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소설 속의 캐릭터 ‘先生’ 언어의 번역양상―『坊っちゃん』에 나타난 문말 표현을 중심으로―

        양정순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22 일본학연구 Vol.67 No.-

        본고는 소설『坊っちゃん』에서 나타난 캐릭터 ‘先生’의 발화 행위에 초점을 두고 <문말 표현>을 중심으로, 한국어의 번역양상을 분석했다. 작품 내의 ‘先生’의 문말 표현형식으로 ‘ダ系’ ‘オ+ダ系’ ‘オ+ナサル系’ ‘オ+クダサル系’ ‘デゲス系’ ‘デス・マス系’ ‘オ+デス・マス系’ 등이 보였다. 이에 대한 번역양상을 보면 ‘ダ系’는 해체・해라체, ‘デス・ マス系’는 해요체・하십시오체 등과 같은 정형적으로 정해진 표현과는 달리 캐릭터의특징, 캐릭터 간의 사회적 거리, 상황 등의 복합적인 요소와 도착언어의 언어문화와 상호작용하여 경의에 차이들 둔 표현이 이용되어 번역되었다. 따라서 교육 재료로 이용될때는 도착언어의 문화적 요인과 캐릭터의 특징 및 장면의 특성을 반영하여 그에 따른문말의 표현 형식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사회과 수행평가 효율화를 위한 웹 기반 보고서 시스템 개발 및 적용

        양정순,고병오 한국정보교육학회 2008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2 No.1

        사회과에서는 학생들이 주제를 정해 스스로 계획을 세워 조사하고, 사회를 탐구해가며 조사 보고서를 정리해가는 능력을 중요시 여겨왔으며, 교육 현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사회과 수행평가 방법도 조사 보고서 방법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학습자들은 ‘보고서를 작성해오라’는 지시를 받고, 뚜렷한 목표나 체계적인 형식 없이 보고서를 작성하고, 교사에게 제출한 후 학기말 평가 결과만을 일방향적으로 통보 받아왔다. 현 수행평가는 본질적인 의미에서 벗어나 단순히 결과만을 중시하던 기존의 평가를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수업의 한 과정으로서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는 웹 기반 수행평가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본 연구는 시스템을 기반으로 학생들이 다양한 자료를 탐색, 수집하여 일정한 형식에 보고서를 작성하고, 제시된 평가 관점에 의하여 동료평가를 한 후 평가 결과를 즉시 피드백하여 학습자간, 교사와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을 활성화시켜 학습 의욕을 고취시키고 평가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하였다. In social studies the ability of a student to investigate after deciding the subject and individual planning to search for society and to put investigation reports in order has been taken as highly important. The social studies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s used most frequently in education is also one of the investigation report method. However, when most students get the task Write the report, they might write the report without any distinct object or organized structure. The evaluation result given by the teacher at the end of term is thus one sided. The recent performance evaluation is to keep the existing evaluation and let only the result have importance, not the essential meaning. So this paper is to build and materialize a web-based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to be able to evaluate a course of classes. This paper's purposes was to write the reports in setting the standard form that the students research and collect the various data as based in the system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evaluation and to inspire the study motivation as acting the mutuality action among the students and between them and teachers as giving a feedback at once after evaluating among colleagues by suggested evaluation views.

