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랍 고전 문학 번역서의 주변 텍스트 전략 연구: 『칼릴라와 딤나』를 중심으로

        양희정 한국아랍어아랍문학회 2023 아랍어와 아랍문학 Vol.27 No.3

        This study analyzed peritext strategies in five Korean translations of the Arabic classical literature Kalīlah wa-Dimnah. Peritexts are elements that surround the main text within a book, and peritexts in translations include the cover, introduction to the author, description of the work, commentary of the translator, footnotes, etc. The peritext is considered a component of a book with translated text, having a direct impact on the acceptance of the translated text. Therefore, translators employ various peritext strategies, including supplementary explanations, phrases to attract readers' attention, and so on. Unfortunately, Arabic culture in Korea is perceived as unfamiliar. Thus, the peritext serves as an important space that narrows the cultural distance between the author and the reader. Despite the significant role and function of peritexts in translation, there is no research on the peritext of Korean translation of Arabic literature. This study compares the strategies presented in the peritexts in each Korean translation of Kalīlah wa-Dimnah, providing peritext strategies that translators should adopt when translating Arabic classical literature. 본 연구는 아랍 고전 문학 『칼릴라와 딤나』의 한국어 번역서 다섯권의 주변 텍스트 전략을 분석했다. 주변 텍스트는 본문과 함께 한 권의 책을 구성하는 요소이다. 번역서에서의 주변 텍스트는 번역된 텍스트를 둘러싸고 있는 표지, 저자 소개, 작품 설명, 번역사의 해설, 각주 등으로, 독자의 번역된 텍스트 수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번역사는 작품 설명이나 해설, 독자의 관심을 끌기 위한 문구 활용 등 다양한 주변 텍스트 전략을 택하게 된다. 여전히 한국에서는 아랍 문화가 낯선 문화로 인식되고 있어서 주변 텍스트는 작가와 독자 사이의 문화적 거리를 좁혀주는 중요한 공간이다. 번역서에서 주변 텍스트가 차지하는 중요한 역할과 기능에도 불구하고 아랍 문학 한국어 번역서의 주변 텍스트에 대한 연구를 찾기 어렵다. 본 연구는 『칼릴라와 딤나』의 한국어 번역서에 나타난 주변 텍스트를 비교 분석하여, 아랍 고전 문학을 번역할 때 번역사가 채택해야 하는 주변 텍스트 전략을 제시한다.

      • KCI등재
      • SCIEKCI등재

        사과 겹무늬썩음병에 걸린 가지로부터 분산되는 병포자의 정량적 조사법 개발

        양희정,최창희,우현,김대희,엄재열,Yang, Hee-Jung,Choi, Chang-Hee,Woo, Hyun,Kim, Dai-Hee,Uhm, Jae-Youl 한국식물병리학회 1998 Plant Pathology Journal Vol.14 No.4

        On the basis of the fact that the pycnidiospore of Botryosphaeria dothidea, the causal fungus of apple white rot is a typical water borne spore, a method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pycnidiospore dispersal from the warts produced on the diseased apple tree stem was developed. The warts on which cracks developed either on or around them were cut off at the base, and shaked in the water for 4hours at 2$0^{\circ}C$, in which condition the maximum number of spores were released. The volume of shaking solution was calculated as 1 ml per one wart. At the end of shaking, Trio, a household detergent was added to the shaking solution to the concentration of 0.1%, and shaked for additional 10 minutes at 35$^{\circ}C$ to take off the spores attached on the glass ware. One milliliter of the spore suspension thus prepared were passed through transparent membrane filter (pore size : 3.0 ${\mu}{\textrm}{m}$), and the spores attached on the filter were counted under a microscope ($\times$200) after staining them with lactophenol supplemented with aniline blue. The results thus obtained were statistically consistent when at least 30 warts were used simultaneously in single shaking. This method can be applicable in the elucidation of ecology of sporulation and spore dispersal, and also in the screening of the sporulation inhibitor which can be used in the control of the disease by reducing the inoculum density.

