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요양시설 거주자간 학대에 대한 탐색적 연구: 사회복지사 인식과 경험

        양호정,이미진 한국보건복지학회 2022 보건과 복지 Vol.24 No.3

        This study explored social worker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resident-to-resident abuse (RRA) in nursing homes for older adults.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of seven social workers working in nursing homes for older adults and analyzed interview data using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guided by Mayring(2010). The two main dimensions, six themes and 20 categories were deducted. The dimension of “perceptions of RRA” included three themes, “concept of RRA”, “types of RRA”, and “causes of RRA.” The dimension of “experience with RRA” contained three themes, “coping experiences of RRA”, “results of coping with RRA”, and “experienced dilemma.” Based on the findings, we discussed the person-centered care paradigm, restructuring operations and physical conditions in nursing homes, building cooperative relationships with family members, multidisciplinary team approach, defining the concept of RRA, and publishing manuals for responding to RRA.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 사회복지사의 거주자간 학대에 대한 인식 및 경험을 탐색적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노인요양시설에 근무하는 7명의 사회복지사를 심층 인터뷰하고, 질적 내용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인식 및 경험 차원의 6개의 범주, 20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인식 차원에는 거주자간 학대의 주요 개념, 거주자간 학대유형, 거주자간 학대의 원인 범주가 포함되었고, 경험 차원에서는 대응 경험, 대응 결과, 경험된 딜레마가 범주로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를 근거로 인간중심돌봄 관점, 노인요양시설 운영 및 물리적 상황 재구조, 보호자 협조 관계 구축, 전문적 다학제팀 체계 구성, 거주자간 학대 개념 및 대응 메뉴얼 마련 등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노인학대 사례개입과정에서 피해노인의 안전확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근거이론 방법 중심으로

        양호정,송영신,이미진,백민소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19 한국사회복지교육 Vol.46 No.-

        This study aims to provide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of intervention process of elder abuse by examining factors that affect older victim’s safety in the process of elder abuse intervention.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eight counselors from the four Korea Elder Protection Agencies. A total of 10 elder abuse cases were analyzed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method. These cases were categorized into two groups of cases: secured safety case and unsecured safety cases, and compared between two groups. The secured safety cases and the unsecured safety cases showed same causal condition, contextual condition, and interventional condition. However, the core phenomenon and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y were different. Thus, in the intervention process of elder abuse cases, factors that influence the security of the older victim were older victim’s and abuser’s attitudes toward interventions and the response of related agencies. Based on these results, we proposed family education for the prevention of elder abuse, establishing strategies that increase the cooperation of older victims, designing interventions for abusers, and institutional implications for increasing the cooperation of related agencies 본 연구는 노인학대 사례개입과정에서 피해노인의 안전확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노인학대사례개입의 실천적․정책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4개 노인보호전문기관의 8명의 상담원을 대상으로 10개의 노인학대사례에 대해 심층개별면접을 실시하고 근거이론방법을 활용하여 사례개입 결과, 피해노인의 안전이 확보된 사례와 확보되지 못한 사례로 분류 및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피해노인의 안전이 확보된 사례와 피해노인의 안전이 확보되지 못한 사례는 인과적 조건과 맥락적 조건, 중재적 조건은 동일하게 도출되었으나 “중심현상: 학대가 발생하고 피해노인은 개입에 개방적 자세를 취함/학대가 발생하고 피해노인과 학대행위자는 개입에 폐쇄적 자세를 취함”, “작용․상호작용 전략: 상담원과 유관기관은 적절히 개입함/상담원은 적절히 개입하지만 유관기관은 미흡하게 대응함”이 다르게 도출되었다. 즉, 노인학대 사례개입과정에서 피해노인 안전확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개입에 대한 피해노인과 학대행위자의 자세 그리고 유관기관의 대응 여부로 분석되었다. 이를 근거로 노인학대예방을 위한 가족교육과 피해노인의 협조를 유도할 수 있는 전략수립, 학대행위자 대상 개입을 위한 방안마련 그리고 유관기관 협력유도를 위한 제도적 방안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노인 재학대 예방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 행위자 중심으로

