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교통안전체험교육센터 교육 이수자 교통사고 특성 분석을 통한 교육프로그램 개선방안 제시

        양지민 ( Yang Ji Min ),김동욱 ( Kim Dong Uk ),박소은 ( Park So Eun ),고민지 ( Koh Min Ji ),권오훈 ( Kwon Oh Hoon ),박신형 ( Park Shin Hyoung ),서동정 ( Seo Dong Jeong ) 한국도로교통공단 2020 교통안전연구 Vol.39 No.-

        빠르게 진행되는 고령화와 교통 환경의 변화에 대응하는 체험교육 프로그램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업용 차량 운전자의 체험교육 이수 후 1년간 발생한 교통사고 데이터를 활용하여 이수자 사고 특성 분석을 통해 교통안전체험교육센터의 교육프로그램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교통사고 현황 분석 및 교통사고다발자·다발업체의 현황 분석결과, 사업용 차량 운전자의 고령운전자 및 안전운전 태도에 대한 교육 개선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이에 국내외 체험 교육기관의 교육 프로그램 사례조사를 통해 인지 능력 및 개인의 건강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과 운전 특성 및 성향 파악을 위한 개인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도입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운전자 자질 향상과 더불어 교통사고 예방에도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The rapid aging of drivers and changes in the traffic environment necessitate the improvement of driving education programs. This study aims to suggest improvement plans for driving education programs in Korean safety driving training centers through the analysis of traffic accident characteristics of trainees. The accident data of commercial vehicle drivers that occurred within a year after training was used in this study. The analysis included statistics of the accidents for the drivers and companies with high accident counts. According to the analyzed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improvement of training programs for elderly drivers and safe driving awareness is needed. Through domestic and foreign case studies, programs that can identify an individual’s cognitive ability and personalized education program to identify driving characteristics and tendencies were suggested. The training programs presented in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driver awareness and the prevention of traffic accidents.

      • KCI등재

        소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대학생의 대인관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양지민(Ji Min Yang),권은진(Eun Jin Kuon),정재원(Jae Won Jeong) 한국교정상담심리학회 2022 교정상담학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소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대학생을 대상으로 대인관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D시 소재 대학생 3명으로 2021년 6월 9일부터 2021년 8월 21일까지주 1회 80분씩 10회기를 진행하였다. 연구도구는 대인관계 척도, 자아존중감 척도를 사전과 사후에실시하였으며 투사검사는 동적학교생활화(KSD) 검사를 사전과 사후로 실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집단구성원의 대인관계와 자아존중감의 변화과정을 회기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첫째, 소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대학생의 대인관계 향상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둘째, 소집단미술치료는 학교 부적응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셋째, 소집단 미술치료는 동적학교생활화(KSD) 검사에서 학교부적응 대학생의 문제해결 능력, 학교생활, 대인관계, 자기표현에서 긍정적 변화가 있었으며, 정서적 공감과 사회적 상호작용이 증가하였다. 넷째, 소집단미술치료의회기별 주요내용 변화에서 대학생은 자기조절, 자기수용 및 긍정적 정서의 향상으로 부정적인 사고가감소하였으며, 집단구성원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긍정적인 대인관계와 의사소통 기술을 습득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소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대학생의 대인관계와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본 연구는 학교부적응 대학생을 위한 집단미술치료의 필요성과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mall group art therapy on human relationships and the self-esteem of school maladaptive-behavior college students. The study subjects were 3 college students in city D. The research was conducted from June 9, 2021 to August 21, 2021 with sessions taking place once a week for 80 minutes, for a total of 10 sessions. Human relation scale and self-esteem scale were used as research tools, and they were conducted pre and post each session. For the projective test, pre- and post-Kinetic School Drawing test comparison analysis was conducted. In addition, comparison analysis of group members’ changes in human relationships and self-esteem were conducted for each session. First of all, small group art therapy has achieved improvement on maladaptive university students’ human relationships. Secondly, small group art therapy has led to positive results in improving self-esteem for maladaptive students. Thirdly, while conducting Kinetic School Drawing problem-solving skills, schooling, human relationships, self-expression, as well as emotional empathy and social interaction have evolved positively. Lastly, each session of small group art therapy led to a decrease in students’ negative thinking, by improving self-control and self-acceptance. Furthermore, students have acquired skills on building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ng, by interacting with other members in the group. The positive effect of small group art therapy is proven through the research, and therefore, small group art therapy is highly recommended for maladaptive students.