      • KCI등재
      • KCI등재후보

        忠州 淨土寺 弘法國師 實相塔과 塔碑의 移轉 建立 經過와 相輪部 部材의 保存科學的 調査

        양희정,황현성 국립중앙박물관 2016 미술자료 Vol.- No.90

        충주 淨土寺에 세워졌던 弘法國師 實相塔과 塔碑는 1915년 10월 경복궁 경내로 옮겨졌다. 朝 鮮物産共進會에 출품할 목적으로 이동시킨 것으로 추정되는데 실상탑은 경복궁으로 옮겨지기 전에 충주 군청 뜰로 이동한 이력이 있다. 실상탑과 탑비는 共進會 美術館(이후 總督府博物館)의 동측에 계속 있다가, 경복궁 복원 계획에 따라서 탑과 탑비가 있는 東宮 지역 중건이 추진되면서 1996년에 해체되어 수장고에 격납되었다. 이후 소장·관리 기관인 국립중앙박물관이 용산으로 이전한 뒤 취약한 표면 상태 때문에 보존처리를 거쳐야 했던 탑과 탑비는 다른 석조물에 비해 늦게 재건립이 이루어졌다. 건립에 앞서 2년 동안 문화재의 안전을 위해 건립 예정 부지의 구조 안전성, 주변 진동의 영향, 應力, 地盤, 風荷重에 대한 안정성을 확인하였고, 부재의 강도를 높이고 표면 부식을 막기 위해 세척과 강화처리를 실시하였다. 건립 시 각 부재의 방향과 사용 범위는 경복궁에 이전 건립되었을 때의 모습을 기준으로 하되, 습기와 침하를 방지하는 보호 방안 수립을 최우선으로 삼았다. 한편 국립중앙박물관의 수장고에 있는 미정리 석조 문화재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홍법국사 실상탑 相輪部 部材를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이 부재가 1960년대까지 전시되었던 것과 동일한 부재인지 확인하기 위해 부재의 3차원 스캔 자료와 과거에 촬영된 유리건판 사진을 비교하였다. 그리고 정밀 육안관찰, 휴대용 실체현미경을 이용한 造巖鑛物 관찰, 全巖帶磁率 분석을 통한 磁化强度 測定, X-선 회절분석, 주사전자현미경-에너지분산형분광분석(SEM-EDS)을 통해 암석학적 분석을 행하였다. 그 결과, 사진 자료로 확인되는 실상탑 상륜부와 발견 부재가 동일한 형태이며, 실상탑 탑신을 구성하는 암종과 같은 재질적 특성을 갖는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실상탑의 상륜부는 간행된 출판물을 기준으로 1961~1967년 사이에 전시에서 제외되었다. 半破된 부재의 구조 때문에 안전상의 이유로 별도 보관하려 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이번에 실시한 상륜부 부재에 대한 다각적인 조사가 향후 상륜부 부재의 완형 복원과 재설치 가능성에 토대가 될것으로 기대한다. The stupa and stele that had originally been erected for State Preceptor Hongbeop at the Jeongtosa (淨土寺) Temple site in Chungju, Chungcheongbuk-do were relocated to the grounds of Gyeongbokgung Palace in October 1915. It is assumed that they were moved in order to be presented in the Joseon Products Exposition (朝鮮物産共進會, Kr. Joseon Mulsan Gongjinhoe). Prior to its arrival at Gyeongbokgung Palace, the stupa once before had been moved to the courtyard of Chungju district office. The stupa and the stele were installed to the east of the Art Museum of the Exposition (that later became the Joseon Government-General Museum) until 1996, when they were disassembled and placed in storage at the museum so that reconstruction of Donggung (Palace of the Crown Prince) could begin as part of a Gyeongbokgung Palace restoration project. Upon the reloca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to Yongsan, restoration work was called upon to preserve their brittle surface. This led them to being reconstructed later than other pagodas and stupas. For two years before their reassemblage, the site reserved for the stupa and stele was checked for its structural integrity, as well as stability against vibration, stress, ground stability and wind load for any potential threat to the safety of the heritage. Cleaning and strengthening of the stupa and stele were also conducted in order to improve the strength of their component and to prevent surface corrosion. The direction and range of the use of each component followed the arrangement of the previous structures when they were located at Gyeongbokgung Palace. However, the first priority was given to devising a protection policy to prevent potential damage from humidity and subsidence. In the meanwhile,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was also carrying out an examination of stoneworks that had not been registered, and this survey helped the re-identification of the finial part of the stupa of State Preceptor Hongbeop from the Jeongtosa Temple. 3D scan results were compared with old dry-plate glass photographs to assure that the finial part was the one that had been exhibited atop the stupa until the 1960s. Furthermore, studies and tests were carried out through macroscopy; portable stereoscopic examination of the mineral content of the rocks, measurement of magnetization intensity through “whole-rock magnetic susceptibility (全巖帶磁率)” analysis, X-ray diffraction analysis, and lithological analysis through SEM-EDS. It was confirmed that the finial part found in the storage matched the finial of the stupa in the photos, and that it also shared the same lithological properties as the stupa’s main body. Publications show that the finial of the stupa had been removed from display sometime between 1961 and 1967. It is assumed that it had to be removed for safety reasons due to partial damage of the structure. The recent multilateral examination of the finial is expected to strengthen the possibilities for restoration and reinstallation of the stupa in its entirety in the future.

      • KCI등재
      • KCI등재

        장년 성인의 특성들을 고려한 웹기반 코스웨어 설계 방안

        양희정,이석균,Yang, Hee-Jung,Lee, Suk-Kyoo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3 정보처리학회논문지 A Vol.10 No.5

        As the use of computers and internet service has increased fast, various web-based coursewares for the educational purpose have been devoloped. However, the development of web-based coursewares for old-aged adults is far from satisfactory. Since most existing web-based coursewares are designed for the youth, they are not proper for old aged people to use confidently. In this paper, we analyse psychological, social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old aged adults and propose the starategy for designing web based coursewares for them. Then, We apply the design strategy to develop the web-based courseware in Excel subject and analyse the effect of the design strategy by means of questioning and answring. 컴퓨터와 인터넷 사용의 급속한 확산에 따라 다양한 교육용 웹기반 코스웨어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장년 성인학습자를 위한 웹기반 코스웨어의 개발은 아직 미흡한 편이다. 기존의 웹기반 코스웨어는 주로 젊은 층을 대상으로 설계되어 있어 장년 성인들이 사용하기에 적당하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장년의 성인들의 심리적, 사회적, 신체적 특성을 분석하고 이들을 위한 웹기반 코스웨어의 설계 방안을 제시한다. 그리고 제안한 설계 방안을 엑셀과목의 웹기반 코스웨어에 적용하고 그 결과를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