an LCA approach for identifying subtypes of sleep disturbance in patients with PD.

      • KCI등재

        정책 목표의 추상성과 정책 담론의 모순 : '서울 혁신 교육' 교원 정책의 특징 분석

        양희준,김용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1 敎員敎育 Vol.37 No.2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s-related policies among the “Seoul Hyukshin Education” policies that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has been promoting since 2010. The research problem is as follows. What did the teacher policy for “Seoul Hyukshin Education” see as a problem? What was the stated policy goal of the “Seoul Hyukshin Education” teacher policy? What is the policy tool of the “Seoul Hyukshin Education” teacher policy?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acher policy for “Seoul Hyukshin Education”? The ‘document analysis’ method was used as a research method to answer the above research problems. The documents subject to analysis were the major speeches of the Seoul Superintendent of Education and the major work plans of the Seoul Office of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Seoul Hyukshin Education’ saw various conditions in which teachers could not devote themselves to educational activities for student growth as a matter of teacher policy, and the stated policy goals was the establishment of a ‘school autonomous operating system’. The means of teacher policy were very diverse, but the level of concreteness was generally low. Two characteristics of the teacher policy of “Seoul Hyukshin Education” can be presented. First, the policy goals were presented abstractly, and there was no goal statement related to the teacher's internal motivation. Second, there were conflicting views with respect to teachers in policy discourse. These characteristics lead to the passiveness of teacher policy. In order for the teacher policy of ‘Seoul Hyukshin Education’ to succeed in the future, based on the diagnosis of the possibility and limitations of the teacher policy, it should be consistently requested as a national-level policy, and should be promoted at the level of the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Some policies such as the innovation of teacher appointment procedure and the period of rotation for teachers also need to be considered. 이 연구는 2010년 이래 서울시교육청이 줄곧 추진해 온 ‘서울 혁신 교육’ 정책 중 교원 관련 정책의 특징을 분석한 것이다. 정책 문제와 해결책에 관한 ‘합리적 접근’의 관점을 벗어나 정책에 관한 담론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서울 혁신 교육’ 교원 정책은 무엇을 문제로 보았는가? ‘서울 혁신 교육’ 교원 정책이 표명한 정책 목표는 무엇이었는가? ‘서울 혁신 교육’ 교원 정책의 정책 수단은 무엇인가? ‘서울 혁신 교육’ 교원 정책의 특징은 무엇인가? 이상의 연구 문제를 다루기 위한 연구 방법으로는 ‘문서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서울시교육감의 주요 연설문과 서울시교육청의 주요업무계획 문서를 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서울 혁신 교육’은 학생의 성장을 위한 교육 활동에 교사들이 전념할 수 없는 여러 조건을 교원 정책의 문제로 보았으며, 표명된 정책 목표는 ‘학교 자율 운영 체제의 구축’이었다. 교원 정책의 수단은 매우 다양했으나 구체성의 수준은 대체로 낮았다. ‘서울 혁신 교육’ 교원 정책의 특징으로는 다음 두 가지를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정책 목표가 추상적으로 제시되었고, 교원의 내적 동기와 관련된 목표 진술이 부재하다. 둘째, 교원에 관한 정책 담론은 모순적이다. 교원을 혁신 주체로, 그러나 치유 대상으로 보는 대립적 관점은 정책의 소극성으로 연결된다. 향후 ‘서울 혁신 교육’의 교원 정책이 정책적 소극성을 벗기 위해서는 교원인사정책, 교원연수정책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한 진단에 기반하여, 국가 수준의 정책으로 꾸준히 요구할 것과 시・도교육청 차원에서 추진할 수 있는 개혁 방안을 구분하여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필요가 있다. 아울러 교원 임용 단계의 혁신과 교원의 순환 근무 기간을 연장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