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식물로부터 유래된 카보멘사이드를 이용한 열경화성 탄성체 합성

        양진영,이상준,김건중,김영운,신지훈 한국공업화학회 2014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4 No.1

        석유 고갈의 우려와 친환경적이면서 인체에 무해한 제품의 수요 증가에 따른 화학산업의 최근 동향은 석유 기반 원료의 사용을 줄이고, 바이오 기반 원료를 적극 활용하는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 기반 열경화성 탄성체를 합성하기 위하여 자연으로부터 얻어지는 락톤 류 중 하나인 카본(carvone)을 사용하였다. 민트나 허브에서 추출한 카본으로부터 카보멘사이드 모노머를 얻었고, 이를 개환 중합하여 양 말단이 하이드록시기(-OH)인 폴리카보멘사이드를 합성하였다. 여기에 숙신산 무수물을 첨가하여 양 말단을 카르복시기(-COOH)로 치환한 후, 아지리딘 경화제를 사용하여 고온에서 경화시키면 투명하고, 고온에 잘 견디며, 높은 신율을 갖는 열경화성 탄성체가 얻어진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은 원팟(one-pot) 반응으로, 생성물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에너지 또한 절감할 수 있어 산업적으로 활용할 가치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부선 승선 선두의 안전성 제고를 위한 제언

        양진영,김주형,Yang, Jinyoung,Kim, Chuhyong 해양환경안전학회 2022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8 No.6

        부선의 50퍼센트 이상은 선박검사를 '무인부선'으로 받고 있다. 무인부선의 두드러진 이점은 유인부선에 비해 약 25퍼센트의 건현에 해당되는 화물을 더 적재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무인부선에도 항해 중에 선석 접안과 이안, 투묘와 양묘, 항해등화의 점등과 소등 등과 같은 업무를 담당할 선원이 필요하다. 피상적인 인식은 예인선이 부선 운항에 대한 책임을 진다는 것이지만, 부선 운항자가 예선을 용선하는 경우처럼 다른 사례들도 다수 있다. 특정 계약관계에서는 예선이 부선의 운송인에 불과할지라도 예선 선장은 그 운송계약(항해)을 완성하여야 하는 의무를 이행하여야 한다. 상당수의 예선 선장은 부선 제원과 선두 정보를 제공받지 못하고 있으며, 이러한 형태는 선장의 권한을 존중하지 않는 것이며 관련 법령을 의도하지 않게 위반하게 된다.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정책적 접근을 통해 무인부선을 유인부선화하고, 승무정원증서를 발급받도록 하며, 부선과 선두의 정보를 예선 선장에게 제공하는 등 세 가지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제안을 통하여 선두의 권리를 개선하고, 법령(최대승선인원) 위반 부담을 해소하며, 예선 선장의 권한을 보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항만국통제를 통한 해사노동협약의 이행실태 분석

