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기존폐수처리장의 시설개조를 통한 ACS공법에서 ASRT조절에 의한 영양염류 제거능 평가

        양영미,김영오,송경철,박태주 부산대학교 환경문제연구소 2001 環境硏究報 Vol.19 No.-

        The ACS(ASRT Control System) process was investigated to evaluate nutrient removal capacity with the various operating strategy in Jin-Chun WWTP. The purpose of this study focused on the evaluation of nutrient removal capacity with controlling ASRT(Aerated Solids Retention Time) in ACS process by retrofitting aeration tanks of conventional wastewater treatment plant of Jin-Chun, Korea. When influent NH_4^+-N loading rate ranged from 0.095㎏NH_4^+-N/㎥·d to 0.007㎏NH_4^+-N/㎥·d in ACS process, NH_4^+-N removal rate was 0.041㎏NH_4^+-N/㎥·d. Although the ACS process was operated with a shorter aeration time than conventional activated sludge process, NH_4^+-N removal efficiency was the higher about 17% in ACS process. Influent T-N concentration ranged from 139.5㎎/ℓ to 11.4㎎/ℓ and T-N removal efficiency acquired about 79.5% without additional external carbon source and alkalinity in the ACS process. During summer season with aerobic/anaerobic(1.5h/2.5h) and winter season of aerobic/anaerobic(2.0h/2.0h), T-N removal efficiency was 73.0% and 79.0% respectively. T-N removal efficiency of winter season was higher about 6% than summer season, because it sustained MLVSS of over 3,500㎎/ℓ as well as controlled ASRT of over 9.6day. In T-P removal efficiency, ACS process controlling ASRT removed higher over 14% than that of conventional activated sludge proces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obtain more water quality with controlling ASRT in the ACS process than that of applying conventional A/S process. The influent contained high concentration organics by many food companies and the fluctuation of influent water quality was severe with working on and off the companies.

      • KCI등재

        아동의 신체활동이 주의집중에 미치는 영향: 수면의 질의 매개효과

        양영미,조성심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6

        The Effect of Physical Activity of Children on the Attentionand Concentration: The Mediating Effects of Quality of SleepYoungmi Yang & Sungsim Cho Abstract: The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children’s physical activity on concentration of attention and verifies the mediating effects of quality of sleep. To achieve this, the study utilized data from the third year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2018 elementary students 4 Cohort report and the subjects were 2,411 sixth grade elementary students. For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search model fit, and path analysis were performed. In this study, path analysis was use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physical activity and attention and concentration and sleep quality, and the bootstrapping technique was us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whether sleep qualit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attention and concentra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increase in children’s physical activity was found to increase the concentration of attention.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physical activity and concentration of attention, the quality of sleep was found to have a mediating effect. As a result, the study suggests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need for education and programs that can improve the quality of physical activity and sleep for children's attention and concentration. Key Words: Children, Physical Activity, Attention and Concentration, Quality of Sleep, Elementary Student 아동의 신체활동이 주의집중에 미치는 영향: 수면의 질의 매개효과양 영 미*ㆍ조 성 심**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아동의 신체활동이 주의집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들 관계에서 수면의 질이 매개하는지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 2018(KCYPS 2018)의 초4 코호트 3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6학년 총 2,411명이다. 자료분석으로는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적합도검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 이 연구에서는 경로분석을 이용하여 아동의 신체활동 및 주의집중과 수면의 질 간의 관계를 검증하였으며, 부트스트래핑 기법을 이용하여 수면의 질이 신체활동과 주의집중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결론 및 제언: 이 연구의 결론은 첫째, 아동의 신체활동 시간이 증가할수록 주의집중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신체활동과 주의집중의 관계에서 수면의 질이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주의집중을 위하여 신체활동과 수면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교육 및 프로그램 필요성에 대한 실천적 함의를 제언하였다. 핵심어: 아동, 신체활동, 주의집중, 수면의 질, 초등학생 □ 접수일: 2022년 11월 11일, 수정일: 2022년 12월 8일, 게재확정일: 2022년 12월 20일* 주저자, 신한대학교 일반대학원 남북협력복지행정학과 겸임교수(First Author, Professor, Shinhan Univ., Email: ymyang321@gmail.com)** 교신저자, 신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부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Shinhan Univ., Email: chawoo0606@shinhan.ac.kr)

