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박완서(1931-2011)의 종교 여정: 유교 문법 위에 쓴 그리스도교 신앙
양혜원 한신대학교 종교와문화연구소 2019 종교문화연구 Vol.- No.33
This paper reconstructs the religious journey of writer Park Wansuh (1931-2011) in an effort to move beyond the liberatory focus of feminist theology and to understand the desires and life-projects of religious women. With the emergence of non-liberal traditions of religious feminisms in the 1990s, such as Islamic feminism, it has been contended that the western liberal tradition that presupposes the liberatory desire as the universal desire lacks the ability to explain the religious agency of women from non-liberal traditions such as Islam. Also, religious historian Stephen Prothero has shown and argued that in the creolization of religions, the deep structure of one's native religious culture remains as the basic grammar and adapted religion is thinly layered over it as the lexicon. All of these discussions on religious subjects provide new insights into understanding Korean Christian women who have been formed as subjects within the Confucian gender norm. The reconstruction of Park's narrative of her religious journey based on such new insights will contribute to understanding what religion means to women and the kind of virtue they can model. 이 연구는 종교의 여성 해방 가능성에만 주목해온 기존의 여성신학적 입장에서 벗어나 여성들 자신이 종교 안에서 추구하는 것은 무엇이며 자신의 신앙을 통해서 어떠한 인간으로 거듭나고자 하는가 하는 종교적인 욕망을 작가 박완서(1931-2011)의 종교 여정의 서사를 통해서 살펴본다. 1990년대 무렵부터 부상한 비서구 전통의 종교 페미니즘들을 배경으로 하고, 언어학의 혼성(creolization) 이론을 종교 개종 분석에 적용시킨 종교사학자 스티븐 프로세로(Stephen Prothero)의 연구를 참고한 이 논문은, 박완서의 경험이 유교 문법 위에서 그리스도교 신앙의 서사를 써가는 한국 보수 그리스도교 여성의 경험을 이해하는 데에 어떤 참고가 되는지를 전기적 재구성(biographical reconstruction)의 방법을 통해서 보여준다.
지방선거에서 중국인 등 외국인 영주권자 선거권 배제 필요성에 관한 연구
양혜원,유근환 대한지방자치학회 2024 한국지방자치연구 Vol.26 No.2
한국은 2005년 노무현 정부 때 외국인에게 지방의회의원 및 지방자치단체장의 선거권을 주었다. 중국에 거주하고 있는 한국인은 중국에서 치러지는 선거에서 단 1표도 행사하지 못한다.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 영주권자는 3년만 지나면 투표를 행사할 수 있다. 한국에서 중국인 영주권자의 경우에 약 15만 명에 달하며 2026년 외국인이면서 선거에 참여할 수 있는 영주권자는 18만 1,251명으로 예상된다. 한국 국적이 없어도 한국 지방선거에서 표를 행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상호주의의 원칙을 벗어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현재의 법은 불합리한 면이 존재하며 상호주의 관점에서 공정하지 않다. 또 중국이 호주, 캐나다의 선거에 개입하려는 시도가 있었고 중국의 정치적 개입에 대하여 우려하는 목소리는 커지고 있다. 상호주의에 어긋난 이러한 법은 개정되어야 한다. 상호주의 원칙에 입각하여 중국인 등 외국인 영주권자에 대한 선거권은 배제되어야 한다. In 2005, during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 South Korea gave foreigners the right to vote for local council members and heads of local governments. Koreans living in China cannot cast a single vote in elections held in China. Foreign permanent residents residing in South Korea can vote after only three years. The number of Chinese permanent residents in South Korea is approximately 150,000, and the number of permanent residents who are foreigners and can participate in elections in 2026 is expected to be 181,251. This can be said to be an example of deviating from the principle of reciprocity in that one can vote in Korean local elections even if one does not have Korean nationality. The current law has some unreasonable aspects and is not fair from the perspective of reciprocity. Additionally, there have been attempts by China to interfere in elections in Australia and Canada, and voices of concern about Chinese political intervention are growing. These laws that violate reciprocity must be revised. Based on the principle of reciprocity voting rights for foreign permanent residents including Chinese should be excluded.
