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가수분해한 유채대로부터 유리당의 분리 및 이의 잔사로부터 펠릿의 제조

        양인,안병준,김명용,오세창,안세희,최인규,김용현,한규성 한국자원식물학회 2014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27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potential of rape stalk as a raw material for biorefinery process of rape flower. At first, rape stalk (RS) was immersed in distilled water (DW), acetic acid (AA), oxalic acid (OA), sulfuric acid (SA) and sodium hydroxide (SH) solutions, and the content of reducing sugars liberated from immersed RS was analyzed. Glucose, xylose, arabinose and sucrose were detected varying with the immersion type. In particular, 1% AA-immersion of RS for 72 hr was the most effective conditions to liberate glucose from RS. Secondly, the RS residues were used for elementary analysis and fabrication of fuel pellets. In addition to the solution type, concentration of immersion solutions (0%, 1%, 2%) and immersion time (24, 72, 120 hr) were used as experimental factors. The contents of nitrogen, sulfur and chlorine reduced effectively through the immersion of RS in DW, AA and OA solutions. For properties of RS-based pellets, bulk density and higher heating value of RS-based pellets greatly increased with the immersion of RS, and the qualities were much higher than those of the A-grade pellet of the EN standards. Ash content decreased remarkably through the immersion of RS, and was satisfied with the A-grade pellet standard. Durability was negatively affected by the immersion of RS, and did not reached to B-grade of the EN standard. In conclusion, acid immersion of RS can be a pretreatment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fuel pellet and bioethanol, but use of the immersed RS for the production of high-quality pellets might be restricted due to low durability of immersed-RS pellets. Therefore, further studies, such as investigation of detailed immersion conditions, fabrication of mixed pellets with wooden materials and addition of binders, are needed to resolve the problems. 본 연구는 유채의 바이오리파이너리 원료화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유채대를 DW, AA, OA, SA 및 SH 용액에 침지하였다. 먼저 침지 유채대의 원소를 분석한 결과, 침지를 통하여 질소, 황, 염소의 함량이 효과적으로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외에 침지액의 농도와 침지시간을 실험인자로 침지액 내에 존재하는 glucose, xylose, arabinose와 같은 유리당의 양을 조사하였는데, DW- 및 SH-침지액에서는 각각 xylose와 sucrose만 그리고 SA- 및 OA-침지액에서는 소량의 glucose만 검출되었다. 그러나 AA-침지액에서는 많은 양의 glucose와 소량의 arabinose까지 분석되었다. 한편, 유채대 침지에 사용된 산용액의 종류와 농도(1%, 2%)에 따른 glucose 양을 분석한 결과, AA를 침지액의 조제를 위한 산으로 사용하고 AA의 농도를 1%로 조절하는 것이 유채대로부터 효과적으로 glucose를 가수분해할 수 있는 조건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침지시간의 영향을 보면, 72 hr-침지에서 가장 많은 양의 glucose가 검출되었으며, 120 hr까지의 침지시간 연장은 유리되는 glucose 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음으로, DW, AA, OA 용액에 침지시킨 유채대를 이용하여 펠릿을 제조하였는데, 이 때 산의 농도 그리고 침지시간(24, 72, 120 hr)을 실험 인자로 사용하였으며, 이렇게 제조된 펠릿의 함수율, 겉보기밀도, 회분량, 발열량, 내구성을 측정하였다. 침지 유채대 펠릿의 겉보기 밀도와 발열량은 무침지 유채대 펠릿과 비교하여 크게 높았으며, 실험 인자와 상관없이 EN 규격의 A등급 기준(≧600 ㎏/㎥, ≧14.1 MJ/㎏)을 각각 상회하였다. 유채대의 침지는 무침지 유채대의 회분량(8.9%)과 비교하여 회분량을 크게 감소시켰으며, 특히 AA-와 DW-침지가 유채대의 회분량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침지 유채대의 회분량은 EN 규격의 A등급 기준(≦ 5.0%)을 만족하였다. 침지 유채대로 제조한 펠릿의 내구성은 전반적으로 무침지 유채대 펠릿(97.40%)보다 낮았으며, 특히 OA-2%에 120 hr 침지시킨 유채대 펠릿을 제외하고 나머지 조건은 EN 규격의 B등급(≧96.00%) 기준에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침지 유채대의 원소 및 유리당 분석 그리고 펠릿의 품질 시험 결과를 종합하면, 1% 농도의 AA 용액에 유채대를 72 hr동안 침지시키는 것이 유채대의 바이오에탄올 및 펠릿 원료화를 위한 최적 조건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따라서 이 조건에서 1 ㎏의 유채대를 침지시켰을 경우, 산술적으로 바이오에탄올 생산용 원료인 50 g의 glucose를 얻을 수 있으며, 나머지 950 g의 잔사는 아그로펠릿의 원료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AA-침지 유채대로 제조한 펠릿의 낮은 내구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세분화된 범위의 침지 조건 탐색, 목분과의 혼합 펠릿 제조, 바인더의 첨가 등과 같은 추가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소수민족 시각적 요소에 기반한 차 패키지 디자인 구성요소 연구 - 중국 광시성(廣西省) 육보차(六堡茶)를 중심으로 -