      • KCI등재

        인공지능 기반 도시공간 조명디자인 개발 방향에 대한 소고

        양정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8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도시·건축 부분에서 인공지능은 관리, 설계, 제작 부분에서 주목할 성과들이 나타나고 있다. 조명디자인 분야는 스피커와 연계된 테이블램프나 스마트 가로등 위주로 상용화되고 있어 공간으로 확장성은 극히 제한적이다. 특히인공지능 기반 조명디자인 개발 방향 연구와 지침 등은 거의 없어 엔지니어들이 인공지능이 적용된 조명환경을 어떤 방향으로기술개발 하여야 할지 그 방향성이 모호하다. 인공지능 기술개발은 급진적이나 활용 방향성이 제시되지 않아 공간경험과 공간환경 보다는 요소 위주로 이루어지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기반 조명디자인 개발 방향성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그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먼저 도시 건축공간에 대한 인공지능 관련 선행연구와 개발내용에 대한 조사를 바탕으로 건축공간에서 인공지능 기술개발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조사 분석하였다. 둘째 인공지능 기반 조명디자인현황에 대해 개별 조명기구 중심의 개발, 운용시스템 그리고 문화콘텐츠로 구분하여 최근 5년간의 신문과 뉴스, 잡지, 조명기술전문사이트 검색을 통해 개발현황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셋째, 수집된 내용을 바탕으로 건축공간에 있어 인공지능 개발의현황 및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인공지능 기반 조명디자인 개발 방향성에 대해 의견을 개진하고자 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로 4 차 산업혁명의 핵심인 사람, 사물, 공간을 초연결, 초지능화 산업구조와 사회시스템으로 변화하고 있으나 그에 대응하는 조명환경에 대한 연구개발이 미진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조명디자인은 지리환경 분석, 법규 적용, 주변 이용자 현황, 동선, 소비 등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인공지능으로 빛환경 연출이 확장 가능하다. 더 나아가 공간조명은 정보인지, 생물학적 리듬조절 및 건강, 심미성 강화하는 빛환경의 조건을 찾아 인공지능 적용 가능하다. 이에 인공지능기반 조명디자인은 안전성 강화, 건강증진, 정보전달 및 지역공동체 의식 강화, 유희적 경험과 문화예술적 체험, 자가 학습과정으로서 인공지능 조명을 중심으로 개발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기반 조명디자인 방향성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여그 방향성에 대해 함께 모색하고자 하였다. 비록 본 연구가 실험 바탕의 정량적 연구가 아니어서 연구결과에 대해 구체적 수치나데이터는 제시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AI조명디자인 개발 방향에 대한 사회적 담론 없이 단편적 기술 위주로 개발되는 현재 조명산업 개발 방향에 의구심을 제기하고 그 방향성 수립의 필요성과 발전상을 제안한 데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Recently, artificial intelligence (AI) has shown remarkable achievements in the management, design, and production of urban and architectural fields. However, in the lighting design field, AI table lamps linked to speakers or smart street lighting fixtures with multiple functions have been commercialized, which is limited for spatial applications. In particular, there are only few studies and guidelines on the development of AI-based lighting design, making it ambiguous for engineers to choose a direction in developing the lighting environment applied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s radical, but there is a limit to the fact that it is focused on elements rather than spatial experience and the spatial environment because the direction of application is not presented. Therefore, this study raises the need for discussion on the direction of AI-based lighting design development. (Method) First, based on previous research,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n architectural space was investigated and analyzed. Second, a status survey for lighting desig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was conducted. This study concerned with lighting fixtures and operation systems, contents based on data newspapers, news, magazines, and lighting technology-specialized websites in the last five years. Thir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 present opinions on the direction for development of lighting desig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Results) People, things, and space, which are at the cor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re changing into hyper-connected and super-intelligent industrial structures and social systems, but research and development on lighting environments corresponding to them are insufficient. Lighting design can expand illuminated environments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through an analysis of the geographic environment, application of laws, and big data analysis of surrounding user status, movement, and consumption patterns. Furthermore, space lighting can be appli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by determining the conditions of a light environment that enhances information recognition, biological rhythm control, health, and aesthetics. Accordingly, I propose development directions for artificial intelligence lighting as safety enhancement, health promotion, information delivery and awareness enhancement of region, playful experience, cultural and artistic experience, and self-learning processes. (Conclusions) We sought direction by forming a consensus on the importance of research on lighting desig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raising doubts about the current direction of development of the lighting industry, which is developed mainly on fragmentary technologies without social discourse on the direction of AI lighting design development, and it suggests its necessity and development.

      • KCI등재

        심리동사 ‘驚く’에 관한 번역양상-夏目漱石의 메이지기 작품의 일한・일영 번역을 중심으로-

        양정순 한국일어교육학회 2020 일본어교육연구 Vol.0 No.50

        This study analyzed psych verb ‘Odoroku’ in the literary works which were written by Sōseki Natsume in the Meiji period. It focused on <Meaning>, <Structure> and <ル・タform> to analyze the aspects of translation which were restructured by translators. ‘Odoroku’ was mainly translated into verbs ‘Nollada’ and ‘surprise’ in Korean and English respectively. However, it was not always translated as it was suggested in the dictionary. In the case of the Korean translations, it was translated as the conclusion of events as well as the motional expressions of surprise. In the case of the English translations, the form of ‘passive of emotional verbs’ was mainly used and it tended to be used with verbs of thinking or dative verbs when it was used as a noun. The English translations showed examples which had the cause of emotion or expressions of emotion as the subject of sentences to make the owners of emotion realize something or judge something objectively. Aspects of translation according to expressions which worked as a predicate and a modifier in the shape of ‘ル・タform’ of ‘Odoroku’ were as follows. In the case of expressions which worked as a predicate, most of Korean translations except some examples were translated into similar tense with Japanese subjective psychological tense. However, English translations showed different aspects. ‘ル form’ used verbs of the present tense and an auxiliary verb ‘will’ more than verbs of the past tense according to the context of events. ‘タ form’ had examples which used verbs of the present tense but verbs of the past tense were used more often. In the case of expressions which worked as a modifier, Korean translations dealt with ‘ル form and タ form’ by using both ‘ㄹ’ and ‘ㄴ’. English translation dealt with ‘ル form’ and ‘タ form’ by setting a specific time and using expressions such as verbs of the past tense, the present tense and the present perfect tense. 본고는 심리동사 ‘驚く’에 대해 나쓰메 소세키의 메이지기 작품인『それから』『三四郎』『門』『坊っちゃん』『草枕』『吾輩は猫である』를 중심으로 <의미> <구조> <ル형・タ형>에 초점을 두고 번역 양상을 분석했다. ‘驚く’의 한국어 역과 영어 역은 동사 ‘놀라다’와 ‘surprise’가 주를 이루고 있었지만, 동사 이외의 품사와 다양한 의미로 번역되었다. 한국어 역의 경우, ‘부사’가 추가되거나 놀람의 ‘동작 표현’ 그리고 감정 주체가 사건의 결론을 평가하는 표현 등으로 번역되기도 했다. 영어 역의 경우, ‘사람+be+감정표현의 분사’ 형태가 주로 이용되었으며, 명사로 사용될 때는 생각 동사, 수여 동사를 병행해서 사용되는 경향이 보였다. ‘驚く’의 문 구조에 따른 번역 양상을 보면 한국어 역은 일본어와 유사한 구조로 번역되었다. 영어 역은 화자가 감정 상태를 직접 표현한 번역도 있었지만, 감정유발의 원인과 감정표현 자체 등이 주어로 제시되어 감정 주체가 사건의 상황을 깨닫거나 객관적으로 보고 판단하는 번역 예도 보였다. ‘驚く’의 ‘ル형・タ형’의 서술 표현과 수식 표현에 따른 번역 양상은 다음과 같다. 서술 표현의 경우, 한국어 역은 일본어의 주관적 심리상과 유사한 전개를 보였지만, 영어 역은 사건의 순차 관계에 따라 시제를 전개해나갔다. 수식 표현의 경우, 한국어 역은 ‘…ㄹ’ ‘…ㄴ’의 사용이 ‘ル형・タ형’에 모두 사용되었지만, 영어 역은 기준시점을 두어 과거, 현재, 완료 표현이 사용되었다.