      • KCI등재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미디어 기기 중독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율성과 자아탄력성의 다중매개효과

        양영미,김민지,조성심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22 학교사회복지 Vol.- No.60

        The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media device addiction on problem behavior in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verifies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onomy and ego resiliency. To achieve this, the study utilized data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PSKC) 2012 report and the subjects were 1,412 fifth grade elementary students. For data analysis, frequency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search model fit, and path analysis were perform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utonomy was found to have a mediating relationship between media device addiction and problem behavior in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ego resiliency was found to have a mediating relationship between media device addiction and problem behavior in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rd, media device addiction in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was found to have an impact on problem behavior. Consequently, this study suggested practical and policy suggestions for improving autonomy and self-resilience in order to reduce problem behaviors in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미디어 기기 중독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들 관계에 자율성과 자아탄력성의 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아동패널 12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5학년 1,412명이다. 자료분석으로는 빈도 및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연구모형적합도,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자율성은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미디어 기기 중독과 문제행동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탄력성은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미디어 기기 중독과 문제행동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미디어 기기 중독은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자율성과 자아탄력성의 향상에 대한 실천적 및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성인애착과 결혼만족도의 관계: 자기자비의 조절효과

        양영미,박경 한국심리치료학회 2016 한국심리치료학회지 Vol.8 No.1

        본 연구는 성인애착과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조절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자기자비가 결혼 관계에서 치료적 개입 가능성이 있는지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전국 6개 지역의 기혼자 424명을 대상으로 친밀관계경험검사, 결혼만족도검사, 자기자비 척도로 구성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실시하였 다. 성인애착, 자기자비, 결혼만족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성인애착이 결 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자기자비가 성인애착과 결혼 만족도의 관계에 있어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의 결과, 회피애착, 불안애착이 높을수록 결혼만족도와 자기자비는 낮게 나타났고, 자기자비가 높을수 록 결혼만족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불안애착은 결혼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으나, 회피애착은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자비는 불안애착과 결혼만족 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하위요인 중에서는 자기판단이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마지 막으로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의의, 시사점,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청소년 인권의식과 위험요인 및 보호요인의 관계

        양영미,김진석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23 사회복지연구 Vol.54 No.1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adolescents’ human rights awareness. Particularly, the risk factors such as child maltreatment experiences and the protective factors such as participation to student activities were examined in relation to adolescents’ human rights awareness. We utilized the data from the Survey on Rights of Children and Youth of 2019 and analyzed 6,409 adolescents’ data. We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Results showed that experiences of maltreatment by parents and by teachers, of violences via cyber space, and of sexual violences, and parents’ respect for adolescents’ decision-making, school’s guarantee of student privacy, respect for student participation in school policy-making process, and respect for student council activities were associated with the degree to which human rights were respected. Also, experiences of school violences, and parents’ respect for adolescents’ decision-making, school’s guarantee of student privacy, respect for student participation in school policy-making process, and respect for student council activities were associated with adolescents’ perception of human rights. Lastly, experiences of maltreatment by parents, parents’ respect for adolescents’ decision-making, school’s guarantee of student privacy, and respect for student participation in school policy-making process were associated with adolescents’ human rights efficacy. Polic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further. 본 연구는 청소년의 인권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였다. 특히 학대 피해경험과 같은 위험요인과 학생 참여활동과 같은 보호요인으로 구분하여 청소년 인권의식과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9년 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연구대상은 청소년 6,409명이다. 자료분석은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부모 학대경험, 교사 학대경험, 사이버 피해경험, 성적 피해경험, 자녀의사결정존중, 사생활보장, 학생참여존중, 학생회활동존중이 인권 존중 정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폭력 피해경험, 자녀의사결정존중, 사생활보장, 학생참여존중, 학생회활동존중이 인권상황 인식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 학대경험, 자녀의사결정존중, 사생활보장, 학생참여존중이 인권 효능감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의 인권의식을 높이기 위한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 빈곤여부에 따른 여성가구주의 생활만족도 분석 : 성역할 인식과 자원봉사활동에 따른 경감효과를 중심으로