      • KCI등재

        소집단미술치료가 교정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양지민(Yang, Ji Min),정재원(Jung, Jae Won) 한국교정상담심리학회 2021 교정상담학연구 Vol.6 No.3

        본 연구는 소집단미술치료가 교정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시작하였다. 연구대상은 K시 소재 교정공무원 3명으로 주 1회 90분씩 12회기를 진행하였으며, 연구도구는 직무스트레스 척도와 자아존중감 척도를 사전과 사후에 실시하였고, 투사검사는 빗속의 사람(PITR) 그림검사를 사전과 사후에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집단구성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의회기별 과정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집단미술치료가 교정공무원의직무스트레스 감소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둘째, 소집단미술치료가 교정공무원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셋째, 소집단미술치료는 빗속의 사람((PITR) 그림검사에서 교정공무원의문제해결능력, 대인관계, 감정표현에 있어서 변화가 있었다. 넷째, 회기별 과정에서 연구자의 공감적이해와 긍정적 배려, 보살핌을 통해 집단구성원들은 안전하고 지지적인 환경을 경험하였고 억압되었던부정적 감정을 자유롭게 발산할 수 있었다. 또한 집단구성원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신의 대인관계형성 기술을 습득하였으며, 집단구성원들은 자기조절과 자기수용, 긍정적 정서를 고양시킴으로써 부정적 사고가 감소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소집단미술치료가 교정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감소와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 효과가 있었으며, 나아가 교정공무원을 위한 집단미술치료의 필요성과 방향성을 제시하였고 미술치료 임상현장에서의 적용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mall group art therapy on job stress and self-esteem of correctional officers. The study subjects were three correctional officers working in city ‘K’. The therapy sessions took place once a week for ninety minutes for a total of twelve sessions. A job stress scale and self-esteem scale were used as research tools. For the projective test, a pre and post Person in The Rain(PITR) drawing comparison analysis was conducted. In addition, a qualitative analysis of group members sessional job stress and self-esteem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small group art therapy had positive changes in decreasing correctional officers’ job stress. Secondly, small group art therapy had positive changes in increasing correctional officers’ self-esteem. Thirdly, small group art therapy had changes in correctional officers’ problem solving ability, interpersonal relations, and emotional expression in the Person in The Rain(PITR) drawing tests. Fourth, as sessions progressed, group members experienced safe and supportive environment through empathic understanding, positive solicitude and care. Also, group members acquire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s through interaction between group members. Group members decreased negative thoughts due to positive thoughts, self regulation and self acceptance. According to research results, small group art therapy had positive effects on decreasing correctional officers’ job stress and increasing self esteem. Therefore, the study’s results demonstrate the necessity and directivity of art therapy for correctional officers, and applicability in the art therapy clinical field.

      • KCI등재

        Saccharomyces cerevisiae의 균사형 생장에서 이중 특이성 인산화 효소, ScKns1p의 기능 분석

        박윤희,양지민,양소영,김상미,조영미,박희문,Park, Yun-Hee,Yang, Ji-Min,Yang, So-Young,Kim, Sang-Mi,Cho, Young-Mi,Park, Hee-Moon 한국미생물학회 2011 미생물학회지 Vol.47 No.2