양혜원,금현섭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09 政策分析評價學會報 Vol.19 No.3
본 연구는 주5일 근무제의 실시라는 정책개입이 실제로 의도한 여가행태의 변화와 삶의 질 제고라는 정책결과(intended policy outcome)를 가져왔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한국노동패널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주5일 근무제의 시행으로 나타난 근로자들의 근로시간, 여가활동 및 여가지출, 여가만족도의 변화를 추정하고 다양한 통계기법을 이용하여 이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주5일 근무제의 실시로 근로자들의 정규근로시간은 단축되었으나 실제 근로시간은 단축되지 않았으며, 수면 등 소극적 여가활동이 협의의 여가활동과 능동적 활동에 비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5일 근무제의 실시는 여가지출에는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여가만족도의 증대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향후 주5일제의 정책적 개선을 위해 실제 근로시간의 단축을 위한 인센티브 제공과 여가관의 전환을 위한 교육, 그리고 빈곤층과 여성에 대한 여가복지적 측면에서의 접근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양혜원,유근환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2022 사회융합연구 Vol.6 No.4
청년인구가 감소하면서 현재의 병력 구조에 변화가 발생하게 되었다. 앞으로도 청년인구 감소는 이어질 전망이다. 군 복무기간도 예전에 비하여 상당히 줄었다. 육군은 18개월, 해군은 20개월, 공군은 21개월을 복무한다. 군구조가 변화하고 복무기간과 병사 수가 달라질수록 한국 군의 부사관의 역할은 더욱 막중하고 강조될 수밖에 없다. 부사관은 한 부대에서 오랜 기간 동안 복무하기 때문이다. 한국은 동아시아지역에서 가장 어려운 지정학적 위치에 놓여있다. 중국, 러시아, 일본, 북한이 인접하고 있고 이들 국가의 군사력은 매우 강하며 지속적으로 고도화되고 있다. 한국은 강한 국방력을 바탕으로 굳건한 안보를 구축하여야 한다. 부사관이 지휘관과 병사 사이에서 장교에 버금가는 역할이 수행되어야 변화하는 군 병력 상황에서 전투력이 유지될 수 있다. 군구조가 변화하고 복무기간과 병사 수가 달라질수록 한국 군의 부사관의 역할은 더욱 막중하고 강조될 수밖에 없다. As the youth population decreased, changes occurred in the current military structure. It is expected that the youth population will continue to decline in the future. The period of military service has also been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past. 18 months in the Army, 20 months in the Navy, and 21 months in the Air Force. As the military structure changes, the period of service and the number of soldiers change, the role of the non-commissioned officer in the South Korean military becomes more significant and emphasized. This is because non-commissioned officers serve for a long period of time in one unit. Korea is in the most difficult geopolitical position in East Asia. China, Russia, Japan and North Korea are adjacent, and the military power of these countries is very strong and is constantly being upgraded. South Korea must build solid security based on its strong national defense capabilities. NCOs must play an officer-like role between commanders and soldiers in order to maintain combat power in the changing military force situation. As the military structure changes, the period of service and the number of soldiers change, the role of the non-commissioned officer in the South Korean military becomes more significant and emphasized.
정신건강사회복지론 수강생의 인식 및 태도 변화에 대한 탐색적 사례연구
양혜원 총신대학교 2023 總神大論叢 Vol.43 No.-
본 연구는 정신건강사회복지론 강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로서 강의자료, 주차별 강의과정 기록, 과제물 등을 질적으로 분석하여 수강생들이 강의를 통해 정신질환, 정신장애인, 정신건강사회복지실천 등에 관한 인식과 태도에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가를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정신질환 및 정신장애인 차원에서 ‘정신질환 및 정신장애인에 대한 인식 변화’와 ‘정신질환 및 정신장애인에 대한 마음과 자세의 변화’ 등 2개 주제가 도출되고, 각 주제별로 5개의 소주제가 도출되었다. 정신건강사회복지실천 차원에서는 3개의 소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정신건강사회복지론 수강생들이 정신건강 관련하여 잘 준비된 유능한 예비(정신건강)사회복지사로 성장할 수 있도록 교육하고, 더 나아가서는 대다수가 목회 또는 교육, 보육, 상담 등 휴먼 서비스 전문분야에 진출하고자 하는 총신대학교 재학생들이 정신건강 문제에 적극적 관심과 올바른 인식 및 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교육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