        양진영 해양환경안전학회 2019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5 No.1

        The Maritime Labour Convention, 2006, (MLC) aimed to ensure decent working conditions for seafarers and entered into force on August 20, 2013. It was considered as the fourth pillar in the maritime sector. This paper evaluates how the MLC has been implemented in the field and what issues were addressed in the shipping industry. To achieve this,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inspection data of Port State Control (PSC) carried out by the Paris MOU and the Tokyo MOU during 2010-2012 and 2014-2016 for deficiencies under the MLC and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ILO) No. 147 Convention. This study compared pre-2013 and post-2013 deficiency data according to ship's age, size (gross tonnage) and type. The results showed that, although the deficiencies reported by the Tokyo MOU during 2014-2016 were nearly double those from 2010-2012, the deficiency share against total deficiencies for the Tokyo MOU remained two thirds of those for the Paris MOU.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Tokyo MOU should strengthen its inspection efforts on MLC and ILO should provide clear references, such as guidelines and a unified interpretation for national discretions under the MLC for the purpose of harmonized PSC inspections. Additionally, it would be desirable to consolidate the deficiency coding system for the MLC by deleting the codes for the ILO No. 147 Convention, which was incorporated into the MLC. It would also be beneficial to add new deficiency codes for social security, including seafarers' leave and repatriation. 선원의 근로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2006년 해사노동협약이 2013년 8월 20일 발효되었으며, 이 협약은 해운업계에서 4번째 중요한 협약으로 간주되고 있다. 이 연구는 해운업계가 이 협약을 어떻게 이행하고 있으며,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유럽지역 및 아태지역 항만국통제 협력체가 해사노동협약과 ILO 제147호 협약과 관련된 2010~2012년 및 2014~2016년간 지적한 결함사항을 선령, 크기(총톤수), 선형 및 결함사항 유형에 대하여 협약 발효 전후(2013년) 3년간을 각각 비교하였다. 그 결과 아태지역에서 협약 발효 후인 2014~2016년 기간에 협약 발효 전 기간보다 결함사항이 약 2배 증가하였지만, 총 결함건수 대비 선원근로환경 관련 결함건수의 비율은 유럽지역의 약 2/3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사노동협약이 보다 더 잘 이행되기 위해서는 이 협약에 대한 아태지역 항만국통제 협력체의 점검율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며, 이 협약이 국내법으로 위임한 규정에 대하여 국제노동기구가 국제해사기구의 가이드라인이나 통일해석과 같은 명확한 근거를 제공함으로써 통일적인 항만국통제가 시행되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해사노동협약에 편입된 ILO 제147호 협약에 대한 결함코드를 삭제하고 해사노동협약의 해당 결함코드로 통합하는 한편, 선원휴가 및 교대 등 사회보장 등과 관련된 항만국통제 결함코드를 신설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A Study on the Verification Method of Ships’ Fuel Oil Consumption by using AIS

        양진영 해양환경안전학회 2019 海洋環境安全學會誌 Vol.25 No.3

        Since 2020,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Prevention of Pollution from Ships (MARPOL) amended in 2016, each Administration shall transfer the annual fuel consumption of its registered ships of 5,000 gross tonnage and above to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 after verifying them. The Administration needs stacks of materials, which must not be manipulated by ship companies, including the Engine log book and also bears an administrative burden to verify them by May every year. This study considers using the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AIS), mandatory navigational equipment, as an objective and efficient tool among several verification methods. Calculating fuel consumption using a ship’s speed in AIS information based on the theory of a relationship between ship speed and fuel consumption was reported in several examples of relevant literature. After pre-filtering by excluding AIS records which had speed errors from the raw data of five domestic cargo vessels, fuel consumptions calculated using Excel software were compared to actual bunker consumptions presented by ship companies. The former consumptions ranged from 96 to 123 percent of the actual bunker consumptions. The difference between two consumptions could be narrowed to within 20 percent if the fuel consumptions for boilers were deducted from the actual bunker consumption. Although further study should be carried out for more accurate calculation methods depending on the burning efficiency of the engine, the propulsion efficiency of the ship, displacement and sea conditions, this method of calculating annual fuel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wo consumptions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most useful tools to verify bunker consumption.

      • SCOPUSKCI등재

        Large Cell Carcinoma of the Lung - An analysis of clinical features and survival

        양진영,이형식,문성록,김귀언,서창옥,노준규,오원용,황인순,Yang Jin Yeong,Lee Hyung Sik,Moon Sun Rock,Kim Gwi Eon,Suh Chang Ok,Loh Jojn J.K,Oh Won Yong,Whang In Soon The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199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8 No.2