        양인,한석원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2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71 No.-

        오늘날 개방적이고 포용적인 시장경제 환경으로 동종 상품에 대한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홍보 수단도 다각화되고 있다. 패키징은 상품의 주요 구성요소 중 하나이자 상품의 가장 중요한 홍보 수단이며, 상품을 효과적으로 보호하는 역할 외에도상품의 가치와 기업 문화 이미지를 구현할 수도 있다. 시장점유율을 높이고 상업 이익을 높이기 위해 상품의 패키지도 다양해지고 있다. 좋은 상품은 지역 발전에 적합해야 할 뿐만 아니라, 국제화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품 패키지 디자인 과정에서 현지 전통문화의 결합에 주목하고 독특한 브랜드 이미지로 해외시장에 진출해야 한다. 최근 몇 년간, 중국은 소수민족 문화를 보호하고 계승하는데 방점을 두고 소수민족의 시각적 요소를 현대 패키지 디자인에활용하고 결합하는 혁신적인 아이디어 내놓았다. 이를 통해 두 문화의 결합은 상품 패키지 디자인에 새로운 발전 추세가되었다. 본 연구는 소수 민족의 시각적 요소 개념을 파악하는 데 주목적이 있다. 중국 광시성(廣西省)지역 문화 산물인육보차 패키지 디자인 구성요소의 분석을 통해 패키지 디자인에서의 소수민족 시각적 요소 활용을 탐색하고 긍정적 효과를알아본다. 소수민족 문화의 새로운 예술적 표현 연구를 통해 지역 상품 패키지 디자인에 새로운 혁신적 사고와 방법을 덧입히고자 한다.

      • KCI등재

        목질 섬유판 제조에 있어 도계부산물인 닭털의 목섬유 부분적 대체화 탐색

        양인,박대학,최원실,오세창,안동욱,한규성,오승원,Yang, In,Park, Dae-Hak,Choi, Won-Sil,Oh, Sei Chang,Ahn, Dong-uk,Han, Gyu-Seong,Oh, Seung Won 한국화학공학회 2018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56 No.4

        본 연구는 목질계 섬유판 제조에 있어 목섬유에 대한 도계부산물인 닭털의 부분적 대체화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닭털은 주로 케라틴계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외형적으로 목섬유와 큰 차이는 없었다. 닭털의 전처리 방법에 따른 포름알데히드 흡착능을 비교한 결과, 닭털을 고온/고압에서 처리하고 분쇄한 우모분에서 가장 높았다. 한편 일반 가위로 절단한 닭털과 이를 가정용 믹서로 고해시킨 닭털의 폼알데히드 흡착량을 dinitrophenylhydrazine법으로 측정한 결과 차이는 없었다. 닭털, 고해 닭털, 우모분을 각각 목섬유의 전건무게를 기준으로 5 wt%로 혼합하여 제조한 중밀도섬유판(MDF)의 물성과 폼알데히드방출량은 닭털의 전처리 조건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그러나 이 측정치를 목섬유만으로 제조한 MDF와 비교하였을 때, 두께팽윤율과 폼알데히드방출량은 크게 개선되었다. 따라서 현재 생산 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는 요소수지를 이용한 MDF 제조에 있어 목섬유와 함께 일정한 양의 닭털, 고해 닭털 또는 우모분을 첨가할 경우 치수안전성과 폼알데히드방출량이 개선된 MDF의 제조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MDF제조에 있어 닭털의 사용은 현재 상황에서 목섬유와 비교하여 원료 확보의 어려움과 높은 단가로 경제성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경제성 향상을 위하여 중소형 도계장에서 발생하는 닭털을 이용하거나, 동물성 사료의 금지에 대한 대비책 및 인플루엔자 감염 조류에 대한 환경적 처리 방안으로 닭털의 섬유판 원료에 대한 부분적 대체화 기술은 향후 사용 가능성이 충분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of chicken feather (CF), which is a by-product in poultry industry, as a partial substitute of wood fiber in the production of wood-based fiberboard. Keratin-type protein constituted the majority of CF, and its appearance did not differ from that of wood fiber. When the formaldehyde (HCHO) adsorptivities of CF compared by its pretreatment type, feather meal (FM), which was pretreated CF with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and then grounded, showed the highest HCHO adsorptivity. In addition,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adsorbed HCHO amounts, which was measured by dinitrophenylhydrazine method, of scissors-chopped CF and CF beated with an electrical blender. Mechanical properties and HCHO emission of medium-density fiberboards (MDF), which were fabricated with wood fiber and 5 wt% CF, beated CF or FM based on the oven-dried weight of wood fiber, were not influenced by the pretreatment type of CF. However, when the values compared with those of MDF made with just wood fiber, thickness swelling and HCHO emission of the MDF were improved greatly with the addition of CF, beated CF or FM. Based on the results, it might be possible to produce MDF with improved dimensional stability and low HCHO emission if CF, beated CF or FM is added partially as a substitute of wood fiber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MDF produced with the conventional urea-formaldehyde resin of $E_1$ grade. However, the use of CF or FM in the production of MDF has a low economic feasibility at the current situation due to the securing difficulty and high cost of CF. In order to enhance the economic feasibility, it requires to use CF produced at small to medium-sized chicken meat plants. More importantly, it is considered that the technology developed from this research has a great potential to make provision for the prohibition of animal-based feed and to dispose environmentally avian influenza-infected poultry.