        ScKns1는 Saccharomyces cerevisiae에서 발견되는 이중 특이성 인산화 효소이다. S288c 계열에서 $Sckns1{\Delta}$ 균주는 야생형과 차이를 보이지 않아, ScKns1의 세포 내 기능에 대해 밝혀지지 않았다. 그러나 분열 효모에서 LAMMER kinase는 세포 엉김과 균사형 생장 및 산화 스트레스와 관련된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할 수 있는 S. cerevisiae ${\Sigma}1278b$ 균주에서 ScKNS1 결손균주($Sckns1{\Delta}$)를 제조하고 표현형 변화를 통하여 기능을 분석하였다. $Sckns1{\Delta}$ 균주는 균사형 생장을 유도하는 질소고갈 조건과 butanol 첨가 조건에서 균사형 생장의 결함을 보였으며, agar 표면의 부착생장도 감소하였다. 또한 $Sckns1{\Delta}$ 균주에 균사형 생장을 조절하는 MAPK 경로 유전자를 도입한 결과 RAS2와 STE20에 의해서는 균사형 생장 결함이 회복되지 않았으나, STE11, STE12와 TEC1에 의해서 결합이 회복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S. cerevisiae에서도 LAMMER kinase가 MAPK 경로를 통하여 균사형 생장을 조절함을 시사한다. In the previous study with the Saccharomyces cerevisiae S288c strains, no known function of the dual specificity kinase, ScKns1, was reported because its gene deletion did not show any noticeable phenotypic changes. Recent study with fission yeast, however, revealed the involvement of the LAMMER kinase in flocculation, filamentous growth, oxidative stress, and so on. Therefore we made Sckns1-deletion mutants with the ${\Sigma}1278b$-background, with which one can induce filamentous and adhesive growth in contrast to those of the S288c-background. The $Sckns1{\Delta}$ strains of both haploid and diploid showed defect in filamentous growth under conditions for inducing the filamentous growth such as nitrogen starvation and butanol treatment. Both kinds of the deletion mutants also showed decrease in adhesive growth on agar surface. Interestingly enough the defects of the $Sckns1{\Delta}$ strains were suppressed by the over-expression of each gene for the components of the MAPK signaling pathway such as STE11, STE12, and TEC1, respectively, but not by the upstream components, RAS2 and STE20, respectively. Although further investigations are requir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ScKns1 may act in place between the Ste20 and the Ste11 of the S. cerevisiae MAPK cascade.

      • 고속도로 졸음쉼터 설치 전·후 사고 감소 효과분석

        김동욱 ( Kim Dong Uk ),강민지 ( Kang Min Ji ),양지민 ( Yang Ji Min ),권오훈 ( Kwon Oh Hoon ) 한국도로교통공단 2019 교통안전연구 Vol.38 No.-

        2012년 ~ 2017년까지 국내 고속도로에서 졸음운전으로 인해 발생한 교통사고는 다른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사고 유형에 비해 발생건수 대비 치사율이 18.5%로 전체 교통사고 치사율인 11.1%의 1.7배 높은 수준이다. 한국도로공사에서는 상대적으로 사고심각도가 높은 졸음운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2011년부터 졸음쉼터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졸음쉼터의 사고예방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졸음쉼터 설치 전·후의 교통사고 사고율 감소에 대한 통계적 검정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졸음쉼터 설치 후 평균 사고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감소하였으며, 이를 통해 졸음쉼터가 교통사고 감소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향후에는 효과분석에 기반한 졸음쉼터 설치 및 운영 가이드라인 마련을 위해 졸음쉼터 특성별 사고 발생 및 심각도 분석의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raffic accidents caused by drowsy drivers driving on domestic highways between 2012 and 2017 had an 18.5% fatality rate, which is 1.7 times higher than the 11.1% fatality rate of the other accident types.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has installed and operated rest areas for drowsy drivers since 2011 to prevent drowsy driving accidents. This study examined the accident reduction effects of the rest areas for drowsy drivers using statistical tests on accident rates before and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rest area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average accident rate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rest areas decreased by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which confirmed that the rest areas for drowsy drivers were effective in reducing traffic accidents. To establish detailed guidelines for rest areas, further studies evaluating aspects such as accident severity analysis and its relationship to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rest areas must be condu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