        1985년 1월부터 1989년 12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치료방사선과 및 연세암센터에서 치료받은 33명의 대세포 폐암 환자에 대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이중 28명 이 남자로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평균 연령은 59세였다. 대세포 미분화폐암이 가장 많았으며 종양의 위치는 우측 폐에 19명, 좌측 폐에 14명에서 발견되었다. 일반적으로 대세포 폐암은 상당수가 폐의 주변부에 종양이 위치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본 조사에서는 중심부에 위치해 있는 경우가 주변부 만큼 많이 관찰되었다($51.5\%$와 $48.5\%$). 33명의 환자중 21명이 IIIB기 이상의 상당히 진행된 병변을 갖고 진단되어 졌다. 총 15명의 환자에서 원격전이가 관찰되었는데 이중 11명이 진단당시부터 원격전이를 갖고 있었고 나머지 4명은 치료 도중이나 치료 후 발견된 경우였다. 원격전이 부위는 다양하였는데, 연부조직, 피부, 췌장 및 충수돌기등 다른 폐암에서는 흔치 않는 부위에서의 원격전이가 관찰되었다. 치료는 개인별로 차이가 많았는데, 초기에 진행된 병변을 가진 환자가 많았으므로 19명 만이 근치적 목적의 치료를 받았으며 나머지 14명은 고식적인 방법으로 치료를 받았는데 치료후 2명의 환자에서 완전 관해를 얻었다. 4명의 환자가 24개월에서 54개월까지 장기 생존하였으며 2년 생존율은 $14.3\%$였고 중앙생존 기간은 6개월 이었다. 생존율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을 분석해 본 결과 늑막 유출액이 없었던 환자군과 치료후 완전 관해를 보였던 환자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생존율이 좋았다 (p<0.01).서만이 방사선 치료에 의해 완전관해를 얻을 수 있었던바($25\%$) (p<0.001),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한편 이를 원발부위, T-병기 그리고 N-병기에 따라 분석해본 결과, 특히 T-병기중 T3, 4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으나(p<0.0005), T1, 2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관찰 되지 않았다(0.3<p), 따라서 유도화학요법과 방사선치료에 의한 종양의 관해 정도는 대체적으로 상호연관성이 관찰되고 있으나, 초기 병변에서는 이러한 현상이 관찰되지 않는바 유도화학요법에 의해 관해가 없더라도 방사선 치료에 의해 완전관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와 N stages (AJCC), 3) mucoepidermoid carcinoma에 있어서 분화 정도 였다.하다고 생각한다.$6\%$, 수술이 필요하였던 환자는 $1\%$로 합병증의 증가 없이 A점에 8900cGy, 직장에 7300cGy정도의 국소치료가 가능함을 보여 주었으나 생존율에 대한 추후 분석이 따라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보면 6,000rad이하에서 20/63$(34.9\%)$의 실패율에 비하여 6,000rad이상일 때는 10/49$(20.4\%)$의 실패율이었다. 연령 벨로는 $40\~49$세에서 실패율(14/41 $24.1\%$)이 많았다. 본 성적으로 보아서 생존율은 여러 저자들과 큰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고 A점 선량은 8,000rad 이상, B점은 6,000rad이상이 조사되어야 적정선량이 됨을 시사해 주고 있다.\%$가 대부분이 This is a retrospective review of 33 patients with large cell lung carcinoma treated at Yonsei University Cancer Center between Jan.1985 and Dec.1989. Of the thirty-three patients, twenty eight were men and five women. Median age was 59 years. Large cell undifferentiated carcinoma was the most common pathologic type, $78.8\%$. Twenty one of thirty three patients had far advanced diseases, stage IIIB-IV at the time of initial diagnosis. Pleural effusion was initially presented in 12 patients, and SVC syndrome appeared in 5 patients. As to location of the primary tumor,19($57.6\%$) appeared in the right lung and 14 ($42.4\%$) in the left. Patients with a centrally located primary tumor mass were nearly the same as those peripherally located (17 vs.16). Fifteen of thirty three patients developed metastasis involving not only bone, brain, the opposite lung, adrenal gland but also soft tissue, skin, pancreas and appendix. Treatment was individualized with 19 treated radically and 14 palliatively. After treatment, only two patients showed a complete response. Long term survival was observed in 4 patients: 1 (24 mo.),2 (41 mo.) and 1 (54 mo.). The overall 2 year survival rate was $14.3\%$ while the median survival time was 6.0 month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various factors affecting survival, we observed that pleural effusion-absent group and complete response group had a statistical significant better survival rate (p<0.0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