      • KCI등재
      • KCI등재

        Factors Affecting Lumber Conversion Rate of Sawmill Industry in South Korea

        양인,이성연,주린원,윤여창 한국산림과학회 2007 한국산림과학회지 Vol.96 No.2

        industry in South Korea. Data were obtained from the survey of 38 sawmills in all geographic regions ofSouth Korea. The variables examined in this study were region, softwood/hardwod log, domestic/imported/both log, the number of power-driven carriages (PDC) installed, the year when and country wherePDCs was manufactured, the horse power of PDC, the number of labors required to operate each PDC, thesawing capacity of mil (mil size), and the types of major product and by-products. The lumber recoveryfactor (LRF) of sawmills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origin of logs, level of PDC automation,sawmill size, and size of logs (measured in diameter and length) while not by the location of the mill, typesof major product and by-product, log species, and characteristics of PDC. Although these results provideuseful information for understanding the techn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sawmil industry,industry in South Korea.

      • KCI등재

        경쟁심이 내재적 동기에 미치는 영향:공기업 종사자를 중심으로

        양인,임도빈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23 行政論叢 Vol.61 No.2

        This study aims to measure the competitiveness of middle managers among public enterprise workers and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 of this on their intrinsic job motivation. Furthermore, the study will check whether there is a mediating effect in this process through the importance of competency.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workers at public corporations and, based on this, the analysis conducte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ree-stage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First,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sults showed competition was composed of interpersonal competition and self-developmental competitio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e interpersonal competitiveness of public enterprise workers had a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on intrinsic motivation, but self-development competitiveness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achievement motivation. On the other hand, in relation to the mediating effect, self-developmental competitivenes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intrinsic motivation of achievement through competency importance. This study drew policy implications through these analysis results for the need for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which self-developmental competition needs and organizational and job needs are compatible. 본 연구는 공기업 종사자 중 중간관리자들의 경쟁심을 측정하고, 이것이 그들의 내재적 직무동기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나아가 이 과정에서 역량중요성을 통한 매개효과 여부를 확인할 것이다. 분석을 위해 공기업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탐색적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 3단계 매개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먼저, 탐색적 요인 분석 결과에 따라 경쟁심을 대인적 경쟁심과 자기개발적 경쟁심으로 구성하였다. 다중회귀분석에서는 공기업 종사자의 대인적 경쟁심은 내재적 동기인 성취동기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쳤지만, 자기개발적 경쟁심은 성취동기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쳐 경쟁심의 하위차원에 따라 내재적 동기에 상이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매개효과와 관련하여 자기개발적 경쟁심은 역량중요성을 통해 내재적 동기인 성취동기에 유의미한 정(+)의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자기개발적 경쟁욕구와 조직성과 차원의 직무요구가 양립할 수 있는 인적자원관리가 필요하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상징입법의 동학(動學): 강사법 입법을 중심으로

        양인,박종윤,홍준형 단국대학교 융합사회연구소 2023 공공정책과 국정관리 Vol.16 No.4

        This paper examines the dynamics of the symbolic legislation process of the legislation and amendment of the Instructor Act by combining Newig's legislative classification, and the Multiple Streams Framework. Through this process, specific features and changes of symbolic legislation that arise from the lawmaking and amendment of the Instructor Act are analyzed to present alternatives and implications to ease symbolic legislation. The results of our analysis show that the Instructor Act, which had strong symbolic legislative features after the first amendment in 2011, has experienced symbolic legislation mitigations after its second amendment in 2018. This was possible thanks to the leading role that the government has played as a policy innovator, as well as the large amount of resources it has allocated after the regime changed. This paper presents a theoretical framework to analyze and evaluate policy development of the legislative process, and complements the analysis of the dynamics of the legislative process and symbolic legislation, which lacked academia attention over the past years. 본 연구는 Newig의 입법분류모형과 다중흐름모형(Multiple Stream Framework)을 결합한 모형을 활용하여 강사법의 입법과 개정입법에 있어 상징입법화 과정의 동태성을 살펴본다. 이를 통해 강사법 입법 및 개정입법 과정에서 발생하는 상징입법의 양태 및 변화와 주요 쟁점을 살펴보고, 상징입법적 요소를 완화하기 위한 입법정책적 대안에 대해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2011년 1차 정책변동에서 상징입법적 요소가 강했던 강사법은 2018년 2차 정책변동을 거쳐서 상징입법적 성격이 완화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정권교체 이후 정부가 정책혁신가로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대규모 자원을 투입함으로써 가능했던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기존의 상징입법 연구에서 부족했던 입법과정의 동태성 분석과 기존의 다중흐름모형 연구에서 부족했던 입법평가 부분을 상호보완함으로써 입법과정에서 정책의 발전과정을 분석 및 평가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