        양호정,이미진 사회복지정책실천회 2024 사회복지정책과 실천 Vol.10 No.1

        본 연구는 노인학대행위자 대상의 재학대 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 효과성을 혼합연구방법으로 살펴보았다. 13명의 학대행위자에게 8회기프로그램을 실행한 결과, 학대행위자의 감정조절 함양과 우울 감소에 유의한 변화가 있었으나 자아존중감은 유의하지 못했다. 또한 질적 분석 결과, 프로그램 참여과정에서 학대행위자는 감정과 인식, 행동 그리고 피해노인과관계 변화양상을 보였으며 전담인력과의 신뢰관계 및 학대행위자의 부정적상황이 이러한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 같은 결과를 근거로 노인학대 사후모니터링 강화, 다학제, 다체계적 개입, 그리고 재학대 예방프로그램 전담인력의 상시배치 등을 제언하고 후속과제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developed an elder re-abuse prevention program targeting perpetrators and assessed its effectiveness through a mixed-method approach. Thirteen perpetrators participated in eight sessions, and quantitative results revealed positive effects on emotional control and reduction of depressive symptoms. However, no significant change was observed in self-esteem. Qualitative findings indicated notable shifts in perpetrators’ emotions, perceptions, action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elder abuse victims. The trust relationship with social workers in charge, and the negative conditions of perpetrators emerged as influencing factors for these changes. The results suggest the need for enhanced follow-up monitoring of elder abuse cases, interdisciplinary or multi-systematic interventions based on family systems, and strategic workforce deployment for elder abuse prevention programs.

      • 노인학대사례개입에서 피해노인의 안전 확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양호정,송영신,이미진,백민소 한국노인복지학회 2018 한국노인복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8 No.11

        본 연구는 노인학대사례에서 피해노인의 안전 확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노인학대사례개입의 실천적 · 정책적 방안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2018년 6월 11일부터 7월 10일까지 각 지역 노인보호전문기관 사례집을 통해 연구목적에 맞는 사례를 유의표집한 후, 해당기관에게 사례일지를 요청하고 IRB 승인을 받은 질문지를 활용하여 10명의 노인보호전문기관 상담원(5개 기관)을 대상으로 13개의 노인학대사례에 대해 심층개별면접을 실시하였다. 분석의 일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수집된 13개의 노인학대사례 중 자기방임유형사례 2개를 제외한 11개의 노인학대사례가 분석에 사용되었고 분석방법은 근거이론방법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안전이 확보되지 못한 사례에서 피해노인의 성격 및 행동과 피해노인과 학대행위자간 상호관계 양상이 더 복합적이고 부정적으로 도출되었으며 안전이 확보된 사례에서만 유관기관의 적극적 대응과 협조개념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피해노인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사례개입에 대한 실천적 ·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였다.

      • KCI등재

        성인 시각장애인의 신체이미지 및 의복생활에 대한 질적 연구

        양호정,이민선,박해림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22 시각장애연구 Vol.38 No.4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의 신체이미지 및 의복생활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 9명의 성인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이들의 신체이미지와 의복생활 경험에 대해 개별면담을 진행하고 수집된 자료는 질적내용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5개의 범주, 8개의 하위범주와 17개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의존성 범주는 타인의 의견과 확인에 의존하는 신체이미지, 불안정성 범주는 확신 없이 흔들리는 신체이미지, 제한성 범주는 제한적으로 표현되는 신체이미지 하위범주로 구성되었다. 제한되고 좌절되는 의복관련 인식 범주는 정보부족과 실패로 좌절되는 욕구, 제한적으로 개념화된 의복의 목적. 도움과 경험 그리고 대안이 요구되는 의복생활 범주는 신뢰와 경험을 바탕으로 한 의복 구매, 상황에 적응하며 마련된 의복생활의 대안 하위범주가 구성되었다. 결론: 시각장애인의 긍정적 신체이미지 형성을 위한 노력, 의복생활의 어려움으로 인해 제한된 시각장애인의 욕구충족 그리고 생애주기 별 보조기기 활용방안 마련에 대해 논하였다.

      • KCI등재

        복합 치아종에 관한 증례보고

        최형준,최병재,손흥규,양호정 大韓小兒齒科學會 1995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2 No.2

        The odontoma is relatively a common odontogenic tumor. It has come to mean as a growth in which both the epithelial and the mesenchymal cell exhibit complete differentiation, with the result that functional ameloblast and odontoblast form enamel and dentin. The etiology of it is unknown, but it has been suggested that local trauma or infection may lead to the production of such a lesion. Odontma is divided into 2 types. One is compound odontoma that is at least superficial anatomic simiarity to normal teeth, and the other is complex odontoma, that calcified dental tissues are simply an irregular mass bearing no morphologic similarity even to rudimentary teeth. Somtimes this malformation is not easily identified because its lacking of calcification. So, if permanant tooth is delayed to erupt, one should take a careful look the radiographic film to find that whether the cause of it is odontoma or not. In this case report, 3 patients with odontoma who visited Dept. of Pediatric Dentistry in Yonsei Dental College, were treated by means of surgical removal.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odontoma is usually related to impacted tooth, and it is occurred neighboring to the crown of impacted tooth that have normally developed. So, in the case of missing tooth and delayed eruption, its presence should be investigated. 2. The odontoma can be seen vaguely radiographically, so, it is difficulty to make diagnosis. 3. The treatment of odontoma is a surgical removal. And, if it is completely removed, its occurrence is rare. 4. In the case of impacted tooth being associated with compound odontoma, continuous management is necessary for the eruption of impacted tooth after the surgical extraction of odontoma. 5. It resembles the ameloblastic odontoma radigraphically, and if it is the case, the treatment may vary, so the confirmation through histologic examination after removal of mass is necessary.