        양영미,황경란,김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 한국복지패널 학술대회 논문집 Vol.8 No.-

        본 연구는 빈곤여부에 따른 여성가구주의 생활만족도 차이를 살펴보고, 이러한 영향 요인으로서 성역할인식과 자원봉사활동의 경감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데이터를 활용한 2차 자료를 활용하여 1차부터 9차 데이터를 이용하였으며 2006년 1차년도 데이터를 기준으로 표집 된 여성가구주 1,721명을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tata SE 12를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호작용효과 검증, 패널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빈곤여부에 따른 여성가구주와 생활만족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임의효과패널모형으로 추정하였다. 분석결과 빈곤여부와 성역할인식, 자원봉사활동, 혼인상태, 거주지역, 근로여부, 자녀수, 교육수준이 여성가구주의 생활만족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역할 인식은 여성가구주의 빈곤과 생활만족도 사이의 부적관계를 상쇄하는 효과가 있는 반면 자원봉사활동 경험은 여성가구주의 빈곤과 생활만족도 사이의 부적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여성가구주의 성역할 인식 차원에서 이상과 현실의 간극을 줄이고 생활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정책마련 및 제도적 지원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성태도와 성지식이 성인지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양영미,조미옥,백경화 중소기업융합학회 2021 융합정보논문지 Vol.11 No.6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성태도, 성지식과 성인지 감수성의 관계를 파악하고 성인지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C시와 H군에 소재한 대학의 간호 대학생 229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는 SPSS version 22.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회귀분석을 하였 다. 연구결과 성인지 감수성은 성태도(r=.383, p=.000)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간호대학생의 성인지 감수성에 영향 을 미치는 요인은 성태도(β= .365, p=.000)로 성태도가 개방적일수록 성인지 감수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향후 간호대학생의 성인지 감수성을 높이기 위해 올바른 성태도를 확립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exual attitude, sexual knowledge and gender sensitivity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nd to analyze the effect on gender sensitivity.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2.0 version. As a result of the study, gender sensitiv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xual attitude (r=.383, p=.000), and the factors affecting gender sensitivity of nursing students were sexual attitude (β=.365, p=. 000). In the future,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program that can establish a correct sexual attitude in order to increase the gender sensitivity of nursing college students.

      • KCI등재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범유행시 임산부의 스트레스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양영미,조미옥 대한산업경영학회 2023 산업융합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코로나-19 범유행시 임산부의 생생한 경험을 현상학적 접근을 통해 탐구함으로 임산부의 스트레스 경험 을 이해하기 위한 질적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COVID-19 범유행 기간 동안 임신한 임산부 12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여 심층 면담하였다. 참여자의 인터뷰는 2022년 6월부터 10월까지 진행하였으며, Colaizzi (1978)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Taguette 프로그램을 통해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분석된 결과로는 경험의 범주가 4개의 주제와 12개의 하위 주제로 도출되었다. 주요 주제는 부정확한 정보로 인한 혼란, 무너진 산전관리, 통제된 삶으로 인한 스트레스, 적응해가는 몸과 마음으로 나타났다. 임 산부의 건강을 위한 사회적 지원과 안정적인 의료시스템 구축이 전반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후속 연구들이 더 필요하다. The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to understand the stress experience of pregnant women by exploring the vivid experiences of pregnant wome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rough a phenomenological approach. As for the study subjects, 12 pregnant women who were pregnant during the COVID-19 pandemic were selected as subject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Interviews with participants were conducted from June to October 2022, an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Taguette program using the Colaizzi (1978) analysis metho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ategory of experience was derived as 4 themes and 12 sub-topics. The main themes appeared as confusion due to inaccurate information, collapsed prenatal care, stress due to a controlled life, and body and mind adapting. It was confirmed that social support for the health of pregnant women and the establishment of a stable medical system need to be done overall.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support th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