      • KCI등재

        소설 こころ 에 나타난 감정표현 ‘恥’에 관한 번역 양상 : 한국어 번역 작품과 영어 번역 작품을 중심으로

        양정순 한국일어교육학회 2020 일본어교육연구 Vol.0 No.52

        This study focuses on the aspects of translation when emotional expression of ‘Haji(恥)’ is shown on Kokoro . The aspects of translation were analyzed in terms of meaning and structure. The expression of ‘Haji’ was not always translated as it was suggested in the dictionary. In the case of Korean, it was translated as body and color. However, in the case of English translations, the form of ‘verb’ and ‘feel・ make・become+emotional adjectives’ were used. Simple sentences without a main agent of emotion show that their subjects could be omitted in Korean. But for clarity of meaning, omitted subjects were shown in some sentences. On the other hand, these omitted subjects were found and translated in English. Those subjects were not necessarily humans who were the main agents of emotion. They could be things or causes of events that specified the expression of emotion. 본고는 감정 표현 ‘恥’에 대해 나쓰메 소세키의 작품 중의 하나인 こころ를 대상으로 <의미> <구조>에 초점을 두 어 번역 양상을 분석했다. ‘恥’ 표현에 관한 번역은 사전적 어휘에만 머무르지 않고 다양한 의미로 번역되었다. 한국어 역은 신체 부위와 색채 를 이용한 표현이 영어 역에 비해 두드러지게 나타났고, 신체 부위 가운데, ‘얼굴’ ‘고개’ ‘볼’ ‘마음’ 등을 이용한 신체의 반응 표현과 ‘발그르슴’ ‘연분홍’ ‘붉음’ 등의 ‘붉은색’계통의 색채요소가 보였다. 영어 역을 보면 ‘blush・flush’와 같은 붉은색을 내포한 동사 표현이 선정되거나 신체 부위를 이용한 감정 표현 보다 ‘feel・make・become・be 등의 동사 + 감정 표현의 형용사, 구체적인 행위 동사, 감정 유발의 원인 주어+be+pp’ 등 동사 표현에 따른 서술 표현이 보였다. 감정 주체의 유무에 따른 문을 보면, 한국어 역은 대체로 출발언어인 일본어와 유사한 구조로 번역되었지만, 감정 동사의 사역 수동형을 이용한 표현에는 화자의 입장에 서서 서술하여 ‘恥’의 주체를 알 수 있도록 유도한 번역이 보이 거나 의미의 명확성을 위해 감정 주체를 복원시키기도 했다. 출발언어의 문장 내에서 감정 주체가 생략된 문에서의 영어 역은 감정 주체를 복구했고 감정 주체는 주어 자리로만 한정되지 않고 목적어, 소유격의 형태로도 나타났다. 영 어 역의 구조상의 특징을 보면 ‘감정 주체 인물+행위, 상태'와 같이 내적 신체 변화로 ‘주체가 어떠하다’처럼 번역된 경우 외에 감정 유발의 원인을 주어로 두어 감정 주체에게 ‘恥’의 원인을 제시하기도 했다. 또 비정물 주어를 이용한 물주구조, 전치사를 이용한 출발언어의 문에 없던 감정 원인 제시, 행위자가 감정 주체에게 ‘恥’를 느끼도록 직접 행위 를 가하는 ‘행위자+구체적인 행위’를 나타내는 문형이 보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