      • KCI등재

        장애형제와 함께 성장한 여성의 경험과 삶: Giorgi의 현상학적 분석방법 중심으로

        양호정 ( Ho Jung Yang ),신준섭 ( Jun Seob Shin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5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1 No.1

        본 연구는 장애형제와 함께 성장한 여성의 경험을 탐색하고 그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두었다. 연구참여자들은 의도적 표집(purposive sampling)방법으로 선정되었으며, 연구목적과 과정을 이해하고 참여에 자발적으로 동의한 장애형제와 함께 성장한 경험이 있는 성인 여성 6명을 대상으로 Giorgi의 현상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되었다. 연구참여자들의 진술은 자유변경법을 통해 의미단위들을 사회복지적 용어로 전환하고 전환된 의미단위들은 총 6개의 구성요소로 도출되었다. 도출된 6개의 구성요소들은 ‘상황에 의해 주어진 삶’, ‘관심과 애정을 위해 노력하며 사는 삶’, ‘가족불화와 타인시선에 힘든 삶’, ‘어려움에 대처하며 꽃 피운 삶’, ‘끝나지 않는 과거 속에 사는 삶’, 마지막으로 ‘변화하고자 하는 삶’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장애형제와 함께 성장한 여성들의 이해 및 지원을 위한 방안 등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experiences of females who have grown up with siblings with disabilities, and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life of non-disabled female siblings. A purposive sampling strategy was used for this study. Six participants who have grown up with disabled siblings were recruited and they were asked for their informed consent prior to entering this research. Thes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a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which can minutely delineate about participants’ uniqueness and individualistic structure. Participants’ statements were converted into term of social work by using a method of free imaginative variation. Converted meaning units divided into 6 factors. Those factors which were derived from participants’ experience are as following; The life, by controlled by circumstances, The life in the constant pursuit of the attention and the affection, The hardship with the family discord and someone’s eyes, The flourishing life while facing hardships, The life lingering in the past and The life as change. Based on the results, practical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and supporting of non-disabled female siblings were suggested.

      • KCI등재

        발달장애학생 자기결정에 관한 장애학생과 부모, 교사 간 인식 차이 분석

        양호정 ( Yang Ho Jung ),황의태 ( Hwang Eui Tae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구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020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6 No.1

        본 연구는 발달장애학생 자기결정에 관한 장애학생과 부모 그리고 교사 간 인식 차이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 경남지역 6개 학교 고등학교 발달장애학생과 그들의 부모 및 담당교사를 대상(장애학생 122명, 부모 122명, 교사 84명)으로 조사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결정에 대해 발달장애학생이 가장 높게, 부모가 가장 낮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발달장애학생과 부모 그리고 교사 모두가 장애학생의 ‘행동하기’ 수준을 가장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19세인 발달장애학생들은 17세와 18세의 발달장애학생에 비해 자신의 자기결정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는 부모와 교사의 인식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였다. 셋째, 장애학생과 그들의 부모 간, 장애학생과 교사 간 그리고 부모와 교사 간 인식 차이를 살펴본 결과, 모두 발달장애학생의 자기결정에 대해 유의미한 인식 차이를 보였다. 연구결과를 근거로 자기결정 지도체계 수정·보완, 발달장애학생 내적요인 강화를 목적으로 한 교육전략 구축 그리고 부모의 지속적·상호적 의사소통 능력 함양 및 교사의 상담수행과 이를 위한 지원과 노력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looked at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disabled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regarding self-determination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ir parents and teachers from six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Gyeonggi Province and Gyeongnam Province were surveyed (with 122 disabled students, 122 parents, and 84 teachers). According to the study; 1)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the highest and parents the lowest in terms of self-determination. Also, everyone was the least aware of the level of 'acting' of disabled students. 2)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ged 19 were more positive about self-determination than younger disabled students. This showed the same result in the perception of parents and teachers. 3)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arents and teachers all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determination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was recommended to supplement the self-determination education system, establish a continuous and systematic education strategy, foster parental communication skills and conduct counseling for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